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검색결과 13,685건 처리시간 0.033초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 신영희;이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27-134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을 알아보고, 성공적인 노화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며, 또한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 그룹의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대구의 일 동사무소에 등록된 노인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설문지 면접을 마친 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노인은 면담자가 직접 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 우울, 신체적 기능상태, 만성 질환 수, 그리고 친구와의 접촉 빈도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 도시의 노인에서 남성, 고학력, 배우자와 사별하지 않은, 그리고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우울정도가 심하거나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았다. 또한 신체기능과 자가 건강 평가수준이 높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친구와의 교제가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우울은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그룹을 분류하는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낮은 노인 그룹은 우울정도가 심하고 신체적 기능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반대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우울정도가 약하고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은 노인이었다. 우울과 만성질환은 노인이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은 그룹의 공통적인 특성이었으므로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재확인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성공적 노후인식, 이직의도 및 노후대책의 융복합적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plans of hospital nurses)

  • 허현점;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7-344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노후 인식정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성공적인 노후를 위해 안정적인 노후대책의 필요성을 인식 시키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사 29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8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 way-ANOVA,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 노후인식과 노후대책 정도는 정적상관관계(r=.13. p=.022)를 보였고, 정서적 노후대책과 성공적 노후인식도 정적상관관계 (r=.16, p=.007)를 보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융복합시대의 간호사들은 안정적인 직장에서 이직하지 않고 입사 하는 시점부터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미용학적 관점에서 본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 김수경;이정은;윤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82-3690
    • /
    • 2013
  • 본 연구는 미용학적 측면에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 등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50~64세의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분석하였고,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였으며, 다음은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의 순이었다. 둘째, 이들 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56.7%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년여성들은 성공적인 노후를 위해 노화에 대한 능동적인 의식과 더불어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노년을 준비하는 예비 노년층에 맞는 실질적인 교육과 중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표면적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는 미용의 지식체계에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Baseline Stimulated Thyroglobulin Level as a Good Predictor of Successful Ablation after Adjuvant Radioiodine Treatment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 Fatima, Nosheen;uz Zaman, Maseeh;Ikram, Mubashir;Akhtar, Jaweed;Islam, Najmul;Masood, Qamar;Zaman, Unaiza;Zaman, Aree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443-6447
    • /
    • 2014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baseline stimulated thyroglobulin (STg) level for ablation outcome in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remnant radioiodine ablation (RRA)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DTC).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ccrued 64 patients (23 male and 41 female; mean age of $40{\pm}14$ years) who had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RRA for DTC from January 2012 till April 2014. Patients with positive anti-Tg antibodies and distant metastasis on post-ablative whole body iodine scans (TWBIS) were excluded. Baseline STg was used to predict successful ablation (follow-up STg <2 ng/ml, negative diagnostic WBIS and negative ultrasound neck) at 7-12 months follow-up. Results: Overall, successful ablation was noted in 37 (58%) patients while ablation failed in 27 (42%). Using the ROC curve, a cut-off level of baseline STg level of ${\leq}14.5ng/ml$ was found to be most sensitive and specific for predicting successful ablation. Successful ablation was thus noted in 25/28 (89%) of patients with baseline STg ${\leq}14.5ng/ml$ and 12/36 (33%) patients with baseline STg >14.5 ng/ml ((p value <0.05). Age >40 years, female gender, PTS >2 cm, papillary histopathology, positive cervical nodes and positive TWBI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blation failure.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in patients with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I-131 ablation for DTC, the baseline STg level is a good predictor of successful ablation based on a stringent triple negative criteria (i.e. follow-up STg < 2 ng/ml, a negative DWBIS and a negative US neck).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의 차이 분석 (Difference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n Difference in National Pension Receipt)

  • 유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70-178
    • /
    • 2016
  • 본 연구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그 후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급액의 차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액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성공적 노후를 보내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급액의 차이는 삶의 만족도에선 유의미하였으나, 성공적 노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국민연금 수급이 경제적 안정감을 주어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기반이 될 수는 있으나 성공적 노후로 이어지려면 여가선용과 같은 사회적 지지도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민연금의 수급액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며, 수급액만으론 생활이 불안정하고 느끼고 있기 때문에 차후에 수급액의 만족도를 높이며, 여가선용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Surgery versus Nerve Blocks for Lumbar Disc Herniation : Quantitative Analysis of Radiological Factors as a Predictor for Successful Outcomes

