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mutan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4초

농산 부산물 분획성분의 항균 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aste Food Fractions)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5-828
    • /
    • 2003
  •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흔히 애용되고 있는 감자와 양파의 껍질은 농산 부산물로서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또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 본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감자껍질(Solanum tuberosum Peel, SP)과 양파껍질(Allium cepa L. Peel, AP)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각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제 효과를 paper disc법에 의하여 살펴보았다. 각 균주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면 여러가지 균들 중에서는 Psedomonas aeruginosa균에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볼 수 있었으며, 감자껍질에 비해 양파껍질이 대체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파의 ethylether 층인 APMEE와 butanol층인 APMB는 2000 $\mu$g/mL 농도에서는 17.72 및 16.35 mm의 높은 균 생육억제대가 나타나 본 연구실에서 이미 행한 여러 다른 시료를 이용한 연구 결과 중에서도 아주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균에서는 초기 농도에서는 SPM에서 균 생육억제 대가 서서히 형성되었으나 APM의 경우는 거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지만 최종농도 2000 $\mu$g/mL에서는 ethylether층인 APMEE층에서 매우 높은 균생육 억제대인 11.00 mm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SPMEE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Staphylococcus aureus균의 경우 양파의 butanol층인 APMB를 1500과 2000 $\m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65, 12.28 mm의 높은 생육억제대가 나타났다. 이외의 균들에서는 각 용매 분획별로는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4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과 양파껍질 분획물의 농도별 각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시료 모두 ethylether 층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층과 butanol 층에서도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특히 감자껍질의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 대해 수층에서의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농산 부산물인 양파와 감자껍질을 이 용한 천연 항균제 및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별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균활성 (Physiochem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Cultivar)

  • 정우재;강민정;윤환식;성낙주;신정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91-100
    • /
    • 2012
  • 국내 마늘의 품종과 관련한 연구는 산지에 따른 비교로 한정되어 있어 마늘의 성분 및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품종별 마늘 시료 12종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품종별 마늘의 구폭은 캘리포니아 만생종(60.44mm, 53.73g)이 가장 크고 무거웠으며, 창녕종(44.04mm, 25.15g)이 가장 작고 가벼웠다. 품종별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4.13~90.56, a값은 -1.10~0.77, b값은 18.24~26.61의 범위였다. 전단가는 캘리포니아 조생종이 가장 낮았으며, 94-12-2종은 $4211.35cm/kg^2$ 으로 타 시료에 비하여 전단가가 가장 높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6.40~11.33 %brix의 범위였는데, 창녕종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품종별 마늘의 pH는 5.57~6.53의 범위였다. 총 thiosulfinate 함량은 이태리종이 93.23 mM/g로 가장 낮았고, 캘리포니아 만생종이 146.05 mM/g로 가장 높았다. 총 pyruvate 함량은 유고종($162.50{\mu}M/g$)에서 가장 높았고, 캘리포니아 조생종($147.41{\mu}M/g$)에서 가장 낮았다. 품종 별 마늘의 추출물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eptococcus mutans균에서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Escherichia coli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았다.

제주 전통 발효식품 쉰다리에서 분리한 세균의 군집 조사 및 어류질병세균과 인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효과 (Phylogenetic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cteria from Shindari of Jeju Traditional Fermented Food)

  • 유영수;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3-82
    • /
    • 2021
  • 옛날부터 제주도는 지형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보리를 주식으로 사용하였다. 식은 보리밥을 누룩과 함께 단기간 발효시켜 그대로 음용 또는 단맛을 첨가하여 단술 또는 쉰다리라 불리는 제주 발효음료를 만들어 먹었다. 막걸리와 비슷한 원료로 짧은 시간 발효하여 만들어지는 쉰다리는 막걸리의 연구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전통 막걸리인 쉰다리에 군집되어있는 세균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로부터 어류와 인체 유해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분리 균주에서 Firmicutes 73%와 Proteobacteria 27%로 Firmicutes문이 우점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Pediococcus속, Bacillus속이 각각 25%로 가장 우세하였고, 다음으로 Cronobacter속 22%, Enterococcus속 16%, Aneurinibacillus속 5%, Klebsiella속 4%, Paenibacillus속이 2% 순으로 나타났다. 항균 활성 결과에서는 어류질병 세균 P. Damselae와 인체 유해세균 S.mutans를 제외한 모든 균에 대해서 생육저해 환을 나타냈다.

