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 Received : 2009.08.05
  • Accepted : 2009.11.16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2)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with successful aging, and (3) to identify a risk group for successful aging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analysis. One hundred eighty seven older people (>65years) participated in the cross-sectional survey. Trained interviewers collected data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demographic information, 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or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Young's successful aging instrument in subject's home. A CART analysis split subjects into ten homogeneous small groups based on five determinant factors. Older people who are male, with higher education, living with family, and not receiving Medicaid showed better scores in successful aging than their counter parts. Depression was a strong primary determinant for successful aging. A risk group for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was identified by depression and IADL. An intervention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and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of older people can be developed to promote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an assessment of depression to develop the policies for older people welfare.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을 알아보고, 성공적인 노화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며, 또한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 그룹의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대구의 일 동사무소에 등록된 노인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설문지 면접을 마친 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노인은 면담자가 직접 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 우울, 신체적 기능상태, 만성 질환 수, 그리고 친구와의 접촉 빈도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 도시의 노인에서 남성, 고학력, 배우자와 사별하지 않은, 그리고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우울정도가 심하거나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았다. 또한 신체기능과 자가 건강 평가수준이 높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친구와의 교제가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우울은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그룹을 분류하는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낮은 노인 그룹은 우울정도가 심하고 신체적 기능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반대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우울정도가 약하고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은 노인이었다. 우울과 만성질환은 노인이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은 그룹의 공통적인 특성이었으므로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재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4년 계명대학교 비사 연구 기금으로 이루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