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b-soluble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8초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calmodulin like domain of ryanodine receptor type 1

  • Song, Yonghyun;Kang, Sunmi;Park, Sunghyou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74-82
    • /
    • 2015
  • Ryanodine receptor (RyR) is one of the two major $Ca^{2+}$ channels in membranes of intracellular $Ca^{2+}$ stores and is found in sarcoplasmic reticulum (SR), endoplasmic reticulum (ER). RyR1 is also the major calmodulin-binding protein of sarcoplasmic reticulum membranes. Residues 4064-4210 in the RyR1 polypeptide chain has similar primary sequence with calmodulin (CaM) and was designated as CaM-like domain (CaMLD). When expressed as a recombinant peptide, CaMLD showed several CaM-like properties in previous studies. Still, previous studies of CaMLD were focused on protein-protein interactions rather than its own properties. Here,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CaMLD and its sub-domains corresponding to each lobe of CaM in Escherichia coli. CaMLD could be obtained only as inclusion body, and it was refolded using urea solubilization followed by dialysis. Using spectroscopic approaches, such as NMR, circular dichroism, and gel filtration experiment, we found that the refolded CaMLD exists as nonspecific aggregate, even though it has alpha helical secondary structure. In comparison, the first half of CaMLD (R4061-4141) could be obtained as natively soluble protein with thioredoxin fusion. After the removal of the fusion tag, it exhibited folded and helical properties as shown by NMR and circular dichroism experiments. Its oligomeric status was different from CaMLD, existing as dimeric form in solution. However, the second half of the protein could not be obtained as soluble protein regardless of fusion tag. Based on these results, we believe that CaMLD, although similar to CaM in sequence, has quite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at the second half of the protein renders it the aggregative properties.

C-형강 매트재배 시 수용성비료와 완효성 비료가 분화 카네이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oluble and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Pot Carnation in C-channel Mat Irrigation System)

  • 강승원;서정남;박천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17
    • /
    • 2005
  • 고품질 분화생산을 위한 저면관수 시스템인 C-형강 매트재배 시 수용성 비료와 완효성 비료의 농도에 따른 카네이션의 생육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용성 비료를 $0.8{\~}1.0\;g{\cdot}L^{-1}$ 처리한 T08 처리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초장, 분지수의 생육량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생체중, 건물중, 및 초장의 증가에 있어서 증가량에서의 차이는 있었지만 생육 60일을 전후로 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증가량이 늘어났다. 특히 총 엽면적은 경우 생육 90일을 전후로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C-형강 매트 재배시스템에서 분화용 카네이션을 재배할 경우 수용성 비료를 공급하는 것이 완효성 비료를 공급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용성 비료의 농도는 $0.8{\~}1.0\;g{\cdot}L^{-1}$이 카네이션의 재배에 적정한 농도로 판명 되었다.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제형가공 및 품질특성 (Form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 박수정;홍주헌;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69-573
    • /
    • 2006
  •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노루궁뎅이 버섯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하여 분말, 과립, 타블렛, 캅셀 등 다양한 제형으로 가공하였으며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분무건조 분말, 과립, 타블렛 순으로 그 값은 각각 4.37%, 3.78%, 3.43%으로 나타났으며 총당 함량은 분무건조 분말이 19.14 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단백질 함량은 분무건조 분말, 과립, 타블렛 순으로 그 값은 각각 4.39 g% 1.04g%, 0.75g% 임을 확인하였다. 제형별 수분결합지수는 과립 및 타블렛 제품이 분무건조분말 제품보다 수분결합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립과 타블렛 제조시 가용성의 탄수화물 제제인 부형제가 많이 첨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hue angle은 분무건조 분말이 $85.50^{\circ}$, 과립이 $95.37^{\circ}$, 타블렛이 $94.67^{\circ}$로 나타났다. 저장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제형별 흡습특성은 분무건조 분말이 가장 높은 흡습성을 보였으며 과립, 타블렛 순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분무건조 분말보다는 타블렛 형태로 제조한다면 저장성 면에서 더 우수한 제품을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Fruit Se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in an Open Field and a Rain Shelter

