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Bamboo Vinegars Obtained from Three Types of Carbonization Kiln

3종류의 탄화로에서 얻어진 죽초액의 특성

  • Ku, Chang-Sub (Dept. of Advanced Organic Materials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Mun, Sung-Phil (Th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enter(Division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Bum (Nambu Forest Experiment St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Su-Duk (Nambu Forest Experiment St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구창섭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 문성필 (전북대학교 농업과학 기술연구소(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 박상범 (임업연구권 남부임업시험장) ;
  • 권수덕 (임업연구권 남부임업시험장)
  • Received : 2002.03.26
  • Accepted : 2002.05.28
  • Published : 2002.12.26

Abstract

Three different species of green and air-dried Korean bamboos were carbonized by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kilns designated as special (800~1000℃), improved (600~700℃) and simple kiln (400~500℃), and the bamboo vinegars obtained from the carbonization processes were characterized. In the case of the special kiln, most of the bamboo vinegars obtained at the first recovery stage showed high values of specific gravity and also in content of organic acid and water-soluble tar. The bamboo vinegars obtained from the improved kiln showe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ir species. In the case of simple kiln, the bamboo vinegars obtained from air-dried bamboos and at temperatures below 80℃, showed a higher specific gravity and more water-soluble tar as well as total organic components than those obtained at 80~150℃. A good linear relationship (correlation coefficient of ca. 0.90) was obtained between the specific gravities and the sum of organic acids and water-soluble tars. Therefore, this correlation coefficient might be a good index to determine the quality of bamboo vinegars.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bamboo vinegars were acetic acid and considerable amounts of phenols: guaiacol, ethyl guaiacol, syringol, and methyl syringol.

3종류의 국내산 대나무의 생재 및 기건재를 3종류의 탄화로에서 탄화시키고 얻어진 죽초액에 대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계식 전용탄화로의 경우, 대부분 1단 회수 죽초액의 비중, 유기산 및 용해 타르 함량이 높았으나 2단 이상에서 감소하여 3단 이후에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기건재가 생재에 비해 이들 물성이 높게 나타났다. pH의 경우 맹종죽 기건재를 제외하고 생재가 기건재보다 높게 나타났다. 3성분합계는 비중, 유기산, 용해타르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개량탄화로의 경우, 수종에 따라 전체 물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간이탄화로에서 탄화시켜 연통온도 80℃로 얻어진 기건 죽초액의 경우 그 이상의 온도에서 얻어진 죽초액보다 비중, 용해타르 함량 및 3성분 합계가 높게 나타났다. 간이, 개량 및 기계식 전용탄화로에서 얻어진 죽초액의 비중은 온도, 수분함유 상태에 상관없이 유기산과 용해타르 함량의 합계와 0.90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앞으로 죽초액 품질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죽초액의 구성 유기성분의 경우 초산이 주성분이었으며, 리그닌의 열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guaiacyl 및 syringyl골격의 페놀류가 다량 검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