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link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5초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화산 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개념도 활용 (The Effects of Utilizing Concept Map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Volcano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성상현;위수민;정진우;정재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614-62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화산 수업에서 학생들이 유의미 학습을 통해 성취도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수업 전략의 한 방법으로 개념도 활용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개 초등학교 6학년 2개반 학생 80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전통적인 수업방법으로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개념도를 수업에 활용한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개념검사지를 통한 학생들의 화산 개념의 성취도 분석 및 개념도 수업 전략의 활동에 따른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과 개념도를 수업에 이용한 집단 사이의 성취도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둘째, 수업 후 중 ${\cdot}$ 하위그룹간의 개념성취 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 ${\cdot}$ 하, 상 ${\cdot}$ 중위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개념도 수업이 상위그룹보다는 중 ${\cdot}$ 하위 그룹에게 보다 큰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개념도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관계, 위계, 연관, 예의 범주에 있어서 교재 내용의 개념을 구조화하는데 학생들이 능숙해짐을 보였다.

시장지향성이 기업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시장정보품질과 종업원 업무성과의 역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The Role of Market Information Quality and Employee's Task Performance Linking Market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in SMEs)

  • 홍성준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3호
    • /
    • pp.141-152
    • /
    • 2018
  • 많은 연구들이 시장지향성의 기업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밝혀주고 있지만 최근까지도 시장지향성이 어떻게 기업성과를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시장 지향적 행위의 질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고, 시장지향성의 성과를 주로 기업수준의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아니라 산업이나 경영환경에 따라 지나치게 다양한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일반화된 성과 창출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시장지향성이 기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시장정보의 행위적 측면뿐만 아니라 시장정보의 품질이 전제되어야 하며, 개인수준에서 성과 창출이 매개되어야 조직 전체의 성과로 확산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서 시장정보품질을 조절변수로, 종업원의 업무성과를 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이들 변수는 산업 차이나 대상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장지향성 연구의 보편성과 실무적 적용가능성을 확대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연구결과 시장지향성-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2가지 변수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도는 학문적으로는 시장지향성을 양과 질이 균형 잡힌 개념으로 완성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입장에서 성과창출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시장지향성을 적용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성과 창출과정을 쉽게 이해해 활용도를 개선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난 수직적 몽타주 분석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중심으로- (Analytic study on Vertical Montage as expressed in Assoziation Montage -Focused on animation, Paprika-)

  • 임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3-90
    • /
    • 2013
  •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작품을 통하여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몽타주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몽타주는 프도프킨, 에이젠슈테인, 자끄 오몽 등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몽타주를 시각적 이미지에 보다 더 비중을 두었다. 영상은 시각과 청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두 관계는 서로 상호 작용을 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연구한 시각 영상을 분석한 연상 몽타주에 기초하여 청각적 요소를 분석한다면, 좀 더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전체적으로는 자연적인 일치로 시각 영상에 대한 보완을 하고 선율적 일치로 전체적인 정서를 반영하게 하는 연결 관계를 보였다. 또한 시간과 장소, 그리고 명확하지 않은 공간들에서 운율적 일치를 나타낸다면, 그 요소들이 서로 관계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연속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 연속성을 끊어내는 역할, 즉 부분적으로 관객을 몰입하게 하는 음조적 요소가 공간과 시간을 뒤집거나 변화할 때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사건의 전환점을 나타내며 등장인물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 변혜옥;한봉호;기경석;정진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5-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가로를 토지이용별로 분류하여 녹량 특성과 경관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가로는 서울시에서 이용률이 높은 가로이면서 보도가 넓어 녹지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큰 가로인 광로만으로 한정하였다. 가로 유형별 녹량 및 경관 현황을 종합하여 보면 가로유형에 상관없이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가 대표 가로수종으로 식재되었고 가로별 녹시율은 주거지역 51.6%, 녹지지역 50.4%, 상업지역 45.2%, 업무지역 43.7%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을 제외한 지역에는 가로 띠녹지가 거의 없었고 가로별 녹피율은 업무지역 71.0%, 녹지지역 64.0%, 주거지역 37.3%, 상업지역 36.2% 순이며 녹지용적계수는 평균 $1.9m^3/m^2$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로 주거지역가로는 풍부한 녹의 커뮤니티공간과 4계절 화관목 경관제공을 목표로 하였고, 상업지역가로는 화목류와 단풍으로 상가 이미지 부각을 하되 서비스행위 및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업무지역가로는 녹량과 녹시율 증가 및 도심이미지에 어울리는 가로공간 연출을 목표로 하였고, 녹지지역가로는 자생종 위주의 다층식재 및 주변산림과 연계를 통한 야생동물 은신처, 서식처 제공을 위한 가로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였다.