  • Kim, Su Jin;Kim, Jin Gook;Ryou, Myung Sang;Park, Kyo-Sun;Kim, Hong-Li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1-706
    • /
    • 2014
  • Three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grown in an open field and in a rain shelter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rain-sheltering system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Shrubs grown in rain shelter flowered 5-14 days earlier and were in full bloom earlier than those in the open field. All three cultivars set fruit by nearly 90% of flowers when they were grown in the open field, but was markedly reduced when they were grown in the rain shelter, to approximately 50% for 'Bluecrop' and 'Coville'. Fruit sets ratio of 'Northland' grown in the in the rain shelter was 14.5. Fruit from greenhouse-grown 'Northland' were larger, heavier, and had more seeds per berry. Soluble sugar content (SSC) of fruits varied both with the cultivars and growing conditions. SSC of fruits grown in the greenhouse was higher in 'Bluecrop' compared to that grown in the field, but this pattern was reversed in 'Northland'. Titratable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ruits from rain shelter-grown shrubs of both 'Bluecrop' and 'Northland' than in fruits from open field-grown shrubs (P < 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A with respect to growing conditions for 'Coville'. The number of seed per fruit, fruit length and diameter, weight, SSC, and TA were similar in 'Coville' shrubs grown in the open field and the rain shelter. Fruit firmness of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was higher in the rain shelter than in the open field. 'Coville' and 'Northland' fruits harvested in the open field had higher blue chroma than those harvested in the rain shelter. However, this pattern was reversed for 'Bluecrop'. On the whole, sheltering from rain affected most frui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ultivars differently. Therefore, suitable blueberry cultivars for the rain shelter should be chosen by purpose.

Emendation of Rhodomonas marina (Cryptophyceae): insights from morphology, molecular phylogeny and water-soluble pigment in an Arctic isolate

  • Niels Daugbjerg;Cecilie B. Devantier
    • ALGAE
    • /
    • 제39권2호
    • /
    • pp.75-96
    • /
    • 2024
  • Rhodomonas (Cryptophyceae) and species assigned to this genus have undergone numerous taxonomic revisions. This also applies to R. marina studied here as it was originally assigned as a species of Cryptomonas and later considered a variation of R. baltica, the type species. Despite being described more than 130 years ago, R. marina still lacks a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re employed to delineate a strain from western Greenland. The living cells were 18 ㎛ long and 9 ㎛ wide, elliptical in shape with a pointed to rounded posterior and truncated anterior in lateral view. Two sub-equal flagella emerged from a vestibulum, where also a furrow extended.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furrow was associated with a tubular gullet and the pyrenoid embedded in a deeply lobed chloroplast. The chloroplast contained DNA in perforations and was surrounded by starch grains. A tubular nucleomorph was enclosed within the pyrenoid matrix.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inner periplast consisted of rectangular plates with rounded edges and posteriorly these were replaced by a sheet-like structure. The water-soluble pigment was Crypto-Phycoerythrin type I (Cr-PE 545). A phylogenetic inference based on SSU rDNA confirmed the identity of strain S18 as a species of Rhodomonas as it clustered with congeners but also Rhinomonas, Storeatula, and Pyrenomonas. These genera formed a monophyletic clade separated from a diverse assemblage of other cryptophyte genera. To further explore the phylogeny of R. marina a concatenate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SSU rDNA-ITS1-5.8S rDNA-ITS2-LSU rDNA region was performed but included only closely related species. The secondary structure of nuclea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was predicted and compared to similar structures in related species.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ignatures as diagnostic features the description of R. marina was emended.

