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trate assay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3초

UDCA를 함유한 생약추출물혼합제제의 항염효과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and mixture of natural extracts combined with ursodeoxycholic acid)

  • 류인철;김상년;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1013-1021
    • /
    • 1996
  • There are many important factors in periodontal inflammation. $IL-1{\beta}$, $PGE_2$ and collagenase are predorminantly key factors. These inflammatory mediators induce gingival tissue and alveolar bone destruc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it is necessary to inhibit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Ursodeoxycholic acid(UDCA) has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nd there is evidence that some natural extracts show antiinflammatory activity to some de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hibitory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on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Accordingly we assessed the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combined with some natural extracts on inhibition of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For the $IL-l{\beta}$ inhibition study, cultured cells were exposed to $25{\mu}g/ml$ LPS. $IL-1{\beta}$ activity was measured by $IL-1{\beta}$ enzyme immunoassay system.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prepared and cells (l05/well) were seeded into culture plates. $rhIL-1{\beta}$ was added to induce $PGE_2$. The amount of $PGE_2$ in sample media was measured using enzyme immunoassay system. Crude collagenase was prepared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collagenolytic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a Collageno kit CLN-100. The test inhibitor was added to the assay mixture consisting of 0.1ml of 50mM Tris buffer(pH 7.5) and 0.2ml of substrate solution. UDCA and UDCA combined with natural extracts generally inhibited $IL-1{\beta}$ production. groups above 0.01% UDCA strongly inhibited $IL-l{\beta}$ synthesis. Both groups inhibited $IL-1{\beta}-induced$ synthesis of $PGE_2$. In low concentration,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as same as prednisolone. In high concentration, each group was superior to prednisolone. UDCA group and UDCA mixture group exerted a moderate inhibition of collagenolytic enzym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could be further investigated as antiinflammatory drug for periodontal disease.

  • PDF

Rare ginsenoside Ia synthesized from F1 by cloning and overexpression of the UDP-glycosyltransferase gene from Bacillus subtili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y in BL6B16 cells

  • Wang, Dan-Dan;Jin, Yan;Wang, Chao;Kim, Yeon-Ju;Perez, Zuly Elizabeth Jimenez;Baek, Nam In;Mathiyalagan, Ramya;Markus, Josua;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42-49
    • /
    • 2018
  • Background: Ginsenoside F1 has been described to possess skin-whitening effects on humans. We aimed to synthesize a new ginsenoside derivative from F1 and investigate its cytotoxicit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BL6 cells using recombinant glycosyltransferase enzyme. Glycosylation has the advantage of synthesizing rare chemical compounds from common compounds with great ease. Methods: UDP-glycosyltransferase (BSGT1) gene from Bacillus subtilis was selected for cloning. The recombinant glycosyltransferase enzyme was purified, characterized, and utilized to enzymatically transform F1 into its derivative. The new product was characterized by NMR techniques and evaluated by MTT, melanin cou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The new derivative was identified as (20S)-$3{\beta},6{\alpha},12{\beta}$,20-tetrahydroxydammar-24-ene-20-O-${\beta}$-D-glucopyranosyl-3-O-${\beta}$-D-glucopyranoside(ginsenoside Ia), which possesses an additional glucose linked into the C-3 position of substrate F1. Ia had been previously reported; however, no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was further examined. This study focused on the mass production of arduous ginsenoside Ia from accessible F1 and its inhibitory effect of melanogenesis in B16BL6 cells. Ia showed greater inhibition of melanin and tyrosinase at $100{\mu}mol/L$ than F1 and arbut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a decreased cellular melanin synthesis in B16BL6 cells through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ctivity.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on the mass production of rare ginsenoside Ia from F1 using recombinant UDP-glycosyltransferase isolated from B. subtillis and its superior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BL6 cells as compared to its precursor. In brief, ginsenoside Ia can be applied for further study in cosmetics.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K-01의 동정 및 생리적 특성 (The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JK-01 Isolated from Kimchi)

