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e of stand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3초

경남 거제지역 붉은고로쇠나무림의 토양특성과 식생구조 (Soil Condi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Acer mono for. rubripes Stand in Geoje, Gyeongnam Province)

  • 문현식;노 일;김종갑;권수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71
    • /
    • 2004
  • 본 연구는 경남 거제지역 붉은고로쇠나무림의 생육 적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토양특성과 식생구조 등 생태적 환경을 조사하였다 붉은고로쇠나무는 해발 150∼300m의 북사면에 주로 분포하며, 암반노출 도는 80% 이상이었다 붉은고로쇠나무의 토양 pH, 유기물 및 전질소 함량은 각각 5.17, 8.7%, 0.38%로 나타났다 유효인산은 낮은 토양 pH로 인해 15.7ppm으로 나타났다. 전 층위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붉은고로쇠나무, 나도밤나무, 느티나무, 때죽나무, 사람주나무, 비목, 참회나무 등 1종이었다. 각 충위별 중요치는 상층에서 붉은고로쇠나무가 가장 높았고, 느티나무, 졸참나무, 합다리나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층과 하층에 있어서는 사람주나무와 나도밤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층위별 종다양도는 상층 0.933, 중층 0.931, 하층 1.638이며 균재도는 상층 0.706, 중충 0.894 그리고 하층 0.959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우리나라의 거제도에만 자생하고 있는 붉은 고로쇠나무의 토양환경과 식생구조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점탄성 유동물질 여과용 필터 구조물의 강도해석 (Strength analysis of a filtering structure for a viscoelastic flowing substance)

  • 박창호;정광섭;손태원;주상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0-304
    • /
    • 1999
  • A study is strength analysis of a filtering structure for a viscoelastic flowing substance. Conventional segment type filter units comprise an assembly of two or more individual disc segments stacked at their respective hubs on a central common filtrate collection tube within a filter housing. The conventional type's leaf disc is problem that it don't support a high pressure flow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 new structure filtering model to stand a high pressure flows.

  • PDF

숭의종합운동장 특수구조물 발파해체 (Explosive Demolition of Special Structure of Soongeui Complex Stadium)

  • 석철기;박훈;김래회;송영석;정우진;한동훈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108-118
    • /
    • 2010
  • 숭의종합운동장은 철근콘크리트 라멘조의 구조물로서 기둥과 슬래브, 보로 구성된 특수구조물이며, 최근까지 국내에서 발파해체를 실시한 구조물과는 달리, 구조물 내부에 슬래브가 존재하며 전광판이 있는 특수한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발파해체는 외야석 좌측구간부터 실시하고 관중석의 붕괴는 좌측부터 2열의 기둥을 1개의 블록으로 선정하여 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붕괴되는 공법을 적용하였고, 높이가 높은 전광판은 전도공법을 적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목적 방호재인 물주머니(water bag)를 적용하여 분진제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숭의종합운동장 특수구조물해체는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와 하층식생의 분포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 천광일;정성철;이창우;변준기;주성현;유주한;이슬기;최철현;박인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1-95
    • /
    • 2012
  • This study was intended for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where the disturbance of vegetation has been caused by the exploitation and the increase of tourists.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is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provide basic data. The sixteen study sites ($20{\times}20m$) were installed in the dominant Fagus engleriana stand and the base environment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mmunity A is Fagus engleriana-Sorbus amurensis and community B is Fagus engleriana-Acer pictum subsp. Mono by cluster analysis and community A were nothing signig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Community B were Eight species (Tsuga sieboldii, Camellia japonica, Dystaenia takesimana ect.) signif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he diameter class of 16cm to 25cm was 53.7% in population structure of Fagus engleriana, which was the highest and showed inverse J-distribution. Species diversity index (H') of investigated woody layer group ranged from 0.99 to 2.05 and that of under layer group ranged from 1.75~2.59. According to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analysis, the woody layer was divided into community A developed in the region having relatively high sand content at high altitudes and community B formed at the place having relatively high clay content at low altitudes. Then this classification was significant through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through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was induced by the silt content and cover degree of vegetation layer.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홍의표;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96-503
    • /
    • 2021
  •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지 복원 방법이 임분 내 미세 기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Restoration Methods and Stand Structure on Microclimate in Burned Forest Stand)

