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ing media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9초

디즈니의 폭스 인수와 미국의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Disney's Acquisition of Fox and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in the U.S.)

  • 주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8-34
    • /
    • 2020
  • 본 논문은 정보통신기술, 특히 인터넷 스트리밍의 등장이 미디어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어떻게 재편해오고 있는가라는 측면에서 최근 디즈니사의 폭스사 인수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디즈니가 점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도전과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본다. 논문은 먼저 디즈니의 폭스 인수와 스트리밍 서비스가 영화 및 미디어 산업에 가져온 변화와 도전을 고찰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2019년 말에 시작될 디즈니의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디즈니의 스트리밍 서비스 진출이 한편으로는 소비자들에게 직접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커다란 이윤을 약속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디즈니가 기반을 둔 기존 미디어 산업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임을 지적한다.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스트리밍 중계 엔진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dia Streaming Relay Engine Using Buffer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 제희광;권동우;김현우;안동혁;주홍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1580-1588
    • /
    • 2016
  •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급격한 보급과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 스마트 기기 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된 이종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중계 시 중계 기기와 다수의 멤버 기기들 간의 과도한 네트워크 자원 경쟁으로 인해 재생 화면 정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 기기와 멤버 기기의 스트림 데이터 버퍼링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네트워크 점유를 방지하고 버퍼 고갈로 인한 재생 화면 정지 문제를 개선하는 스트리밍 중계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중계 기법을 적용한 스트리밍 중계 엔진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중계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스트리밍 중계 시의 화면 정지 횟수와 정지 시간을 측정하여 기존의 중계 엔진과 비교한다. 성능 측정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중계 엔진이 기존의 중계 엔진보다 더 적은 화면 정지 횟수와 정지 시간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적응적 동기 지연시간을 이용한 그룹 동기화 기법 (Group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for Media Streaming)

  • 권동우;옥기수;김현우;주홍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3호
    • /
    • pp.506-51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스마트 기기들 간에 스트리밍 중인 미디어의 재생 위치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재생 중인 미디어의 비트전송률에 따른 적응적인 지연시간을 적용하는 동기화 재생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미디어의 재생정보와 비트전송률에 따라 계산된 동기 지연시간을 클라이언트 기기들에게 전달하는 서버 측 동기화 알고리즘과 서버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밀한 재생 동기를 유지하는 클라이언트 측 동기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동기화 재생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연결시간, 동기화 제어패킷 전송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시간, 동기화 처리시간의 네 가지 지연시간을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동기화 재생 알고리즘을 적용한 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동기화 처리시간과 기기별 동기화 성능 및 그룹 동기화 성능을 평가한다. 성능 실험결과로 서버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그룹 동기 재생위치 차이는 평균 39ms 미만으로 높은 정밀도의 성능을 보인다.

우선순위화 기반 적응형 전송 기능을 가진 MPEG-4 스트리밍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PEG-4 Streaming System with Prioritized Adaptive Transport)

  • 박상훈;장혜영;권영우;김종원;유웅식;권오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859-867
    • /
    • 2004
  • 최선형 서비스를 지향하는 인터넷에서 양질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패킷들의 중요도에 기반 한 적응형 전송 기능을 가진 MPEG-4 스트리밍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 시스템은 기초 스트림 제공자, 동기계층, DMIF 계층 등의 기본 MPEG-4 시스템 구성요소들과 데이터 우선순위화에 따른 FEC 제어 기반 적응형 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동기 계층 패킷들은 객체 단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화되어 전송모듈로 전달되며 신뢰적 전송을 위해 FEC 부호화된다. FEC 조합은 수신측 피드백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되며 대역폭 제한에 맞추어 중요도가 떨어지는 패킷들을 폐기한다. 에뮬레이션기반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 결과는 제안 시스템이 네트워크 대역폭 변동의 영향을 줄이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ssues in Next Generation Streaming Server Design

  • Won, Youjip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1년도 디지털 방송기술 워크샵
    • /
    • pp.335-354
    • /
    • 2001
  • .Next Generation Multimedia Streaming Technology Massive Scale Support $\rightarrow$ Clustered Solution Adaptive to Heterogeneous Network daptive to Heterogeneous Terminal Capability Presentation Technique .SMART Server Architecture .HERMES File System .Clustered Solution . High Speed Storage Interconnect .' Content Partitioning . Load Management . Support for Heterogeniety . Adaptive End to End Streaming Transport: Unicast vs. Multicast '. Scalable Encoding