Anti-Oral 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a Titanium Surface

  • Jeong, Moon-Jin;Lim, Do-Seon;Heo, Kyungwo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1-229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ral 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RA)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a titanium (Ti) surface during osseointegration,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RA as a safe natural substance for the control of peri-implantitis (PI) in Ti-based dental implants. Methods: A disk diffusion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RA against oral microorganisms. In order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A, inflammatory conditions were induced with 100 ng/ml of LPS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treated with or without 14 ㎍/ml of RA.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was confirmed using an NO assay kit and PGE2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 total RNA and protein. Results: RA showed weak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Escherichia coli,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d the fungus Candida albicans. RA reduc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O and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1β,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at the protein and mRNA levels. Conclusion: RA not only has anti-oral microbial activity, but also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s on the Ti surface,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safe functional substance derived from plan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I for successful Ti-based implants.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의 생리활성 비교 평가 및 유효성분 (Comparative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Active Compounds of Some Invasive Alien Plants)

  • 김소진;김민건;부경환;김창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4-274
    • /
    • 2023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대량 발생하고 있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을 기능성 바이오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5종 외래식물체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효과와 유효성분을 조사하였다. 외래식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애기수영 > 서양금혼초 ≥ 가시상추 > 환삼덩굴 ≥ 왕도깨비가지 순서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애기수영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는 식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외래식물체 에탄올 추출물(100 ㎍ SE/mL)의 NO 및 PGE2 생성 억제 효과는 각각 약 20~60%와 10~70%로 나타났고, 애기수영 및 환삼덩굴이 다른 3종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식중독 유발 미생물 및 5종의 구강 미생물을 대상으로 식물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조사한 결과, 환삼덩굴, 애기수영 및 왕도깨비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은 B. subtilis, E. coli, V. parahaemolyticus 및 V. vulnificus 4종 식중독균 모두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구강충치 유발 미생물인 E. faecalis, L. casei, R. dentocariosa, S. epidermidis, 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는 환삼덩굴 추출물이 효과적이었으며, 항균 활성에 관여하는 주 유효성분은 pentadecylic acid, palmitic acid, clionasterol 등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특히 애기수영 및 환삼덩굴의 기능성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이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소재 발굴 등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존수 및 오존가스를 이용한 학교급식에서의 미생물 제어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School Refectories and Kitchens Using Ozone Water and Ozone Gas)

  • 최진경;신일식;김대욱;김희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86-592
    • /
    • 2015
  • 식품유래 병원성 미생물, 채소, 주방기구, 학교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채소 및 주방기구에 대한 오존수의 살균효과와 단체급식소의 공중부유균에 대한 오존가스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유래 병원성 세균인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S. aureus, S. mutans, B. cereus를 5 ppm의 오존수로 60초간 처리하였을 때 B. cereus (4.0 log 감소)를 제외하고 모두 5.0 log 이상 감소하였다. V. vulnificus와 V. parahaemolyticus의 경우는 호염성균인 관계로 오존수로 30초간 처리한 후에도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상추와 오이의 경우, 5 ppm의 오존수 1,000 mL에 5분간 침지하였을 때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근, 들깻잎, 숙주나물 등은 오존수에 5분간 침지하여도 약 3.0 log 밖에 감소하지 않았으며, 무순은 약 2.0 log 정도 감소하여 채소의 종류별로 살균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칼과 stainless 재질의 도마의 경우 5 ppm의 오존수로 30초간 세척한 후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나무재질의 도마는 5 ppm의 오존수로 60초간 세척하여도 균수가 약 1.5 log 정도 밖에 감소하지 않아 살균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초등학교 및 B 고등학교 단체급식소의 주방기구 및 식기에 대한 오존수의 표면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오존수 처리전 식탁, 물잔, 조리용기, 채소용 도마, 주방 싱크대에서는 일반세균이 $2.5-5.6log\;CFU/m^2$ 정도 검출되었으나 5 ppm의 오존수로 60초간 세척한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아 뛰어난 표면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무장갑의 경우 유일하게 대장균이 검출되었으며, 5 ppm의 오존수로 고무장갑을 60초간 세척한 후에도 일반세균은 2.2-2.9 log, 대장균은 1.3-1.6 log 정도 잔존하고 있었다. A 초등학교 및 B 고등학교 단체급식소의 취사장 및 식당에 오존가스 발생장치(출구농도 약 45 ppm)를 12시간 가동한 후 공중부유균을 조사한 결과 B 고등학교의 취사장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B 고등학교의 취사장의 경우도 1.0 log CFU/1000 L air 이하의 균만 검출되어 오존가스가 공중부유균의 살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 이은혁;서용범;권호범;임영준;공현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4-22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기존에 치과 임상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과 비교하여 이 재료가 구강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산화망간 나노 시트가 도핑된 DM을 만들었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태에 대한 관찰 및 도핑된 MnO2의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3%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의 반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귀금속 합금, 지르코니아,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치아우식의 원인균이며 호기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의 원인균이며 혐기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형성된 세균막에 3% 과산화수소수와 DM을 처리하였을 때 세균막 제거 효과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3% 과산화수소수의 경우와 crystal violet 염색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규조류에 이산화망간 성분이 발견되었고, 3% 과산화수소수에서 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재료에서 DM을 처리한 군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나 3% 과산화수소수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결론: MnO2-diatom microbubbler는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을 기존의 구강세정제 성분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Smart Chromatic Technology 기반 복합 레진의 폴리싱 이후 표면 거칠기 및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 (Surface Roughness and Cariogenic Microbial Adhesion after Polishing of Smart Chromatic Technology-based Composite Resin)

