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wberry mother pla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cold storage method for 'Sulhyang' strawberry mother plants on mother plant growth and the number of runners and daughters

  • Lee, Inha;Kim, Hyun-Sook;Nam, Myeong Hyeon;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625-632
    • /
    • 2020
  • This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nditions of temperature, storage period, and soil moisture content when using cold storage of potted mother plants of as a means of sufficient dormant breaking and safe overwintering of the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v. Sulhyang) mother plants. In the treatment by temperature for the dormant breaking of strawberry mother plants, the survival rate of natural overwintering was 91%, whereas the survival rate was 100% at 0, - 2, and - 5℃. As the storage temperature was decreased, the plant height of the mother plants became shorter which tended to decrease after planting. Survival of the mother plants was possible at - 5℃, but after planting, the growth and number of daughter plant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was highest at 22.8 per plant at - 2℃ storage. The strawberry mother plants could be stored for up to 8 months in cold storage. However, when the mother plants were stored for a long period,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was small. When they were stored for 4 months, the growth of the mother plants was vigorous, and the number of runners and daughter plants was high.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was less than 10 percent (%, w/w) in the cold storage of the pot, the survival rate was 85 percent, which was high due to the dryness. The survival rate was 100 percent at 30 and above, and the growth of the mother plants after planting and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were high at 30 to 50.

딸기 영양번식을 통한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자묘 감염 (Infection of Daughter Plants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through Runner Propagation of Strawberry)

  • 남명현;강양제;이인하;김홍기;전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73-277
    • /
    • 2011
  • 딸기의 크라운과 뿌리를 갈변시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의한 시들음병은 국내 육묘포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토양병해이다. 육묘기 영양번식을 통한 시들음병 전염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금향' 품종을 대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일시채묘 방식으로 자묘를 증식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들음병 감염묘와 건전묘간의 자묘생산량 비교에서는 접종 58일 후 감염묘의 러너 발생수는 비닐하우스와 인공광 이용형 육묘 모듈에서 각각 2.7개와 3.8개였으나 건전묘에서는 6.5개와 8.4개로 감염묘에 비해 자묘 생산이 2배 이상 되었다. 시들음병에 감염된 모주에서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의 감염율은 정식 58일 후 1차 러너의 상단부위(2-1)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그 이하 부위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정식 90일 후에는 시들음병균이 1차 러너의 상, 중, 하단 부위(2-1, 2-2, 2-3)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으며, 1차 자묘에서도 60%의 검출율을 보였다. 반면 건전 묘에서는 정식 58일과 90일 후에도 시들음병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딸기 시들음병은 토양 전염 외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로의 전염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들음병의 건전묘 생산방법으로 인공광 환경에서 생산된 1차 자묘를 육묘용 모주로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매향' 딸기 삽목묘와 유인묘의 노동 기간, 작업 시간 및 생육 비교 (Comparison of Labor Period, Work Time, and Seedling Growth in Cutting and Pinning Transplants on 'Maehyang' Strawberry)

  • 황희성;정현우;강재현;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7-262
    • /
    • 2021
  • 유인 방법은 딸기 묘를 생산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딸기 묘를 유인하여 번식하는 방법은 오랜 노동시간이 있어야 하는 노동 집약적인 방법이다. 삽목 방법은 상대적으로 유인 방법에 비해 노동 기간과 작업 시간이 짧으므로 유인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되어왔다. 이 연구는 유인과 삽목 사이의 노동 기간, 작업 시간 및 묘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매향' 딸기는 두 개 동의 딸기 육묘용 유인 온실과 삽목 온실에서 각각 재배되었다. 유인 방법(유인 작업, 모주 제거, 자묘 간 분리) 및 삽목 방법(삽수 채묘, 저장 전 처리, 삽목 작업)에 대한 주요 작업 시간을 측정했으며, 유인은 158일 동안 6개의 작업이 필요하며, 삽목은 113일 동안 4개의 작업이 필요했다. 유인은 삽목보다 작업 시간이 더 많이 필요했다. 유인과 삽목묘 육묘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묘소질의 손실 없이 육묘 동안 유인 방법보다 삽목 방법이 더 많은 노동 기간과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양액 EC 농도에 따른 육묘기 '매향' 딸기 모주의 생육 및 자묘 발생 (Growth of Mother Plants and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of 'Maehyang' Strawberry as Affected by Different EC Levels of Nutrient Solution during Nursery Period)