  • 조진국;이관호;조성진;윤여창;황성구;허강칠;최일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63-370
    • /
    • 2007
  • 김치의 L. plantarum의 생균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산생산과 성장능력 등이 우수한 25종의 Lactobacillus sp.를 분리하였고, API kit 분석에 의하여 L. plantarum을 동정하고 재차 16S rDNA 염기서열(99.9% 상동성)을 비교한 후 L. plantarum JK-01로 표기하였다. L. plantarum JK-01은 MRS broth에서 배양시 18시간 후 $2.9{\times}10^{10}CFU/ml$로 최대로 증식하는 빠른 성장특성을 나타냈으며 pH도 4.5로 조속히 하강하였다. 효소활성은 xylanase, amylase, protease, phytase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L. plantarum JK-01은 pH 2에서도 $1.36{\times}10^5CFU/mL$가 생존하였고, 1%의 담즙산에서도 약 $10^6CFU/mL$이상이 생존하여 내산성과 내담즙산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circ}C$에서도 $3.3{\times}10^3$ CFU/mL 정도로 생존하는 내열성이 있었으며, 대장균과 함께 배양시 18시간 후 대장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리한 L. plantarum JK-01은 생균제로서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MBOD법에 의한 낙동강의 조류증식 제한인자 추정 (Evaluation of Algal Growth Limiting Factor in the Nakdong River by MBOD Method)

  • 송교욱;서인숙;신성교;이석모;박청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83-83
    • /
    • 1995
  •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industrial activities had brought into eutrophication in the Nakdong river. A remarkable acceleration of eutrophication brought about serious problems for water supply.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it is necessary to control nutrients. MBOD method was use to evaluate algal growth limiting factor and algal growth potential in the Nakdong river from June to August 1994. The modified biochemical oxygen demand(MBOD) depends on the amount of available inorganic nutrient and organic substrate during 5 day incubation in the dark at 20$^{circ}C$. The MBOD assay depends on inorganic nutrients such as P and N as well as reduced carbon and called the MBOD, the MBOD-P, and the MBOD-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bioassay by MBOD(Modified BOD) method showed that the MBOD, MBOD-P and MBOD-N value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s of 3.8∼96.0 mg$O_2$/l, 5.6∼94.0 mg$O_2$/l and 42.0∼220 mg$O_2$/l, respectively. And the the bioassay valu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Koryong area and the lowest in Waekwan area throughout the Nakdong river. The variations of MBOD-P and MBOD-N value showed similar tendencies to the variations of phosphorus and nitrogen value, respectively. By MBOD method, the relationships of MBOD, MBOD-P and MBOD-N value were MBOD ≒ MBOD-P 《 MBOD-N. The MBOD value was nearly equal to the MBOD-P value, and the MBOD-N value was 3 to 20 times more than the MBOD-P value, approximately. Therefore, in the Nakdong river, phosphorus was the limiting factor for algal growth during summer season. The algal growth potential as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 the summer was maximum 5 times more than standing crop as it.

토양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 Produced from Soil Microorganism)

  • 박정수;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507-15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정하고 활성이 높은 cholesterol oxid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얻기 위해 토양 미생물로부터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에 대하여 세포외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BEN 115로 명명한 균주가 가장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배양형태 및 G+C 함량을 분석한 결과 Nocardia속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효소 생산 조건을 조사한 결과 기존 yeast malt extract broth 조성인 0.4% yeast extract, 0.4% glucose, 1% malt extract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본 균주에서 생산된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는 SDS-PAGE와 Western blot 결과 분자량이 55, 57 kDa인 두 종류의 효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 115에 대한 효소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온도 안정성은 $55^{\circ}C$까지 효소 활성이 유지되었고, pH 안정성은 pH $3.5{\sim}9.5$의 범위까지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온도와 최적 pH는 각각 35oC와 pH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tergent(Triton X-100, Triton X-114 그리고 Tween 80) 첨가 시 효소 활성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약 $1.6{\sim}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mpesterol, sitosterol 그리고 stigmasterol에 대한 기질 특이성은 cholesterol(100%)과 상대적으로 비교 시 각각 50%, 50% 그리고 27%의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MLSB 항생제 내성인자인 ErmSF의 N-terminal 38개 아미노산 제거가 항생제 내성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uncation of 38 Amino Acids in N-terminal Region of ErmSF, a MLSB Antibiotic Resistance Factor Protein, on Enzymatic Activity)

