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content knowledge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The Case of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on Atmospheric Pressure)

  • 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219-123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 기반의 두 핵심 요소인 SMK와 PCK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6명의 중등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SMK 분석을 위해서 기압 개념에 대한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PCK 분석을 위해서 대기압 주제에 대한 수업 계획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기압에 대한 교사들의 SMK 수준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SMK 수준이 높은 교사의 경우는 대기압 개념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보충적 및 기본적 교육과정 내용에 집중하는 반면, SMK 수준이 낮은 교사의 경우는 기본적인 내용보다는 적용적 교육과정 내용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MK 수준이 높은 교사는 대기압 관련 학생의 오개념 또는 어려움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K 수준이 높은 교사는 학생의 오개념을 도입하여 이를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학생 중심의 수업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SMK 수준이 낮은 교사는 교사 중심의 개념 설명에 치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지식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

  • 김현주;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82-39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ided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was implemented to 33 for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an education office in Seoul, Korea. The method of evaluating scientific knowledge was divided into well-structured paper-pencil test (asking specific and limited range of content knowledge of plants) and ill-structured descriptive test (stating all the knowledge they know about plants) to find out which methods were more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were requir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their own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and how to obtain scientific knowled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well-structured paper-pencil test (r=.38) and ill-structured descriptive test (r=.51) result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ientific creativ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both the knowledge measured by the two evaluation methods have the ability to explain scientific creativity. Third,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of science, the higher the scientific creativity. Fourth, the description about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reveale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ype LL students of all 13 students (53.8%, 7 students) answered 'I have little knowledge of plants because I have little interest in them.' Fifth, the description about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reveale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ype HH students of all 15 students (40%, 6 students) answered 'I think my science creativity is high through my experience of scientific creativity. Sixth,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reading' was the most popular way to obtain scientific knowledge, with 27 out of total 33 students choosing it. In particular, all 18 students from Type HH (high scientific knowledge and high scientific creativity) and Type HL (high scientific knowledge and low scientific creativity) - those with high scientific knowledge - gave that respons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should explore practical teaching methods and environment for gifted students to improve their scientific creativity by revealing the nature of the factors that affect scientific creativity and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Who knows what and to what extent - modeling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 Hochang Kwon
    • 트랜스-
    • /
    • 제14권
    • /
    • pp.65-92
    • /
    • 2023
  •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not only constitut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itself,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recipient. Also, the disparity of knowledge between narrative ag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a narrative richer and more interesting. But It tends to be treated as a sub-topic of narration theory or genre/style studi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subject of narrative studies or criticism. In this paper, I propose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s.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represents a narrative, the knowledge state that expresses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 as a degree of belief, and the knowledge flow that means changes in the knowledge stat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vents. In addition, the formal not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a probabilistic inference model that could obtain the state of knowledge were proposed, and th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model to the actual narra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the creation and evaluation of narratives.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상 교과 내용 체계표의 변천과 쟁점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Trends and Issue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Subject-Matter Content System Table: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Case)

