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teacher practic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초

수학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by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s)

  • 조우기;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
    • /
    • 2010
  • 이 연구는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즉, 교사의 역할에 따라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패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 소재의 초등학교에서 자율장학의 수업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하여 수학 수업에 대해 중립적인 성향, 교사 중심적인 성향, 학생 중심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세 명의 4학년 교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 교사의 수학 수업을 측정, 연산,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영역에 대해 수업녹화와 수행평가지 그리고 학습지 분석을 통하여 수학적 수업관행과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립적 성향의 교사는 수학 수업에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교사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지시자 역할을, 그리고 학생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관행의 분석 결과 드러났다.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에 있어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보고서 패턴과 탐구 패턴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학습의 지시자로서의 역할을 한 교실에서는 보고서 패턴이 주를 이루었고, 학습의 조정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논의 중심의 가장 고차원적인 상호작용이 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이 수학적 상호작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변화를 위해서는 수학 교과, 특히 수업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 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91-97
    • /
    • 2022
  • Competent mathematics teachers need to implement the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to use student thinking to make instructional decisions. However, the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Therefore, we need a better understanding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s to support mathematics teachers adopting and implementing them in their classrooms.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is connected with teachers' noticing practice becaus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classroom events and student thinking is connected with their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review introduced and examine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onducted by Kim et al. (2017).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Investigation of the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s)

  • 김종희;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0-40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현행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크게 교직 이론, 교육 실습, 교과 교육학, 교과 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교직이론의 경우는 교육학 이론 학습에 치중하고 있어 실제성이 떨어지며, 교과 교육학 선수 학습 교과로서 이수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과목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교직 이론을 교과 교육학 이전에 이수하도록 하며, 되도록이면 현장성이 강한 교직 이론 과목을 이수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실습의 경우는 교육실습 기간이 외국에 비해 짧으며, 신규 교사를 위한 별도의 업무 외 연수과정이 없고 인턴제도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미흡한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교육 실습이 이런 역할을 대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 실습 기간을 최소$3{\sim}6$개월 이상으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우선 교과 내용학에 비해 할당된 과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구과학 교과 교육 전공 교수의 확보가 필요하다. 교과 내용학의 경우, 다루는 내용이 중등학교 교육 과정과 동떨어진 면이 있으며 대학별로 개설 강좌의 영역별비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과 교육학 강좌와 교과 내용학 강좌를 연계시켜 개설하고, 각 영역별 기본 이수 학점을 적정 비율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충분한 해상도로 인한 경우가 3예(12%), 이전 바륨 검사에 의한 잔존 바륨의 beam harding artifact로 복막파종을 놓친 경우가 2예(8%), 경구 조영제가 미충만된 위장관과 인접 전이성 결절을 오인한 경우가 1예(4%)였다. 판독인자로는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을 간과한 경우가 10예(40%), 경미한 복막비 후나 파종을 간과한 경우가 6예(24%), 장간막의 림프절 종대를 간과한 경우가 3예(12%)였다. 결론: 복강 내 지방 조직의 결핍, 불충분한 해상도의 CT, 판독 과정에서 경미한 복막파종이나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의 간과 때문에 CT에 의한 수술 전 병기결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그 중 판독인자에 의한 것이 가장 많은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영상 관리와 함께 세심한 판독이 매우 중요하겠다.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Exploring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Suggest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A Case of USA and Korea

  • Park, Young-Shin;Lee, Ki-Young;Morrell, Patricia D.;Schepige, Adel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78-392
    • /
    • 2017
  • Teacher quality is a topic of international concern, as it impacts student learning and teacher prepa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undergraduate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with those of Oregon, USA. We examined the programs' structural curricular coherence, conceptual curricular coherence, and curricular balance. Structural curricular coherenc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overarching goals of the institutions' programs,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s of study in terms of meeting those goals, and outside bodies of evidence. All universities were in structural coherence for various reasons. Conceptual curricular coherenc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preparation and their clinical practice. In case of Korea, most students from both universitie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practical preparation. In the US, the students from both institutions felt well prepared to transition to inservice teaching. To determine curricular balance, we examined the institutions' preparation programs looking at the credit hours taken in the four main areas of the teacher knowledge base: GPK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SMK (Subject Matter Knowledge),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K (Contextual Knowledge). The total credit hours taken in each category was very similar by country but the application and field component in the USA was far greater than those of Korea where the focus was heavily on SMK and PCK. The main reason for these may be the nations' licensing and employment processes.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과 사이버 일탈에 관한 연구 (Online Games and Cyber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 성윤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2호
    • /
    • pp.37-57
    • /
    • 2004
  • Online games are very popular among adolescents in Korea. They sometimes lead to cyber delinquency. An ethnographic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address the social significance of online ga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lescents who were addicted to or indulged in the games were likely to commit delinquency online and/or offline. Delinquency in an information society is typically individualistic, whereas deviant behaviors in an industrial society are more social and collective, such as group violence. Parenting styl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er pressure, game environment, and recreational facilities for the adolescents were intertwined with such adolescent delinquency. Finally, some implications of the online gam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to prevent online game indulgence and addiction and adolescent delinquency.

