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cture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 부식성 식도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n Children with Corrosive Esophagitis)

  • 최동현;조문기;주효근;김병주;마재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1-8
    • /
    • 2000
  • 목 적: 부식성 식도염은 화학적 화상으로 인하여 식도 협착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예방과 함께 적절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부식성 식도염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임상 양상,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 및 식도 협착과 같은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응급실과 소아과 외래에 부식성 물질의 섭취하고 내원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나이, 성별, 원인물질, 초기 임상증상 및 증후, 식도 협착의 발생빈도와 부위,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기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던 21명의 환아에서 손상부위와 정도를 알아보고 후기 합병증 발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1) 평균 연령은 2세 3개월(12개월~9세 2개월)이었으며 남녀비는 2:1로 남아가 많았다. 환아의 대부분(27명)은 빙초산을 섭취한 후 내원하였다. 2) 내원시 임상 증상은 연하곤란이 17명(54.8%), 구토가 15명(48.3%), 피부 및 입술의 화상이 각각 14명(45.2%), 분비물 과다가 14명(45.2%), 경한 호흡기 증상이 10명(32.3%)이었고 흡인성 폐렴은 3명(9.8%)에서 관찰되었다. 3) 급성기에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던 21명의 환아 중 1도 손상은 8명, 2도 손상은 7명, 3도 손상은 2명에서 관찰되었다. 식도 손상의 부위는 식도 전장에 걸친 손상이 9례, 근위부 손상이 5례, 원위부 손상이 3례이었다. 21명의 환아 중 6례에서 위 점막 손상이 관찰되었다. 4) 식도 협착은 6명(19.4%)에서, 평균 5주에 발생하였으며 모두 빙초산 섭취 후 발생하였고, 황산차 밧데리 용액을 섭취한 환아 1례(3.2%)에서 위유문부 협착이 발생하였다. 1례에서 빙초산 섭취후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5) 점막 손상의 정도와 식도 협착과의 관계를 보면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1도 손상에서는 모두 식도 협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2도 손상을 보인 7명중 3명(42.9%)에서 3도의 식도 손상을 보인 2명 모두에서 식도 협착이 발생하였다. 결 론: 부식성 물질을 섭취하고 내원한 환아에서 조기에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식도 협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생각되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합병증의 발생을 보여 무엇보다도 우발 사고의 예방을 위해 가정에서 부식성 물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 PDF

Ivor Lewis 수술 후 발생되는 문합 부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술식 평가 (Experience with a Safe Anastomotic Method for Ivor Lewis Operation)

  • 김정원;이용직;장용진;박창률;정종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25-629
    • /
    • 2008
  • 배경: 식도암 수술에서 문합 부위 합병증은 수술 방법, 문합 위치 등과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에도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에 대한 고전적인 Ivor Lewis수술 중 stapling후 문합부의 조직 긴장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식도-위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줄이도록 고안된 술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식도암으로 Ivor Lewis 수술을 시행 받은 22명 중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세$(46{\sim}73)$이었고 남자가 17명(94.4%)이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술 후 추적 관찰 중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여 식도내 풍선화장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7.2개월$(1{\sim}45)$이었다. 수술 후 문합 부위 누출은 없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1명(5.6%1에서 수술 후 4개월째 발생하였으며 수술 당시 식도 내경이 작아서 25 mm Stapler로 문합했었다. 식도내 풍선확장술을 2차례 시행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현재까지 38개월째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Ivor Lewis 수술 후 발생하는 양성 문합 협착 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본원의 문합 술식은, 다른 저자들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후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폭의 잔존 하인두벽을 이용한 첩포형 전완유리 피판 인두 재건술 (Patch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of Hypopharyngeal Cancer Using the Narrow Strip Pharynageal Wall)

  • 정희선;이원재;유대현;나동균;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407-412
    • /
    • 2006
  • Purpose: Various attempts of reconstruction for pharyngoesophageal defects after ablative surgery have been made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pharyngoesophagus. A fabricated tubed radial forearm free flap or free jejunal free flap was used when the width of remnant pharyngeal wall was less than 50% of the normal width. However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such as stricture, saliva leakage and fistula formation on tubed radial forearm free flap. The jejunal free flap has the problem such as short pedicle, poor tolerance of ischemic time, wet voice and delayed transit of swallowed food due to the uncoordinated contraction. The authors studied the utility of patch-type radial forearm free flap using the remnant posterior pharyngeal wall of the hypopharynx.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in Severance Hospital were made on 25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surgery with patched radial forearm free flap because of the hypopharyngeal cancer between 1996 and 2005. The patients of Group I had the narrow posterior pharyngeal wall and its width was less than 3centimeters after the tumor was resected. Those of Group II had the partial pharyngectomy and the width of the remnant pharynx was larger than 3 centimeters. Results: Seven patients belonged to the group I and the flap of this group had 100% survival rate. One case of fistula and no swallowing discomfort due to stricture was reported. The Group II including 18 patients also had the 100% flap survival rate. Neither fistula nor stricture was seen but the lower diet grade was checked. Conclusion: The patch type radial forearm free flap using the remnant pharyngeal wall have the advantage of the radial forearm free flap, and furthermore this flap is the safe reconstructive method even if the width of the remnant pharyngeal wall is less than 30% of that of normal pharynx.

