• 제목/요약/키워드: succinic acid ester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Succinic Acid 처리면포의 역학 특성 - 인열강도 - (Mechanical Properties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Succinic Acid - Tear Strength -)

  • 강인숙;배현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09
  • Polycarboxylics acids are used as crosslinking agents for cotton cellulose to produce durable finished press cotton fabric.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strength of the cotton fabric treated with polycarboxylic acid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as a result of the crosslinking process. The effect of acid-catalyzed depolymerization on the tear strength of cotton fabric is investigated by evaluating the cotton fabric treated by succinic acid, which does not crosslink cotton cellulose and form little ester on the cotton fabric. We find that the tear strength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succinic acid decreases at elevated temperature due to acid-catalyzed depolymerization of cellulose. The magnitude of fabric strength reduction increases as the acid concentration increases. At a constant acid concentration, it increases as the cur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s. It decreases as the pH of the acid solution increases. We also find that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an acid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bric strength reduction. The magnitude of fabric tear strength reduction increases as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 decreases.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합성 및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 (Synthesis and Anti-corrosion Properties of Succinic Acid Alkyl Half-Ester Derivatives)

  • 백승엽;김영운;정근우;유승현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67-375
    • /
    • 2011
  • 숙신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 및 윤활성능이 우수하여 금속가공유 및 유압작동유 등의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유계 윤활기유의 방청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알킬 무수 숙신산과 여러 가지 지방 알콜과의 개환반응을 행하여 카르복실 그룹과 에스테르 그룹을 동시에 함유하는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를 97% 이상의 수율로 합성하였으며 1 중량% 농도범위에서 광유계 오일에 잘 용해되었다. 합성 유도체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GC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을 ASTM D665 표준방법과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하여 카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와 비교하였다. 방청성능 평가 결과, 합성 유도체의 농도가 증가하고 분자 내에 포함된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상대적으로 방청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비교물질인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한 80 중량ppm 농도를 첨가한 오일의 방청효율 % (IE%)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최고 95% 이상이었다. 또한, 발청속도(Corrosion rate, CR)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어 80 중량ppm에서 최고 0.3 mm/year 이하를 나타내었다. 즉,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은 분자 내에 함유되어 있는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63-570
    • /
    • 199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16일 후 탁주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alcohol 20종, ester 26종, acid 10종, aldehyde 10종, 기타 6종 등 모두 72종이 검출되었다. Aspergillus oryzae구는 68종으로 가장 많았고 재래누룩구의 술덧은 60종으로 적었다. 7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54종의 향기성분이 모든 시험 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alcohol류 $71.28{\sim}90.23%$, ester류 $0.66{\sim}9.05%$, acid류 $0.20{\sim}0.60%$, aldehyde류 $0.02{\sim}0.09%$순으로 나타났다. 시험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1-hexanol, 2.3-butadienol(D,L), benzene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acetic acid 그리고 benzene acetic acid 4-acetyloxy-3-methyl ethyl ester 등의 면적 비율이 높아 본 실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재래 누룩구는 1-pentanol, hex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았고, Mucor racemosus 누룩구는 1-hexanol, 1-dodecanol,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propenyl ester, acetic acid가, Rhizopus japonicus 누룩구는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4-methyl benzeneacetic acid phenyl ester, bu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타 시험구보다 각각 높았다. Aspergillus oryzae구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pentanoic acid가 높았으며 Aspergillus kawachii구에서는 1-butanol이 높았다.

  • PDF

N-아실-α-아미노숙신이미드와 N-아실-α-아미노글루탈이미드의 합성 (Synthesis of N-acyl-α-aminosuccinimides and N-acyl-α-aminoglutarimides)