Effects of Sulfobutyl Ether $\beta$-Cyclodextri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xamethasone Dipropionate

  • Moon, Jee-Hyun;Oh, Ik-Sang;Chun, In-K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1997
  • Complex formation of practically insoluble dexamethasone dipropionate (DDP) with ${\beta}$-cyclodextrin (${\beta}$-CD), dimethyl-${\beta}$-cyclodextrin (DMCD), trimethyl-${\beta}$-cyclodextrin (TMC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CD) and sulfobutyl ether ${\beta}$-cyclodextrin (SBCD) in water was investigated by solubility method at various temperatures. Water solubility of DDP was found to be 1.78 $\mu\textrm{g}$/$m\ell$ at 37$^{\circ}C$. Propylene glycol (PG)-water cosolvent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but the solubilization was not sufficient (8.93 $\mu\textrm{g}$/$m\ell$ in 20% PG). The addition of CD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in water, and A$\sub$L/ type phase solubility diagrams were obtained with ${\beta}$-CD, TMCD, HPCD and SBCD, where the apparent stability constants of the soluble complexes at 25$^{\circ}C$ were determined to be 1388, 216, 1054, and 1992 M$\^$-1/, respectively. However, DMCD remarkab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and showed an A$\sub$P/ type diagram, suggesting that DMCD forms a soluble complex of high order with DDP. The stability constant for the DDP-DMCD complex at 25$^{\circ}C$ was determined to be 19132 M$\^$-1/.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for the inclusion complex formation in aqueous solution. CD (1${\times}$10$\^$-2/M) remarkably decreased the partition coefficients of DDP between isopropyl myristate/water in the order of TMCD < ${\beta}$-CD < HPCD < SBCD < DMCD, and in squalane/water system in the order of HPCD < TMCD < ${\beta}$-CD < DMCD < DMCD $\leq$ SBCD. This finding represents that, in a o/w type cream, cyclodextrin complexation with DDP may result in high concentration of DDP in aqueous phase. The permeation of DDP through a cellophane membrane was highly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CD, and the degree of suppression was different among CDs, indicating that CD may control the skin permeation of DDP. The dissolution rates of solid dispersions with CDs were much faster than those of drugs alone and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All DDP-CD solid dispersions exceeded the equilibrium solubility.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lex formation of DDP with CDs may provide useful means to markedly enhance the solubility, and CDs are useful in the semi-solid preparations such as creams and gels for topical application.

  • PDF

기상인자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감소 및 빗물 특성 연구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10 Depletion in the Atmosphere and Evaluation of Rainwater Quality)

  • 박혜민;김태용;양민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3호
    • /
    • pp.1733-1741
    • /
    • 2020
  • 본 연구는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상인자가 대기 중 미세먼지(pariculate matter 10, PM10)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대기 중 PM10 농도에 따른 빗물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총 11회의 강우 이벤트를 대상으로 강우 전후의 대기 중 PM10 농도를 실시간 측정하였으며, 총 183개 빗물 샘플을 수집하여 pH와 EC (electrical conductivity)를 실시간 측정하고 양이온(Na+, Mg2+, K+, Ca2+, NH4+) 및 음이온(Cl-, NO3-, SO42-) 농도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기 중 PM10 농도, 기상인자, 빗물 수질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강우 유형 1(강우 강도: > 5 mm/h)의 경우, 누적 강우량에 따른 대기 중 PM10 농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 = -0.55, p < 0.05)를 보였으며 대기 중 PM10 농도는 빗물 내 수용성 이온(r = 0.25) 농도와 EC (r = 0.4)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빗물의 pH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7). 반면, 강우 유형 2(강우강도: <5 mm/h)의 경우, 누적강우량과 대기 중 PM10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기 중 PM10 농도와 빗물 수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압저장중 도마도 과실의 저장물질과 Peroxidase 활성의 변화 (Changes of Reserved Substance and the Peroxidase Activity in Tomato Fruits during the Storage of Sub-atmosphere Pressure)