  • 김정환;임주훈;박찬우;권진오;최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6
    • /
    • 2015
  • 본 연구는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수종의 구성에 따라 미세 기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어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임분의 구성에 따라 임분 내 기상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 변수로 임분을 구성하는 수종의 종류와 생장, 임분 밀도, 그리고 피복율이며, 이에 따른 종속 변수로는 임분 내 광량, 기온, 습도, 토양 온도, 그리고 토양 수분 함량이었다. 기상 조건은 대부분 광 조건에 영향을 받는 종속 변수이나, 임분을 구성하는 수목의 생장과 피복률에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 내 습도는 임분 밀도와, 임분 내 기온과 수목의 수고와 음(-)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분 밀도와 수목의 생장이 증가할수록 임분 내부의 기온과 습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임분의 발달은 대부분 미세 기후의 전체 평균보다는 변동계수와 같은 편차를 줄이는 형태로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수관 층의 수고와 임분 내 광량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R^2$=0.87), 임분의 구조는 광량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다른 미세 기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변동계수의 경우 삼척 지역이 고성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목의 생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산불 발생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현재 단계에서는 산불 피해 이후 숲의 발달에 따른 임분 내부의 기상 조건의 변화상을 뚜렷하게 확인하고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를 위해서는 보다 긴 시간에 걸쳐 많은 지점에서의 기상 조건과 임분 현황을 지속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일반화된 자료를 활용한다면, 임분 구조와의 관계 해석은 물론, 하층 식생 출현 등에 대한 해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간섭하의 수도권 그린벨트 내 식물군집의 동태 - 삼림군집의 구조와 이차천이 - (Dyamics of Plant Communities under Human Impact in the Green-Belt nearby Seoul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econdary Succession-)

  • Kim, Joon-Ho;Yoonsoon Kang;Lee, Sueng-Woo;Cho, Kang-Hyun;Kim, Yongtaek;Saheon Ha;Min, Byeung-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09-218
    • /
    • 1989
  •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veral forest types in the green-sbelt nearby Seoul, the vascular plant species data collected preferentially from 52 stands were subjected to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Eight types of forests were arranged on the I/II plane fo DCA stand ordination, Quercus mongolica, Alnus hirsuta,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Robinia pseudo-acacia,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pinus rigida fore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and environmental factors revealed that the axis I of DCA stand ordination implied the gradient of altitude,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depth of A horizon. The axis II implied the gradient of total nitrogen and soluble phosphorus. The results of 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by environmental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DCA by floristic data. The recruitments of Quercus spp. Occurred in all kinds of forest types in the green-belt and their recruitm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altitutde: Quercus dentata in the foot. Quercus serrata in the midslope and Quercus mongolica in the uperslope of the mountain.

  • PDF

밧데리 개별 제어 방식에 의한 소규모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특성 개선 (The Improved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lone PV System by the Independent Battery Control Method)

  • 강신영;이양규;김광헌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82-489
    • /
    • 2002
  • 본 연구는 PV모듈, 밧데리, 충·방전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태양광 가로등을 대상으로 소규모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SPVS)을 연구하였다.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증가시키고 밧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밧데리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밧데리 충전효율이 증가되고 충방전 횟수를 50%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전지를 개별적으로 충전 혹은 방전 모드로 제어함으로서 일부 밧데리 고장시에도 일정기간 동안은 정상동작이 가능하고, 밧데리의 고장이 정상적인 밧데리로 전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시스템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어 태양광 가로등에 적용할 경우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량진동을 이용한 진동형 자가발전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and-Alone 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Bridge Vibration)

  • 최남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13-3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건전도 감시용 계측 유닛에 사용되는 충전시스템을 위한 교량의 상시진동을 이용한 자립형 진동발전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을 최소화한 진동발전기를 제안하고, 기계적 및 전기적인 설계식을 유도한 다음, 시험용 진동발전기를 제작하였다. 아울러, 실내 자유진동 실험을 수행하였고, 축전시스템에 대한 실험 결과, 정류기에 사용된 다이오드 특성이 충전과정에서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해대교의 진동 데이터를 Pilot 발전기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진동발전기의 적용성과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Zooming Statistics: Inference across scales

  • Hannig, Jan;Marron, J.S.;Riedi, R.H.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327-345
    • /
    • 2001
  • New statistical methods are ended to analyzed data in a multi-scale way. Some multi-scale extensions of stand methods, including novel visualization using dynamic graphics are proposed. These tools are used to explore non-standard structure in internet traffic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