  • 정대일;김문주;송현애;김윤영;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박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97
    • /
    • 2004
  • 앞선 연구의 구조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한 분자내에 MES 유발경련에 작용하는 cyclicimide의 구조를 포함하면, 그들의 구조가 경련 유발 수용체들에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 MES및 PTZ유발 경련에 모두 작용할 수 있는 적용 범위가 넓은 항경련성 화합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N-acyl-$\alpha$-aminosuccinimide 1과 N-acyl-$\alpha$-aminoglutar- imide 2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먼저 (R)-2-benzyloxy carbonylamino-succinic acid 3을 출발 물질로 하여 N-acyl-a-aminosuccinimide 1 유도체인 (R)-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l-yl ester 6a, (R)4-nitro-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b, (R)-4-nitro-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c, 그리고 (R)-propion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4를 합성하였다 또한 (R)-3-car-bobenzyloxy-aminoglutarrnic acid 7를 출발물질로 하여 N-acyl-$\alpha$-aminoglutarimide 2유도체인 (R)-(3-Benzyloxycarbonyl-amino-2,6-dioxo-piperidin-1-yloxy)-acetic acid methyl ester 10a, (R)-(3-benzyloxyarbonylamino-2,6-dioxo-piperidin-1-yloxy)-acetic acid ethyl ester l0b, 그리고 (R)-2-(3-benzylox-ycarbonylanino-2,6-dioxo-piperidin-1-yloxy)-propionic acid methyl ester l0c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6a, 6b, 6c, 6d, 10a, lOb, l0c에 대한 활성평가는 각 단계별 MES test와 PTZ test의 항경련 활성 시험 방법을 가지고 실험할 예정이다.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 김혜련;이애란;권영희;이향정;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1
    • /
    • 2010
  • 원료 찹쌀의 도정도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0% 도정찹쌀을 대조군으로 수율 기준으로 10, 20, 30% 도정한 찹쌀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원료 찹쌀의 도정도에 따른 조지방 함량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게 나타났고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H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총산은 1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및 환원당 함량은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중 malic acid와 acetic acid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에서 maltose와 glucose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fructose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료 찹쌀의 도정도를 달리한 발효주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환원당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맛 성분 중 입안의 중량감과 단맛을 나타내는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고 상큼하고 신맛을 나타내는 유기산 함량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7종, ester 39종, acid 6종, aldehyde 1종, alkane 4종, alkene 1종, 기타 2종으로 60종이 검출되었다. 술의 주성분인 ethyl alcohol을 제외하고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콤하면서 견과류향 특성을 나타내는 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그 다음을 나타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과일, 와인 향 특성을 나타내는 hexanoic acid ethyl ester, 2-octe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향은 거의 없고 부드럽고 달콤한 oil 특성을 나타내는 ethyl oleat, ethyl linoleate와 succinic acid diethyl ester, isoamyl laurate의 면적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Ester류 외에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acid류 중 propanoic acid의 면적비율은 증가하였고 n-caprylic acid의 면적비율은 감소하였으며 alcohol류 중 1-hexanol과 2,3-butanediol의 면적비율은 증가하게 나타났다.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Compounds from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Kochujang)

  • Chung, Jin-Ho;Shin, Heung-Chule;Cho, Jeong-Yong;Kang, Seong-Koo;Lee, Hyoung-Jae;Shin, Soo-Cheol;Park, Keun-Hyung;Moon, Jae-H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63-470
    • /
    • 2009
  • Sixteen antioxidative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tOAc layer of MeOH extracts of kochujang,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were structurally elucidated as fumaric acid, methyl succinate, succinic acid furan-2-yl ester methyl ester (gochujangate, a novel compound), 2-hydroxy-3-phenylpropan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2,3-dihydroxybenzoic acid, 2,4-dihydroxybenzoic acid, 6,7-dihydroxy-2H-chromen-2-one (esculetin), caffeic acid, cis-p-coumaric acid, trans-p-coumaric acid, daidzin, genistin, apigenin 7-O-$\beta$-D-apiofu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pigenin 7-O-$\beta$-Dglucopyranoside, and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ide by mass spectrometry (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experiments. These compounds were analyzed for the first time as antioxidants from kochujang.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의 합성과 반응 (Synthesis and Reaction of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