  • 이경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7-103
    • /
    • 2024
  •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교과서 집필 및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그리고 교과 교육과정 연구 등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쟁점을 포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신설된 제6차 교육과정으로부터 최근의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체계가 제시되어 온 방식의 변천을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사례로서는 과학과의 경우를 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한 교과 내용 체계의 구성의 쟁점과 제안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분야', '범주' 등의 용어를 주의 깊게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이 단순히 논리적인 구별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특정 강조점을 지닌 내용 조직자로서 의도된 것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핵심 아이디어' 등 혁신적인 내용 조직자로 기능할 수 있는 항목들의 성격을 엄밀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3차원적 내용 요소 제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되,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어떻게 동원되어 총론적 핵심 역량 각각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넷째, 교과별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일이 '총론과 각론의 괴리'를 해결할지 혹은 '총론과 여러 각론의 괴리'를 만들어낼지는 미지수이므로, 이를 국가 교육과정에서 시도하는 일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교과 내용 체계 구성 방식의 겉보기 진자 운동이 관찰되는 바, 이것이 무의미한 반복에 머무르지 않고 변증법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몽골공과대학에서 인터넷 마케팅 과목의 BPBL 적용을 위한 문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 Design for BPBL of Internet marketing subject in Mongolian Engineering College)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30-536
    • /
    • 2017
  • BPBL은 종전의 강의법을 지양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BPBL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인 문제개발의 절차를 구체화하고,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 교육내용을 토대로 BPBL 학습에 필요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는 학생들이 충분한 도메인 지식을 얻고, 적절한 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적절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좋은 문제를 개발하기 위한 BPBL 문제 개발 절차는 핵심적인 학습목표 및 내용 선택하기, 학습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하기, 문제의 초안 작성, 학습자 특성 파악하기, 문제 발견하기, 역할과 상황 설정하기, 문제 작성하기로 요약 할 수 있다. 문제 개발 절차에 따라서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토대로 BPBL이 적합한 5개의 통합 문제를 개발하였다. 현재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일제학습이 아닌 BPBL을 통해서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창의적 인터넷 마케팅 수업을 위한 BPBL 문제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예비수학교사의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 탐색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69-285
    • /
    • 2016
  •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발하게 탐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PCK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에 주목하고, 예비수학교사들의 KCS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로부터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을 자유응답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답변을 기술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한 학습자의 전형적인 오류, 학습자의 내용 이해, 학습자의 발달 계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수학적 관점 혹은 교육적 관점을 갈등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혹은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esign of Subject-based Community Model by Linkage Heterogeneous Content: Focused on Field of Biological Science

  • Ahn, Bu-Young;Kim, Ji-Young;Oh, Chung-Shick;Lee, Myu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3호
    • /
    • pp.10-14
    • /
    • 2010
  • Researchers in Korea and elsewhere have carried out a wide variety of important research activiti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producing valuable research results. For such diverse research results to be shared and exchanged among researchers working in the same discipline and research subject there needs to be a community environment based on fre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classify and reprocess the reference/factual content owned by the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 state-run distributor of informa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by the different research subjects. It also seeks to develop and provide a community model based on the concepts of open archiving and open access for the researchers specialized in the related fields of research. This community model is developed focusing on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field of bioscience, where the most extensive studi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To develop the community model, this study: (a) survey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tent owned by KISTI; (b) analyzes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scientific content among the KISTI-owned content; and (c) designs a web platform where researchers can freely upload/download research results.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atural number Concept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명희;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93-734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Shulman(1986b)은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면서, 가르치는데 필요한 내용지식을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방정숙(2002)은 교사의 교수 방법에 포함되는 요소를 개인 요소와 사회 문화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문제는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하여 어떤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가의 두 가지이다. 연구 결과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 유형을 적절히 갖추고 있고,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사회문화적 요소 보다는 개인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는 (1) 보통의 현장 교사와 수학교육을 전공한 교사간의 비교 연구와 (2)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실 활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예비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및 자기효능감 발달에 미치는 동료멘토링의 영향 (The Influence of Peer Mentoring on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53-3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및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발달에 미치는 동료멘토링의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37명의 예비음악교사들이 16주간 동료멘토링을 통해 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을 진행하였다. 예비음악교사들의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활용하여 PCK의 구성요소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환경상황지식 및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해 분석하였다. 반구조화된 인터뷰 내용과 성찰저널 분석은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경험 연구'방법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인터뷰와 성찰저널 분석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동료 멘토링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에 대해 자신감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음악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교사로서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실질적인 수업시연 및 교수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법 개발에 대한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Standard Clas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 고영만;서태설;조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1-17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서비스하는 국내의 모든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에서 공동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자료유형과 매체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국가지식정보 분류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문헌분류 체계와 지식정보자원 분류 체계의 차이, 지식정보자원의 분류사례 및 지식정보자원 분류에 대한문헌분류 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기초 분석에 이어 국가지식정보 표준분류 체계 개발에 필요한 지식의 분야별 분포, 분류의 계층과 유연성 확보 방안, 지식정보 자원의 자료유형과 매체유형, 국가지식정보의 포털서비스 방안 등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 분류표, 자료유형 분류표, 매체유형 분류표로 구성된 다원적 국가지식정보 분류 표준(안) 모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