GIS를 활용한 도시개발과 기반시설의 합리적 연계 (Linking Urban Development Density with Infrastructure Capacity)

  • 여창환;김재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6-59
    • /
    • 2007
  • 도시성장관리는 도시개발의 위치와 시기를 조절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는 정책이다. 도시기반시설은 도시성장관리의 핵심관리대상으로써 미국의 경우 대표적으로 도시서비스구역(urban service boundary), 공공시설의 충분성 및 동시성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반시설의 관리를 위하여 밀도관리구역과 기반시설부담구역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시기반시설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반시설용량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없이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기반시설의 용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반시설용량 지도를 작성하여 이를 다시 주상복합아파트 개발과 연계함으로써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로와 초등학교를 대표적인 기반시설로 선정하고 기반시설용량 지표로서 도로율과 초등학교 학급당인원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계산결과를 관련 법령에서 정하거나 권장하고 있는 수준의 용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율은 외곽지역과 도심, 도심과 인접한 지역에서 높게 나왔고, 반면, 소규모 공장이 입지한 공업지역, 공원, 공항, 군사시설 등이 있는 지역에서 낮게 나왔다. 초등학교 수용용량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그중 농촌지역, 도심과 기성시가지 지역은 용량이 충분하였고 반면, 주택밀도가 높은 아파트 지역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반시설용량과 주상복합아파트개발 입지를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 대구광역시의 경우 대부분의 주상복합아파트가 기반시설용량의 여유가 있는 지역에 입지하여 과밀개발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인구측면에서도 인구감소지역에 개발되어 어느 정도의 인구유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회수율 평가 (The Evaluation of Recovery Rate of Radioimmunoassay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 최성희;신선영;임소희;홍미경;노경운;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58-162
    • /
    • 2014
  • 공인된 기구에 의해 발급된 문서를 동반하는 인증표준물질은 특성값과 추정값의 신뢰정도를 나타내는 연계 불확도, 그리고 측정한 결과가 명시된 불확정 정도의 범위 내에서 국가 측정 또는 국제측정표준에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교정하는 소급성을 제공하는 표준물질이다. 회수율 검사는 검체를 측정하여 얻은 값이 참값에서 얼마만큼 벗어났는지의 차이를 말하며 키트의 정확도를 반영한다. 이러한 인증표준물질을 가지고 회수율 검사를 하는 것은 체외 방사면역진단키트의 정확성을 보여주며 이러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인증표준물질은 NIBSC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 and control, United Kingdom)와 IRMM (Institute for Reference Materials and Measurements, Belgium)에서 구입하였고 검사 종목은 T4, Ferritin, PSA, Prolactin, AFP 그리고 TSH으로 총 6종목이다. T4는 IRMM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종목은 NIBSC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였다. C-1 (저농도), C-2 (중농도), C-3 (고농도) 3 level로 제조하여 본원에서 사용하는 키트를 이용하여 4회 측정하였다. WHO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회수율 측정에서 T4 90%, Ferritin 88%, PSA 94%, Prolactin 99%, AFP 94%, TSH 93%였다. 6개 종목의 회수율 측정에서 88-99%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핵의학 체외진단키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 연구가 다른 검사실의 키트로 확장되어 검사가 되어야 하고 검사실간에도 교류가 필요하다.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체외진단키트의 회수율 평가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하며 결과의 정확성은 환자의 만족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의학입문.상한편(醫學入門.傷寒篇)"의 "표본수명후선(標本須明後先)" 조문(條文)에서 나타난 삼음삼양병(三陰三陽病)의 표본(標本) 개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Pyo-bon(標本) concept based on the verse "The Principal and secondary aspects must first be decided(標本須明後先)." in the Sanghan(傷寒) Chapter of "Yixuerumen(醫學入門)")

