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곽수란(2004).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6/17(1), 51-60.
|
2 |
교육부(2017). 영재교육진흥법. 교육부.
|
3 |
김경근(2005). 한국 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
4 |
김명숙(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
5 |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
6 |
김민주, 임채성(2019).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39-452.
|
7 |
김영정(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81-90.
|
8 |
김청자(2005).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열린교육연구, 13(3), 75-101.
|
9 |
강정하, 최인수(2008).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2), 201-237.
|
10 |
김호상, 유미현(2015).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과학영재교육, 7, 67-82.
|
11 |
류은희, 김중복, 이정숙(2012).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Peer Instruction을 통한 인지갈등: 문항의 난이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1), 117-139.
DOI
|
12 |
박민정, 전동렬(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
13 |
박창남, 이승철, 류형선(2012). 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식 교육적 접근. 창의력교육연구, 12(3), 173-185.
|
14 |
Simonton, D. K. (1984). Genius, creativity, and leadership.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15 |
Stefoff, R. (2002). 진화론과 다윈 [Charles Darwin and the evolution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이한음 역). 서울: 바다출판사. (원서출판 1996).
|
16 |
Sternberg, R. J. (1998).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7 |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DOI
|
18 |
Sue C. W. (2010). 유아교육과 평가: 형식적 평가와 비형식적 평가의 균형 잡힌 활용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역). 서울: 정민사. (원서출판 2007).
|
19 |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
20 |
배진수, 이영만(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력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43-61.
|
21 |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
22 |
서혜애(2004).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영재교육연구, 14(1), 65-89.
|
23 |
임동순, 양연숙(2013). 영재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연과학.
|
24 |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
25 |
최일호, 최인수(2001).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09-428.
|
26 |
황재연, 최명숙(2006).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255-274.
|
27 |
Adderholdt, M. R. & Goldberg, J. (1999). Perfectionism: What's bad about being too good? Minneapolis, MN: Free Spirit.
|
28 |
Alexander, P. A. (1992). Domain knowledge: Evolving themes and emerging concerns. Educational Psychology, 27, 33-51.
DOI
|
29 |
Amabile, T. M. (1987). The motivation to be creative. In S. G. Isak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cs (pp. 223-254) Buffalo, NY: Bearly.
|
30 |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st Ed).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
31 |
Flavell, John H., Miller, Patricia H., Miller & Scott A. (2002). Cognitive development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32 |
Fleiss & Cohen (1993).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experiments. New York: Wiley.
|
33 |
Izard, C. E. & Ackerman, B. P. (2000). Motivational, organizational, and regulatory functions of discret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 253-264.
|
34 |
Schibeci, R. A. & Riley, J. P. (1986). Influe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erceptions on science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3), 177-187.
DOI
|
35 |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New York.
|
36 |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26-2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37 |
Hayes, J. R. (1989).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Handbook of creativity (pp. 135-145). Springer, Boston, MA.
|
38 |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DOI
|
39 |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DOI
|
40 |
LoCicero, K. A. & Ashby, J. 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 middle school age gifted students: A comparison to peers from the general cohort. Roeper Review, 22(3), 182-185.
DOI
|
41 |
Martinsen, O. (1995). Cognitive styles and experience in solving insight problems: Replication and extension. Creativie Research Journal, 8, 291-298.
DOI
|
42 |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43 |
McMillan, J. H. (199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effective instruction. Allyn & Bacon, A Viacom Company, 160 Gould St., Needham Heights, MA 02194; Internet: www.abacon.com
|
44 |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DOI
|
45 |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DOI
|
46 |
Schank, R. C. (1988). The creative attitude. New York: Macmillan.
|
47 |
Pajares, F. & Miller, M. (1994).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93-203.
DOI
|
48 |
Runco, M. A. (2006).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an Diego: Academic Press.
|
49 |
Runco, M. A. & Acar, S. (2012). Divergent thinking as an indicator of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66-75.
DOI
|
50 |
성은현, 이정규, 황영석(2013). 창의성 교육 평가 모델 개발의 필요성. 창의력교육연구, 13(3), 37-52.
|
51 |
송성수(2013). 과학사의 사례를 활용한 과학자의 창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윈, 에디슨,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27-236.
|
52 |
송정숙, 한승록(2007). 초등학생의 독서활동과 창의성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 교육연구, 21, 72-102.
|
53 |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
54 |
심경석(1987). 학교 학습에서 독서는 왜 필요한가: 유치원 국민학교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금성출판사. pp. 5-11.
|
55 |
안양희, 김의숙, 함옥경, 김수현, 김순옥, 송명경(2012). 의료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측정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 대한간호학회지, 42(4), 122-150.
|
56 |
안영미(2020). 초중고생의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7 |
오종석, 이형철, 유병길(2014). 초등과학영재아동과 일반 아동 부모의 학습관여와 지적호기심 및 과학창의성의 관계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6(5), 1119-1128.
DOI
|
58 |
윤종건(1998). 교사․학부모․직장인을 위한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
59 |
우현경(2013). 사전지식 제공여부와 면접조건에 따른 4, 6세 유아의 사건 정기억과 오기억.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0 |
유경훈(2013).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6), 2700-2706.
|
61 |
윤초희,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241-260.
|
62 |
이수정, 임현정(2009).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141-166.
|
63 |
이정원(2004). 창의성은 영역 특수적이다. 교육종합연구소 소식, 11, 7-14.
|
64 |
이철원(2004).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과학관련독서가 과학지식 습득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