  • Kim, Joohyun;Hur, Junseok W.;Lee, Jang-Bo;Park, Jung Yu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5호
    • /
    • pp.478-484
    • /
    • 2016
  • Objective :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for successful outcomes in lumbar disc herniation (LDH) treatment. Methods : Two groups of patients with single level LDH (L4-5) requiring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surgery group (SG) included 34 patients, and 30 patients who initially refused the surgery were included in the nerve blocks group (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leg and back pain and motor deficit were initially evaluated before procedures, and repeated at 1, 6, and 12 months. Radiological factors including the disc herniation length, disc herniation area, canal length-occupying ratio, and canal area-occupying ratio were measured and compared. Predicting factors of successful outcomes were determined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the optimal cut off values were established with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emographic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radiological and clinical (12 months follow-up) data revealed that the high disc herniation length with cutoff value 6.31 mm [odds ratio (OR) 2.35; confidence interval (CI) 1.21-3.98] was a predictor of successful outcomes of leg pain relief in the SG. The low disc herniation length with cutoff value 6.23 mm (OR 0.05; CI 0.003-0.89) and high baseline VAS leg (OR 12.63; CI 1.64-97.45)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successful outcomes of leg pain relief in the NG.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the disc herniation length larger than 6.31 mm showed successful outcomes with surgery whereas the patients with the disc herniation length less than 6.23 mm showed successful outcomes with nerve block. These results could be considered as a radiological criteria in choosing optimal treatment options for LDH.

익명의 알콜중독자(AA) 모임 참여군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예측인자 - 이기심, 부정직, 분노 및 두려움(SDRF) 통제를 중심으로 - (Predictors of Successful Control for Selfishness, Dishonesty, Resentment and Fear (SDRF) among Korean Alcoholics Anonymous Members)

  • 신인순;정윤철;김한중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1호
    • /
    • pp.73-79
    • /
    • 2001
  • Objectives : To examine predictors of successful control for selfishness, dishonesty, resentment, and fear(SDRF) among Korean Alcoholics Anonymous(AA) members. Methods :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The study group included members from 18 different AA groups which were enrolled in the Korean AA Association in 1998. 207 Out of 300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A members (response rate 69.0%). Alcoholics who attended AA meeting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elf reported level of success in SDRF control; one with very successful experience after AA participation and the other with little or no success.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A activities, relapse experience, and degree of effort exerted for SDRF control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In order to study predictors of successful SDRF control after joining AA, 4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each of the 4 SDRF indices. Results : The proportion of those reporting a 'very successful' experience was 19.9% for selfishness, 20.7% for dishonesty, 25.5% for resentment, and 24.7% for fear. After control for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actice of the 12th step(taking alcoholics to an AA meeting after conveying message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successful control of both selfishness(OR=6.04) and the dishonesty(OR=7.77). And individuals making every effort for SDRF control showed more successful control of selfishness(OR=4.10), dishonesty(OR=4.01, and fear(OR=34.89). Conclusions : B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demonstrated that especially practicing the 12th step and making every effort themselves, may help alcoholics to control SDRF successfully after joining AA.

  • PDF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s of Verification ego-resilience)

  • 이선화;석말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12-8020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고양시의 3개동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301명의 노인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21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연령, 종교, 동거인, 직업유무가 사회참여활동에 영향을 나타냈고, 직업의 유무는 성공적 노화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참여활동 하위변수인 자기개발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참여활동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자기개발참여활동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과 성공적 노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재조명 하였다.

노인의 인적·경제·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Elderly's Hum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s on Successful Ag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 한희경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981-997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본 중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사화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제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노인자본 중 경제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활동참여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노인자본 중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은 모두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의 자본과 사회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성공적 노후 영향요인 분석 : 가구유형별 집단비교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Elderly's Successful Aging: Group Comparison by Household Types)

  • 장신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논문은 1인가구, 부부가구,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구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 수준을 확인하고, 각 가구유형별로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집단별로 비교, 분석하여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제4차 개인용 조사와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인가구 699명, 부부가구 1,412명,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 238명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성공적 노후 수준은 1인가구가 부부가구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1인가구의 경우 경제활동, 경제적 독립, 집안일, 이웃관계, 가족관계, 자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부가구의 경우 경제적 독립, 신체적 건강, 친구관계, 자녀관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부와 자녀가구는 신체적 건강과 친구관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