  • 김해송;이주현;김해니;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5-74
    • /
    • 2023
  • 본 연구는 "Smart chromatic technology"를 기반으로 새롭게 개발된 복합 레진인 Omnichroma의 폴리싱 이후 표면 거칠기와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을 서로 다른 필러 조성을 가진 기존의 2가지 복합 레진과 비교 평가하였다. 세 종류의 복합 레진: Omnichroma (nano-spherical), Filtek Z350XT (nano-fill), Tetric N-Ceram(nanohybrid)을 사용하여 한 군 당 48개, 총 144개의 시편을 디스크 형태로 제작한 후, 텅스텐 카바이드 버를 이용하여 피니싱 처리하였다. 이후 대조군과 SofLex 디스크, PoGo 버에 따른 3가지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표면 관찰은 원자 힘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은 Streptococcus mutans를 시편에 24시간 배양 후 표면에 부착한 집락 형성 단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Omnichroma는 피니싱 처리만으로도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었으며, 다른 두 가지 복합 레진보다 유의하게 낮은 표면 거칠기를 보였다. 그러나, 폴리싱 후에는 연마 방법과 상관없이 세 종류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종류의 복합 레진 모두에서 SofLex 하위군은 대조 하위군에 비해 훨씬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냈다. 그러나, Tetric N-Ceram을 제외한 다른 두 복합 레진에서 대조 하위군과 PoGo 하위군의 표면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부착은 세 종류의 복합 레진 각각의 하위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Omnichroma는 다른 두 종류의 복합 레진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미생물 부착을 보였다.

C소아치과의원의 개량형 Dentocult-SM검사를 이용한 계속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of C pediatric clinic using a Dentocult-SM test)

  • 우희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9-51
    • /
    • 2008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100 child patien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hich got a Dentocult-SM test in the first visit and then was being continuously managed, out of child patients of a pediatric clinic located in Gyeonggi-do. The period of there search is one year from June 2007 to May 2008, Using Dentocult-SM tes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dental plaque, a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and condition of dental caries cavity in the teeth of child patients, then we measured the distribution of a streptococcusmutans. According to SM score, we applied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child patients to clinical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erms of the age of child patients in research, the number of 3 years old patients was 29(lst ranked), the number of 2 years old patients was 28(2nd ranked). 2. The result of SM score showed that female child patients(52.0%) was higher than male ones in negative, male child patients(52.0%) was higher than female ones in mild, female child patients(68.2%) was higher than male ones in moderate, male child patients(57.1%) was higher than female ones in severe. 3. At the first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dt and dmft.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4. At the second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dt, ft, and dmft index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5. At the third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dt, ft, and dmft index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6. The comparison of dmf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negative and mild,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moderate and severe. 7. The comparison of d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negative, mild, and moderate,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 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severe. 8. The comparison of m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mild and moderate,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m severe. 9. The comparison of f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mild,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negative, moderate, and severe.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dmft index to the age, the 4 years old patients showed the highest number(5.50 in the first visit and 6,08 in the second one). In the third visit, the 6 years old patients showed the highest number(7.00). By the abov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by SM score makes the results of oral care better. Therefore, the improvement or maintenance in oral health of child patients needs continuing personal oral health management and regular systematic management focused on prevention by the specialist.

  • PDF

수목 방향유 15종의 산화방지, 항세균, 항진균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15 tree essential oils)

  • 조세진;박미진;궈루이홍;박정업;양지윤;김재우;이성숙;김영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35-542
    • /
    • 2018
  • 본 연구는 수목 방향유 15종의 산화방지 활성, 항세균, 항진균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2가지 다른 실험방법을 통하여 산화방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 15가지 수목 방향유 중 clove bud, 붓순나무, 왕초피나무, 곰취는 농도의존적으로 상당한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mutans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액체배양법으로 측정한 결과 clove bud에서 현저하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연구한 결과 앞에서 언급한 5가지 균주의 5, $2.5{\mu}L/disc$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그 중 식중독 균주인 S. aureus의 성장에 대해 clove bud ($0.625-5{\mu}L/disc$)는 $1.25{\mu}L/disc$ 농도까지 눈에 띄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A. fumigatus, C. albicans, T. rubrum, A. ochraceus의 4가지 균주에서 clove bud의 항진균 효과가 다른 수목 방향유보다 좋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1-2{\mu}L/disc$의 농도에서 양성 대조 약물인 ketoconazole ($20{\mu}g/disc$) 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산화방지 활성과 항균 활성이 뛰어난 clove bud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고, clove bud는 0.01% 농도에서 염증 관련 인자인 COX-2와 iNOS 단백질 발현을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COX-2 억제제 celecoxib와 유사하게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수목 방향유는 산화방지, 항세균, 항진균, 항염증과 같이 여러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방향유는 산화방지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으며, 염증반응 완화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화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