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ying resilienc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정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Factors of Scholar Resilience for Self-efficiency and Scholar 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 : An Analysis on the Control Effects of Stress Scale)

  • 이신숙;강길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7-196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에 관한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과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탄력성 요인인 인지능력과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고등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이 높다는 점에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업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 영향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Factors 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15-32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에서 학업소진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학생 2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4일까지 기간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여학생이, 수면시간이 부적절할수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이 낮을수록,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이 높을수록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적절히 수면하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을 높이고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어 국제화 역량을 키우기 위한 영어 학습 능률을 높이는 데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조절 및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Disaster Resilience in Self-Organized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ssessment

  • Jung, Kyuji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5권1호
    • /
    • pp.98-110
    • /
    • 2016
  • Building resilient community is often a complicated process to be gained by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Since pattern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among governments and sectors are constantly changing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field of emergency management, understanding the dynamic nature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s a critical step for improving a community’s ability to bounce back from a catastrophic event. From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ssential role of working across levels of governments and sectors in building resilient community by focusing on sources of community resiliency and a strong commitment. The empirical evidenc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udying resilience as a way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nd incentive for organizations to work jointly during emergency response. The study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also draws attention for the importance of various forms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such as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 It also highlights how local organizations can utilize their relations to seek resources without necessarily jeopardizing their ability to perform their core organizational functions.

TOEIC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Related with Communication Competency of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57-266
    • /
    • 2019
  • 본 연구는 토익학습을 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J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서 임의로 선정된 대학생 280명에 대하여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눈치가 높을수록, 셀프리더쉽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7.0%이었다. 연구결과를 볼 때, 토익학습을 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을 증대시키는 교육지원 및 중재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익학습을 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 교육 자원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토익학습을 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토익점수와의 상관성을 고려한 구조모형의 제시와 분석이 필요하다.

The Impact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Ko, Eun;Kim, Hye Young;Kang, Hee Sun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3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45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a national university in S cit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regard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academic resilience scal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linear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P),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OP),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PP),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64.64±12.78, 53.62±8.90, 56.98±8.96, 92.60±19.55, and 82.93±9.72, respectively. SP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 .27, p<.001), while academic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20, p=.001).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PP, and academic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explained about 22%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accordingly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TOEIC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Ego-Resilience, Nunchi and Self-Leadership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mong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29-238
    • /
    • 2019
  • 본 연구는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과 의사소통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소재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 참여하는 대학생 280명으로 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아질수록, 눈치가 높아질수록, 셀프리더쉽 이 높아질수록 의사소통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 교육지원 및 중재 노력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국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극복력과 건강상태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according to Acculturation Type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혜경;한수정;양남영;유명란;고은자;김희경;임경춘;이미라;손연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3-66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and reported resilience according to acculturation typ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386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ree universities in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andardized questionnaires and SPSS/WIN 1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 and ANOVA. Results: Subjects reported the following Acculturation type: integration (26.7%), assimilation (28.5%), separation (32.4%), and marginalization (12.4%). The reported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Th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ty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length of stay, type of residency and economic status working style. The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culturation typ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gration of acculturation type is most useful to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acculturation type as coping strategy for foreign students' adaptation.

학교 적응유연성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angerous an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resilience: focusing on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박수영;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53-6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573명과 인문계 고등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반사회성이 영향을 미쳤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우울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보호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호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학교의 민주적 분위기, 책임감, 가족응집력, 자아존중감, 합리적 부양태도로 나타났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민주적 학교 분위기, 책임감, 가족 응집력이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교계열과 학교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반사회성, 우울, 비행유대, 자아존중감의 변인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및 학업탄력성의 융합적 관련성 연구 (The study on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resili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영선;이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51-58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재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및 학업탄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구 소재 D대학 치위생과 1~3학년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 한 달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dow ver.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학업탄력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학습몰입과 학업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관련 학습몰입과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개편을 제언한다.

도시방재력 강화를 위한 재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해저드 맵의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aster Risk Communica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Urban Resilience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Hazard Map as a Tool of Risk Communication-)

  • Kwack, Dongwha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76-3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의 방재력 강화를 위하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방법을 고찰하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해저드 맵의 활용 및 개선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해저드 맵을 비교 평가하고, 최근 일본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는 방재 맵 만들기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에서 작성되고 있는 해저드 맵의 활용 및 개선을 위한 5가지 안이 도출되었고, 리스크 개념의 사회적 확산이 도시 방재력 강화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