  • 이학진;진형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9-244
    • /
    • 2014
  • ErmSF는 macrolide 항생물질인 tylosin을 생성하는 Streptomyces fradiae가 보유한 4개의 항생제 내성인자 단백질 중 하나로 23S rRNA의 $A_{2058}$에 dimethylation 시킴으로써 항생제가 부착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그 내성을 일으킨다. ErmSF는 다른 Erm 단백질과는 달리 긴 N-terminal end region을 가지고 있어서 그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1-38번째의 아미노산을 제거한 결손변이 단백질을 고안하고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그 활성을 in vivo와 in vitro에서 관찰하였다. 결손변이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장균은 결손에 의한 활성저하에 기인하여 야생형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장균에 비하여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손상된 것을 관찰하였다. 세포 외 in vitro에서의 활성은 야생형 ErmSF에 비하여 약 20%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관찰된 활성의 저하는 결손 변이에 의한 활성화 부위에서 일어난 결손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기질의 부착 또는 생성물의 효소에서의 이탈 과정이 손상되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트리코모나스의 병원성과 단백 분해 효소와의 상관성 (Proteinase activity in the isolates of Trichomonas vaginalis according to their pathogenicity)

  • 심영기;박경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17-128
    • /
    • 1993
  • 이 연구는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무균 배양된 10개의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에 대하여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고 단백분해효소 관련 여부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들은 마우스 피내 접종 실험을 통한 병원성 판정에서 약병원성 주, 중등도 병원성 주 및 강 병원성 주 등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중성 단백분해효소 및 산성 단백분해효소 활성도는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에서 약 병원성 주에 비해 강 병원성 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피하농양 크기에 따른 병원성과 상기 단백분해효소의 비활성도(specific activi쇼)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5) 질트리코모나스 단백분해효소는 gelatin을 기질로 하는 SDS-PAGE 전기영동에서 RF치를 달리하는 5가지 분획대가 나타났으며 그 분획양상은 각 분리주 의 병원성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러가지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전기 영동 효소액에 처리했을 경우 antlpaln과 leupeptin 처리군에서는 분획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EUTA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그 활성이 약화된 분획이 관찰되었고, PMSF 처리군에서의 분획들은 대조군과 그 활성의 차이를 볼 수 없어 이들 단백 분해효소는 cystelne 단백분해효소로 추정되었다. 조직 세포에 대한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병원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추출물의 단백질 농도 $12.0{\;}\mu\textrm{g}/100{\mu}\ell$ 이상에서 세포 독성에 따른 병원성 구분이 용이하였다. 그리고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에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독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antipain 처리군에서는 조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ysteine계로 추정되는 질트리코모나스의 단백분해효소는 특이한 전기영동 활성 분획상을 나타내었는 바 이들은 모두 충체의 병원성 및 세포 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상아모세포의 I 형 아교질에 대한 부착 (THE ADHESION OF ODONTOBLAST TO TYPE I COLLAGEN)