중학교 가정과 실험.실습 내용의 적정성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Content of Experiment and Practice of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장정진;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86
    • /
    • 1992
  • This thesis has two objects: Firstly, the arrangement of basic data and formulating a system of experiment and practice in home economics and Secondly, the groping the way of improv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spot. A questinaire is used as the research tools for the fitness of content, of experiment and practice in the home economics and SPSS/PC(sup)+ and Scheffe Test are used for investig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eriment & practice more than the teacher. In the type of middle school teachers engaged in the girl’s middle schoo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eriment & practice more than those of coeducation middle school. 2. The percent of the school which executes over the 50% of experiment & practice in the contents of text book is 70%. The most numerous in the sphere of guiding is ‘seperate practice of student’. The reason of not executing the experiment & practice are ‘the concentration of the theory education’and ‘the lack of equipment and tools’3. Practice room for cooking was mostly established, but practice room of sewing was established only 5.6%. The contents of textbook for clothing sphere can be executed by using the equipment & tools of school only 9.2%. 4. 40% of the students feel that the content level of experiment & practice is difficult. Most of the students feel that the content level of experiment & practice, especially in the sphere of clothing, in unproper on the level fitness of contents by grade. 5. Most of the students assent on the positive effect for the degree and the most important cause for its not contributing to the everday life is the lack of experiment & practice in school. 6. Most of the students feels positively on the interest degree of content and the students who though much of the experment & practice feels positively on the interest degree of content.

  • PDF

THE POSSIBILITIES AND DIFFICULTIES ON R&E ACTIVITY FOR IMPROVING THE PROFESSION SKILLS OF SCIENCE GIFTED TEACHER

  • Park, Sang-Woo;Kim, So-Ah;Park, In-Ho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3
    • /
    • 2004
  • Although over - 600 students in Incheon has been participated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under the colleges and Office of Education Department every year,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teachers have insufficient teaching abilities in primary, advanced, and after-advanced gifted classes. The Gifted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n Incheon University introduced R&E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abilities in science research and student guiding. Professors in science department conducted the R & E activities to select the research thesis. The professors and the guidance teachers decided the direc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guidance teachers who learned from the professors taught 3-5 students to practice the research. Five professor-teacher-student research teams in math,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conducted the research after school and during the vacation for 7 month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bmitted to the journals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result papers were presented to the seminar. On this research, the possibilities and the difficulties of the R&E activities based of the journals of research activities, oral present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reports were analyzed with a purpose of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cience gifted teachers. Although the professors proposed many difficulties or problems about the R&E activities,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 R & E activities he1ped them to improve their research activities and student guiding techniques. The teachers acquired more knowledge on the principles of the science related areas than before. Moreover, they thought it was very meaningful experience in using the science related instruments, guiding the students' research and writing the research reports. The students also gave the positive responses with the increased interests in new science studies and with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way of research.

Model of Future Teacher's Professional Labor Training (Art & Craft Teacher)

  • Tytarenko, Valentyna;Tsyna, Andriy;Tytarenko, Valerii;Blyzniuk, Mykola;Kudria, Ok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21-30
    • /
    • 2021
  • Economic transformations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role of creative assets and their central role in public life. Changes in creative activity have led to a change in the organization of the work of institutes engaged in the training of specialists, in particular teachers of labor education. Methods and approaches to training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being the basis for models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The purpose of an article was to develop a modern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economy. The methodology is based on the concepts of holistic craft and creative economy. Based on the integration of pedagogical learning models "Craft as design and problem-solving", "Craft as skill and knowledge building", "Craft as product-making" and "Craft as self-expression" developed and experimentally confirmed the conceptual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The proposed model forms a practitioner with professional, technical, digital and creative skills who is able to transfer the experience to students. The training course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has been developed. The model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urse based on the strategy of developing professional creativity, flexibility, improvisation, openness, student activity, joint practice, student-oriented approach. The practical value implies the adaptation of the developed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education during the training of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which is confirmed in the experiment.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reas of Practice Concern and Reflections on the Science Classes in Student-Teaching)

  • 정애란;맹승호;이선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93-9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육실습록,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들을 수집하였고, 교육실습이 끝난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은 수업환경 및 교수전략에 대한 관심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고 과학내용에 대한 관심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업환경 및 교수전략에 대한 관심 영역 중에서는 수업운영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수업운영 중에서도 수업분위기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는 영역이 학생통제나 수업분위기 조성,과학교사의 역활,수업자료에 대한고민 등의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반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대부분이 '즉각적인 수준'과 '기술적인 수준'에 머무르며, '숙고적인 수준'이나 '변혁적인 수준'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예비 과학교사들의 이러한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 영역이나 반성적 사고에는 교과 실습지도 교사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내타났다.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선경;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5-3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교수실행에서 사용되는 수업전략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영재교육 전문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4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수업 관찰, 반 구조화된 면담, 학생보고서 및 사진자료 등이며, 일정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각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전략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명의 교사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학습 유형 - 속진 혹은 심화 -에 따라 각기 다른 수업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분위기, 교사-학생 및 학생-학생의 상호작용방식, 보고서 작성 측면에서 4명 교사의 수업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한 수업전략들은 교육경험이 적은 교사들이 과학영재를 위한 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과학영재들을 지도하는 전문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