  • 손태화;최종욱;천성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92-98
    • /
    • 1985
  • 도마도 과실의 감압저장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마도 과실의 추숙, 노화 현상을 효소적인 면에서 관찰하고자, 퍼옥시다제의 활성 변화, 동위효소의 유무, 그리고, 이에 따른 과실내의 저장물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마도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가용성구분, 세포벽구분, 미토콘드리아구분, 리보조옴구분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 가용성과 세포벽구분의 활성이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마도의 추숙, 노화에 따라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상온저장($25^{\circ}C$)에 비해, 저온저장($15^{\circ}C$)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그 감소 경향은 유사하였다. 상압에 비해 감압구의 활성이 높았으며, 감압구 중에서도 380Torr.구가 570Torr.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저장중 가용성(soluble), 가용화성(Solubilized), 퍼옥시다제의 전기영동 패턴(electrophoresis pattern)의 변화를 관찰한 바 3 - 4 종의 동위효소(isoenzyme)가 관찰되었으며 저장중 전기영동상의 변화가 인정되었다. 감압에 따른 저장중 일반성분의 변화는, 저온구와 상온구에 있어서, 온도에 의한 영향이 전반적으로 많이 나타나서 상온구 보다 저온구가 저장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압력에 의한 영향도 다소간 나타내어 570Torr.구보다 380Torr.구의 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상의 두가지 사실을 종합해 볼때, 저온 380Torr.구가 저장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퍼옥시다제는 밴드B가 저장초기에 있었으나 저장 6일 경에 소실되었으며 밴드A는 가용화시킨 퍼옥시다제의 경우와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며, 밴드는 저장시일이 경과할수록 전반적으로 약간 모여드는 경향이었다.

  • PDF

3종류의 탄화로에서 얻어진 죽초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mboo Vinegars Obtained from Three Types of Carbonization Kiln)

  • 구창섭;문성필;박상범;권수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87-95
    • /
    • 2002
  • 3종류의 국내산 대나무의 생재 및 기건재를 3종류의 탄화로에서 탄화시키고 얻어진 죽초액에 대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계식 전용탄화로의 경우, 대부분 1단 회수 죽초액의 비중, 유기산 및 용해 타르 함량이 높았으나 2단 이상에서 감소하여 3단 이후에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기건재가 생재에 비해 이들 물성이 높게 나타났다. pH의 경우 맹종죽 기건재를 제외하고 생재가 기건재보다 높게 나타났다. 3성분합계는 비중, 유기산, 용해타르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개량탄화로의 경우, 수종에 따라 전체 물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간이탄화로에서 탄화시켜 연통온도 80℃로 얻어진 기건 죽초액의 경우 그 이상의 온도에서 얻어진 죽초액보다 비중, 용해타르 함량 및 3성분 합계가 높게 나타났다. 간이, 개량 및 기계식 전용탄화로에서 얻어진 죽초액의 비중은 온도, 수분함유 상태에 상관없이 유기산과 용해타르 함량의 합계와 0.90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앞으로 죽초액 품질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죽초액의 구성 유기성분의 경우 초산이 주성분이었으며, 리그닌의 열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guaiacyl 및 syringyl골격의 페놀류가 다량 검출되었다.

지반 소실 혼합재의 용해과정 모니터링 (Dissolution Monitoring of Geo-Soluble Mixtures)

  • 쭝꽝훙;변용훈;엄용훈;심영종;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0호
    • /
    • pp.111-122
    • /
    • 2009
  • 지반에 포함된 입자의 용해작용은 흙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지하구조물의 침하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입자용해시 혼합재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침하량 측정과 전단파 측정과 같은 거시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소금과 모래로 구성된 혼합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광탄성(photoelastic) 디스크와 얼음 디스크 혼합재를 이용하여 힘 연결고리(force chain), 간극, 접촉점수(coordination number), 그리고 수평력 변화와 같은 미시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소금-모래 혼합재에서 전단파는 압밀셀에 설치된 다단의 벤더 엘리먼트로 측정되었고, 광탄성 디스크-얼음 디스크 혼합재의 역학적 거동은 로드셀과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소금의 용해시 전단파 속도는 초기에는 감소한 후에 증가한 후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였다. 용해가능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리고 입자패킹이 불규칙해질수록 입자용해시 수평력의 변화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용해 후, 간극비는 증가했고, 접촉점수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힘 연결고리, 간극비, 접촉점수와 같은 입자의 거동변화가 전단파 속도와 전체시스템의 수평력 변화 같은 전체적인 거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