  • 신상원;정창현;백유상;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6
    • /
    • 2012
  • "Yixuerumen" is a comprehensive medical text published in the Ming-dynasty by Li Chan(李梴). In this text, Sanghan(傷寒, cold damage) is categorized among external contraction(外感) with much empha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verse "The Principal and secondary aspects must first be decided." and its annotations in the in the Sanghan chapter of "Yixuerumen". The complex theoretical structure of this verse was firstly analyzed, together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and why Li Chan adopted this concept. The Pyo-Bon concept is the contrast between phenomena(標) and its underlying source of motivation(本).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is main verse with contents on Sanghan and Un-gi(運氣) within the text, while reviewing historical theories explaining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the human body in terms of the Pyo-bon(標本) concept. As a result, we discovered that the Pyo-bon(標本) concept used in the aforementioned verse of "Yixuerumen" matches the Three Eum Three Yang(三陰三陽)-標本中氣(pyo-bon-jung gi)-gi transformation(氣化) theory of Un-gi(運氣). Li Chan created the connecting link in understanding the Three Eum Three Yang diagnosis system through the viscera/bowels theory(臟腑論) by adopting the Three Eum Three Yang(三陰三陽)-標本中氣(pyo-bon-jung gi)-gi transformation(氣化) theory from Un-gi. Li's work lead to several changes in the field of Sanghan. First, Li understood the disease pattern of Sanghan by using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the viscera/bowel theory during the Jin-Yuan dynasty, and developed a medical perspective that observes the disease pattern based on the body's essence gi(精氣). Second, he set the category of the Sanghan-Three Eum Three Yang disease pattern, establishing a separate guideline. Third, by adding knowledge of herbs to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the viscera/bowel theory,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herbal application were made explic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三陰三陽 diagnosis system with viscera/bowels theory, theoretical inconsistencies appeared, of which Li tried to mend by several mea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Yixuerumen(醫學入門) the Sanghan chapter(傷寒篇)" calls for further studies, as it has effected both "Dongeuibogam(東醫寶鑑) the Sanghan part(寒門)" and "Dongeuisoosebowon(東醫壽世保元)" as well.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 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iBUM Development based on BIM/GIS Standard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Spatial Database)

  • 류정림;추승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27-41
    • /
    • 2014
  • 최근 건축정보 분야에서는 터널, 교량 등 도시의 인프라에도 건축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되면서 대형화된 도시 건축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BIM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건축물정보모델 및 도시/지리정보 모델 간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및 도시계획, 국토보안 등 기타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상당한 이익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에서 공간정보와 빅 데이터의 융합은 강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정보 분야의 개방형 BIM(open BIM) 표준모델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GIS분야의 표준모델인 CityGML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IFC와 CityGML, LandXML의 정보체계 및 형상표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객체기반의 건축 도시통합모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BIM과 GIS 간의 기초 융합전략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공간 구조적 연결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in spatial structure of senior Center in Seoul)

  • 김진아;변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82-193
    • /
    • 2012
  • The percentage of senior citizens is increasing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ging society". Problems with the elderly are becoming a big concern, such as physical and mental illness, losing their jobs and having difficulties at home. But, the silver generation, as they are being known, has changed a lot these days. With the aid of medical developments, the elderly's lifespan has become longer, making them more independent and active. Senior Welfare Center's are places where the elderly can spend their golden years in comfort, meaningfully. Senior Welfare Center's these days provide many different programs, which naturally lead to an increase in elderly users. With the rise in welfare centers and users, research on the subject also grew. As this topic has only recently become an issue, there were not many spatial structure studies considering elderly movement. Therefore, there should be spatial structure research that considers older users space awareness and how it can be managed effective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resources for providing a comfortable senior welfare center for elders. This will be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derived from spatial structure research along with special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stitution's general plan. As a research method, Senior Welfare Center's will be categorized into corridor type, hall type, and hybrid types which then be reproduced into a j-graph. Based on this, spec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connection links will be comprehended. Then the connection link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space syntax result calculated from each type's integration, connectivity, control value, and intelligibility.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Senior Welfare Center j-graph's average arrangement is hybrid>corridor>hall types. Those elders lacking awareness need easily perceivable spatial structure's and hall type's would be the best choice to increase their awareness as it has high articulation. However, hall type's would be difficult to construct with the size increase, so hybrid type would be the next logical solution. Space with relatively high articulation will need to be planned in hybrid type's where rest areas can be created within the halls in the Welfare Center in connection to its corridors.

  • PDF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tereotypical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aeteomins (North Korean Refugees) to Knowledge of North Korea)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20-833
    • /
    • 2009
  • 다문화 교육의 실천은 세계 여러 나라마다 다문화 사회 형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여러 분야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과 사회적 친밀감의 정도가 북한에 대한 지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새터민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이주해 온 이주자들처럼 한국사회에 적응해야하는 상황이면서, 언어적,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특수성을 가진다. 같은 민족이면서 다른 문화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새터민과 남한 사람사이에는 문화적 이질감이 존재하고 있는데 새터민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다문화적 감수성을 함양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새터민의 탈북양상이 최근 가족단위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학령기 아동의 한국사회 적응은 관련 당사자 모두의 과제인 가운데,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중학생들이 새터민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각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북한에 대한 지식을 범주화하여 교과지식, 북한상식, 시사이슈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설명력 분석 결과, 북한에 대한 지식은 새터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북한에 대한 교육 내용이 변화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지리교육 내용을 구성에 시사점을 가지며, 다문화교육 실천에 교과의 내용지식의 활용 가능성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