  • PDF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360-degree Video Streaming System for Large-scale Immersive Displays)

  • 류영일;김건형;;;정세훈;류은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48-859
    • /
    • 2022
  •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D 디스플레이 또는 HMD (Head-Mounted Display) 기반 VR (Virtual Reality, VR)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Phase 1, 2, 3의 연구개발 단계를 밟아 6DoF (Degrees of Freedom) 시점 자유도를 지원하는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는 Phase 1: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DoF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개발까지 완료되었다. 구현된 스트리밍 시스템 프로토타입은 서브픽처 기반 Viewport-dependent 스트리밍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기존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약 80%의 비트율 감소, 약 543%의 영상 디코딩 속도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 구현 및 성능평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미국 UCSB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에 위치한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 AlloSphere에서의 시범방송을 수행하여, 향후 Phase 2, 3 연구단계를 위한 연구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맞춤형 IP 스트리밍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IP Streaming System)

  • 양창모;김경원;임태범;김윤상;이석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15-517
    • /
    • 2006
  • Recently, there is a rapidly growing demand for efficient real-tine playback and transmission of large amounts of multimedia data. But most users' connections are not fast enough to download large chunks of multimedia data. Therefore a streaming technology is needed in which users enable the real-time playback of multimedia date without having to download the whole of the multimedia d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sonalized IP streaming system. The proposed IP streaming system enables users to got an intelligent recommendation of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stored on the streaming server or the home media server. Moreover, users are assured of seamless access of streamed content event if they switch to another client device by implementing streaming system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and device information. We evaluate our approach with simulation results.

  • PDF

HTML5 기반 HTTP 스트리밍 환경에서의 서비스 이동성 연구 (A Study on Service Migration in HTML5 based HTTP Streaming Environments)

  • 최헌회;김근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05-916
    • /
    • 2011
  • 최근, W3C에서는 웹을 통해서 스트리밍 서비스뿐 만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HTML5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 중이다. HTML5 이전의 웹 환경에서는 별도의 플러그인이 설치되어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HTML5 기반 웹 브라우저에서는 내장된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방화벽에 의해 서비스되지 않는 RTP/UDP를 이용한 스트리밍 대신 HTTP/TCP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기술이 표준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표준이 이루어지고 있는 HTML5 기반 적응적 HTTP 스트리밍 환경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세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듬과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말들 사이에 미디어 흐름, 미디어 흐름 제어, 세션 제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모델링 및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단말 간 HTTP 스트리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였다.

H.264 Mapping Strategies for Robust Video Streaming over IEEE 802.11e WLAN

  • Choudhry, Umar-Iqbal;Kim, Jong-Won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280-28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several mapping schemes for streaming video generated by state-of-the-art H.264 codec over IEEE 802.11e enabled wireless LANs. The schemes take advantage of both 802.11e's QoS mechanism and some novel features of the H.264 codec, so as to protect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in terms of visual quality and reduce distortion under network congestion. The proposed methods are evaluated by means of the H.264 reference software codec, network simulation, and objective video quality measurement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achieve a robust and error resilient H.264 video streaming over wireless LANs than traditional best-effort streaming.

  • PDF

MPEG-DASH를 이용한 N-Screen 서비스 동기화 방안 (Synchronization method of N-Screen service over MPEG-DASH)

  • 박정욱;조민우;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3-206
    • /
    • 2012
  • 본 논문은 HTTP protocol을 이용한 미디어 Streaming 서비스 표준인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를 기반으로 한 N-Screen 서비스 동기화 방안을 제시한다. N-Screen 서비스란 다수의 미디어 Device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텐츠들을 공유 및 전송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는 MPEG-DASH 표준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DASH는 다수의 품질의 같은 영상들을 시간별로 분할하여 Server에서 보유하여 한 Device에게 네트워크 환경에 맞춰 가장 적합한 Segment들을 전달 및 전환함으로써 끊기지않는 Streaming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MPEG-DASH 표준기술에서는 N-Screen 서비스에 대한 활용방안 시나리오가 재정되어 있지 않아 다수의 Device에서 Segment를 끊김없는 Media Streamin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 Device가 다른 Device에게 N-screen을 위한 동기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특정 콘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이어 볼 수 있는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