  • 안명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8-316
    • /
    • 2010
  • 상아모세포는 부착분자들을 이용하여 기질에 부착하는 세포이며, 인테그린과 같은 부착분자들이 일련의 세포와 세포외기질을 인지하는 신호전달분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아모세포(MDPC-23 세포)와 I형 아교질과의 상호작용과 TGF-${\beta}1$과 TNF-${\alpha}$가 세포부착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MDPC-23 세포는 농도의존적으로 I형 아교질에 부착했으며, 면역형광염색법에서 MDPC-23 세포가 아교질에 부착할 때, 국소부착점에서 인테그린 ${\alpha}1$, ${\alpha}2$, CD44, FAK 그리고 paxillin의 발현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싸이토카인 TGF-${\beta}1$은 MDPC-23 세포의 아교질에 대한 부착성 및 인테그린 ${\alpha}1$, ${\alpha}2$와 chondroitin sulfate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RT-PCR의 결과에서는 인테그린 ${\alpha}1$의 mRNA의 양이 TGF-${\beta}1$에 의해서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MDPC-23 세포는 아교질에 부착 친화성을 갖고 있으며, 부착 시에 인테그린 ${\alpha}1$, ${\alpha}2$와 CD44 그리고 chondroitin sulfate와 같은 부착분자들이 관여한다. 그리고 TGF-${\beta}1$은 인테그린 ${\alpha}1$, ${\alpha}2$ 그리고 chondroitin sulfate와 같은 부착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Ginsenoside Rb1 and compound K improve insulin signaling and inhibit ER stress-associate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adipose tissue

  • Chen, Weijie;Wang, Junlian;Luo, Yong;Wang, Tao;Li, Xiaochun;Li, Aiyun;Li, Jia;Liu, Kang;Liu, Baol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351-358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ginsenoside Rb1 (Rb1) and compound K (CK) ameliorated insulin resistance by suppressing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induced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Methods: To induce ER stress, epididymal adipose tissue from mice or differentiated 3T3 adipocytes were exposed to high glucose. The effects of Rb1 and CK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ER stress, TXNIP/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flammation, insulin signaling activation, and glucose uptake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em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r fluorometry. Results: Rb1 and CK suppressed ER stress by dephosphorylation of $IRE1{\alpha}$ and PERK, thereby reducing TXNIP-associate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adipose tissue. As a result, Rb1 and CK inhibited IL-$1{\beta}$ maturation and downstream inflammatory factor IL-6 secretion. Inflammatory molecules induced insulin resistance by upregulating phosphor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at serine residues and impairing insulin PI3K/Akt signaling, leading to decreased glucose uptake by adipocytes. Rb1 and CK reversed these changes by inhibiting ER stress-induced inflammation and ameliorating insulin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the insulin IRS-1/PI3K/Akt-signaling pathway in adipose tissue. Conclusion: Rb1 and CK inhibited inflammation and improved insulin signaling in adipose tissue by suppressing ER stress-associated NLRP3 inflammation activation. These findings offered novel insight into the mechanism by which Rb1 and CK ameliorate insulin resistance in adipose tissue.

Rhodococcus sp. CP01에 의한 페놀과 6가 크롬이온의 동시 제거 (Simultaneous Removal of Phenol and Hexavalent Chromium by Rhodococcus sp. CP01)

  • 최광현;오영숙;김병동;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284
    • /
    • 2000
  • 페놀을 유일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Rhodococcus sp. CP01을 침출수로부터 분리하고 회분식 및 연속배양 체제에서 크롬(VI)을 동시에 환원시키는 능력을 추정하였다. 크롬(VI) 환원의 최적 pH 7.0과 페놀 농도 1,000 mg/L에서 최소배지에 주어진 0.25 mM의 크롬(VI)은 CP01 균주에 의해 60시간만에 완전히 환원되었으며, 이때 크롬의 환원속도는 4.17 $\mu$M/hr, 페놀의 분해속도는 38.4 mg.$L^{-1}$.$hr^{-1}$로 측정되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100hr으로 유지한 호기성 연속배양 체제에서 크롬(VI)의 농도를 0.0625, 0.125, 그리고 0.25 mM로, 페놀 농도를 1,000~4,000 mg/L까지 변화시키면서 46인간 운전한 결과, 크롬(VI) 0.125 mM과 페놀 3,000 mg/L일 때 유사 steady state에 이르렀으며 이때 크롬의 환원율은 거의 100%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 구간에서 계산된 specific reduction rate는 0.34 mg Cr(VI).g $protein^{-1}$.$hr^{-1}$로서 glucose를 생장기질로 이용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중금속 크롬(VI)과 방향족 화합물인 페놀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처리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