백서 날문부에서 스텐트 유도 조직 과증식 형성을 위한 전임상 모델에 관한 연구 (A Rat Pylorus Stricture Model to Create Stent-induc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5
    • /
    • 2022
  • 대체적으로는 전임상 평가로써 소·대동물을 통한 의료기기 개발 평가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위 날문부 협착 치료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형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파일럿실험으로 백서 3마리에서 날문부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정상의 날문부 사이즈를 확인하였으며, 그에 맞는 사이즈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1주일 내에 모든 백서에서 스텐트의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스텐트를 투시 가이드 하에 gastrostomy 후 스텐트 삽입 시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여 조직 과증식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Gastrostomy Group으로 나누었다. Stent Group 백서를 마취 후 복부 절개 후 투시 가이드하에 gastrostomy를 실시하여 위 날문부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또한,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의 스텐트와 스텐트가 삽입된 위의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수술 후 4주 뒤 위장조영술을 시행 후 희생하였다. 위의 날문부 과증식 정도 평가를 위해 희생 후 적출한 위의 날문부 병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 및 면역 염색 평가에서 Gastrostomy Group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all p<.001). 결론적으로 Gastrostomy를 통한 위 날문부 수술 모델은 위 날문부 스텐트 삽입술 전임상 평가를 위한 조직 과증식의 형성 정도가 연구평가 툴로써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축장 출하 직장협착 돼지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 혈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 (Serotyping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species from pigs with rectal stricture found in slaughterhouses)

  • 김지연;곽진주;서두리;이재기;임대웅;김하나;박지영;최종욱;윤병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7-145
    • /
    • 2023
  • From November 2021 to October 2022, 151 pigs were discarded due to the suspected salmonellosis, when assessed by antemortem inspection at slaughterhouses in Gwangju. Among them, 85 cases shown with the rectal stricture were confirmed to be infected with Salmonella spp, when assessed by postmortem inspection and Salmonella-oriented culture in the laboratory, accounting for 56.3% of the carcass discard cases.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in 58 cases (68.2%) out of 85 total discard cases. As for serotyping of the Salmonella isolates, 28 cases (48.3%) belonged to serogroup B and 28 cases (48.3%) belonged to serogroup C, those were the most frequent isolates, and 2 cases (3.4%) belonged to serogroup E. The most prevalent serotype was Rissen (39.7%), followed by I4,[5],12:i:-(37.9%), Derby (8.6%), Bareilly (5.2%), Infantis (3.4%), Give (3.4%), and Typhimurium (1.7%). The 58 isolates of salmonellae showed resistance to tetracycline (63.8%), chloramphenicol (56.9%), ampicillin (53.4%), and ampicillin-sulbactam (51.7%). S. Rissen showed resistance to chloramphenicol (82.6%), ampicillin (52.2%), ampicillin-sulbactam (52.2%), and tetracyclin (47.8%). S. I4,[5],12:i:-was resistant to tetracycline (90.9%), ampicillin (81.8%), ampicillin-sulbactam (77.3%), and chloramphenicol (59.1%). Among the isoates, S. Bareilly (3 strains), S. Infantis (2 strains), S. Give (2 strains), S. Rissen (3 strains), and S. I4,[5],12:i:- (1 strain) showed no resistance to the tested antimicrobials. As for the prevalence of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AM-SAM-TE-C was the most common, which was shown in 15.5% of S. Rissen. At second, the resistance pattern was occurred as AM-SAM-TE (12.1%) and AM-SAM-CF-CZ-FOX-CTX-NA-TE-C (12.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 I4,[5],12:i:-.

식도공피증 -수술치험 1예- (Esophageal Scleroderma - Report of 1 case -)

  • 양태봉;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929-934
    • /
    • 1988
  • 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is a disease of unknown origin and uncommon in the east area. We experienced one case of severe peptic esophageal stricture due to esophageal scleroderma. The patient`s life quality was improved with the esophageal reconstructive procedure using reversed tubed gastric pedicle and his body weight was normalized with regular diet.

  • PDF

천성 식도-기관지루의 외과적 교정 1례 (Surgical Repair of Acquired Esophagobronchial Fistula - Report of one case -)

  • 병순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3호
    • /
    • pp.526-530
    • /
    • 1988
  • Acquired communicated fistula between the esophagus and respiratory system are infrequent and they are caused by carcinoma, trauma, infection and traction. This report reviews the feature of acquired esophagobronchial fistula[that developed spontaneously]. Patient is 34 year old man with excellent result by surgical intervention. The surgical procedures consist of division and repair of the fistula.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the patient is free from coughing after drinking, substernal distress, esophagorespiratory fistula, and esophageal stricture after surgical treatment.

  • PDF

Achalasia 의 외과적 치료 (Result of modified Heller operation with gastric fundoplication in esophageal achalasia)

  • 오봉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451-455
    • /
    • 1982
  • For recently 2 years, 3 cases of esophageal achalasia were surgically treated by modified Heller operation with gastric fundoplication. Esophageal achalasia is functional disorder of lower esophagus of which symptoms are dysphasia, regurgitation, and weight loss. Preoperative diagnosis was made b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adiologic examination, esophagoscopy and confirmed at operative table. Operative procedures are variable, but modified Heller operation is common method to handicap reflux esophagitis and postoperative esophageal stricture. Now, our patients who were surgically treated were well alive without complaining of specific symptoms for followed period.

  • PDF

타액선조영술과 타액선도관세정술: 폐쇄성 타액선 질환을 중심으로 (Sialography and Intraductal Irrigation, focused on obstructive sialadenitis)

  • 김조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11호
    • /
    • pp.708-713
    • /
    • 2019
  • Chronic obstructive inflammatory disease of salivary glands is the most frequent disease of the salivary glands and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swelling and pain caused by pressure. Sialography is recommended for the diagnosis of obstructive sialadenitis to observe changes in duct morphology, such as stricture and dilatation. Intraductal irrigation using normal saline is a simpl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inflammatory disease by removing the microlith and mucous plugs in the duct. It can be used as a conservative treatment option for resolving the obstructive sympto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