  • 조승환;송주현;이도훈;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정대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0-914
    • /
    • 2007
  • 본 연구는 MRI 조영제나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개발키 위해 paraformaldehyde와 hypophosphorous acid를 아미노산인 glycine 혹은 glutam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me-1,5-diacetic acid 1 와 3,7-dihydrexy-3,7-dioxoperhydre-1,5,3,7-diazadiphos-phocme-1,5-di- (2-glutaric acid)3을 합성하였다. 그러나 aspartic acid에 의한 2-[5-(1,2-dicarboxy-ethyl)-3,7-dihydroxy-3,7-dioxo-315.715-[1,5,3,7]diazadiphosphocan-1-yl]-succinic acid 2는 얻지 못했다. 합성 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1을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반응시켜 화합물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methyl ester 4,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ethyl ester 5, 그리고 3,7-dihyoxy-3,74dioxoperhy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propyl ester 6을 합성하였다. 계속해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할 것이며 생리활성검색도 실시할 예정이다.

지방족 에스터-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Aliphatic Ester-Carbonate Copolymer)

  • 김동국;김기섭;장영욱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70-976
    • /
    • 1996
  • 생분해성 지방족폴리에스터인 poly(butylene succinate) (PBS)의 기계적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에스터 주쇄 구조에 카보네이트 구조를 도입시킨 에스터-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이 공중합체는 일단계에서 succinic acid와 1,4-butanediol(BD)을 에스터 반응시켜 oligo(butylene succinate)를 합성하였고, 이 단계에서 oligohexamethylenecarbonate biol(OHMCG)을 첨가하고 고진공하에서 축중합하여 제조하였다. 촉매로는 titanium(IV) isopropoxide(TIP)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적, 기계적 물성은 각각 DSC와 UT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적정 촉매양은 succinic acid에 대해서 1wt%였다. Diol 혼합물의 몰비(BD:OHMCG)가 249:1~149:1일 때, 높은 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OHMCG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용융점은 계속 감소하였다. 혼합물의 몰비가 149:1인 경우의 공중합체의 물성은 PBS에 비해 초기탄성율은 약간 감소하였지만 파단신장율은 2배 정도 증가되었다.

  • PDF

상황(Phellinus linteus) 배양 균사체의 2차 대사산물에 대한 화학적 연구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Mycelial Culture Broth of Phellinus linteus)

  • 송경식;조수묵;고경수;한만우;유익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00-104
    • /
    • 1994
  • 상황(상황(桑黃); Phellinus linteus) 균사체 배양액의 ethyl acetate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6개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물 1은 표준품과의 비교에 의하여 succinic acid, 화합물 2는 $^1H-NMR$ 및 EI-MS로부터 p-hydroxyphenylacetic acid methyl ester로 동정되었으며, 화합물 3은 $^1H-NMR$과 EI-MS에 의하여 p-hydroxybenzaldehyde로, 화합물 4와 6은 각종 NMR data와 MS data 및 이들의 아세틸 유도체의 spectral data로부터 각각 2-hydroxymethyl-5-methoxy-methylfuran 및 2,5-dihydroxymethylfuran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화합물 5는 $^1H-NMR$ data와 EI-MS에서의 m/z 179의 molecular ion peak로부터 N-acetyltyramine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구조는 무수초산과 tyramine을 이용한 합성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확인되었다.

  • PDF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정동선;이영경;임경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58-1364
    • /
    • 2000
  • 생산량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높지 않은 농산물인 무, 감자, 생강, 사과, 대추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를 순행하고, 발효액의 유기산 농도와 향기성분, 박테리오신의 생성 및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저장성을 지닌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인 Lc. lactis를 이용한 과채 젖산발효액의 pH는 4.07, 산도는 0.36%이며,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박테리오신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발효중에 생성된 박테리오신의 항균역가는 냉장저장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젖산발효액에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한 효모를 접종하여 후발효시킨 효모발효액에서는 일부 유기산의 소모로 인해 산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cid의 함량은 1.5배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발효액에서 검출된 ester의 종류는 불쾌하고 쓴맛을 내는 phthalate 종류가 많은 반면, 효모 접종구에서는 과일향을 내는 ester 종류가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종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젖산발효액의 풍미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