  • 김현민;김혜민;정현우;이혜리;정병룡;강남준;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5-190
    • /
    • 2018
  • 본 연구는 딸기 '매향' ($Fragaria{\times}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모주의 생육과 자묘 생산량 증대를 위한 최적 배양액 공급 농도 구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모주를 2017년 3월 22일 코코피트가 충진된 딸기 재배용 포트($64{\times}27{\times}18cm$)에 정식하였다. 배양액은 뿌리 활착을 위해 11일 동안 EC 수준을 $0.6dS{\cdot}m^{-1}$의 농도로 점적 테이프를 이용하여 공급하였다. 뿌리 활착 후, 딸기 모주의 EC를 각각 0.6, 1.2, $1.8dS{\cdot}m^{-1}$의 수준으로 처리해주었다. 정식 후 100일째에 딸기의 모주와 자묘의 생육 특성을 측정하였다. 모주의 초장은 EC $0.6dS{\cdot}m^{-1}$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모주의 크라운 직경은 EC $1.8dS{\cdot}m^{-1}$ 처리에서 유의성 있게 두꺼웠다. 지상부와 러너 생체중 및 건물중 모두 EC 0.6, $1.2dS{\cdot}m^{-1}$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런너의 개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묘 수는 EC $1.2dS{\cdot}m^{-1}$ 처리에서 16.7개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딸기 세 번째 자묘의 생체중 및 건물 중은 $0.6dS{\cdot}m^{-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딸기 자묘 수는 $1.2dS{\cdot}m^{-1}$ 처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지만, 육묘기간 동안 딸기의 묘소질 측면에서는 낮은 EC 수준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매향' 딸기의 육묘기간 동안 수경 재배용 배양액의 EC 수준을 $0.6dS{\cdot}m^{-1}$로 공급하는 것이 모주의 생육 및 자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묘상에서 딸기탄저병의 1차전염원 (Primary Inoculum of Strawberry Anthracnose in Nursing Field)

  • 김승한;김동근;윤재탁;최성국;이준탁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28-233
    • /
    • 2002
  • 딸기육묘시 발생하는 탄저병의 1차 전염원을 밝히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 육묘포의 토양과 주변 잡초중에는 탄저병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외관상 건전한 딸기의 모주를 습실처리하였을 경우에는 탄저병균이 검출되었다. 딸기묘에 탄저병균의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였을때 발병은 되지 않았지만 습실처리하였을 경우, 접종 17일 후까지 발병이 되었고, 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한 딸기잎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접종 7일 후 부착기만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딸기 탄저병은 육묘상에서 딸기 모주를 통해 전염이 되고, 탄저병균의 포자가 모주에 부착되어 있더라도 부적당한 환경조건에 의해 발병되지 않아 육안으로 판별이 불가능하며, 발아가 되었으나 침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부착기로 남아 침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육묘기 '매향' 딸기의 생육, 런너 및 자묘 생산에 미치는 지베렐린 처리방법 및 농도의 영향 (Gibberellin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Affect to Growth, Runner, and Daughter Plant Production in 'Maehyang' Strawberry during Nursery Period)

  • 강재현;김현민;김혜민;정현우;이혜리;황희성;정병룡;강남준;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4
    • /
    • 2018
  • 본 연구는 육묘기 동안 딸기 '매향'(Fragaria ${\times}$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 및 런너 생산과 묘소질에 있어 지베렐린($GA_3$)의 처리방법과 농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모주는 2018년 3월 20일에 상업적 생육배지로 충진된 포트 ($64{\times}27{\times}18cm$)에 정식하였다. 정식 후 4주째에 $GA_3$의 농도를 0, 50, 100, $200mg{\cdot}L^{-1}$로 식물체당 45mL씩 각각 엽면살포와 배지관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배양액의 EC는 $1.5dS{\cdot}m^{-1}$로 공급하였고 뿌리 활착 후 1일 2회 포트 당 350mL(1회당 15분)를 공급했다. 처리 후 7주째에 딸기의 모주의 생육 특성을 측정하였고, 처리 후 10주째에 딸기 자묘의 생육특성을 측정하였다. 모주의 런너 길이와 직경은 $200mg{\cdot}L^{-1}$의 엽면살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각각 가장 길고 두꺼웠다. 모주의 SPAD값은 $200mg{\cdot}L^{-1}$의 엽면살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엽장, 엽폭, 크라운 직경은 $GA_3$의 처리방법과 농도에 대한 모든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A_3$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딸기의 크라운이 기형적으로 길어지는 생리장해가 나타났다. $200mg{\cdot}L^{-1}$의 엽면살포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많은 생리장해가 나타났으며 배지관주에서는 엽면살포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런너와 자묘의 수는 처리방법에 무관하게 $GA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자묘의 생육 특성에서, 첫번째 자묘의 엽장과 엽폭, 두 번째 자묘의 초장, 크라운 직경, 엽면적과 SPAD 값, 세 번째 자묘의 초장이 $100mg{\cdot}L^{-1}$의 배지관주에서 유의성 있게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딸기 모주의 생육과 런너 생산 및 자묘의 생육은 $GA_3$ $100mg{\cdot}L^{-1}$의 배지관주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Expanded Rice Hulls as a Root Substrate on the Suppression of Anthracnose Crown Rot in Strawberry

  • Park, Gab Soon;Nam, Myeong Hyeon;Choi, Jong M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42-248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substrates, expanded rice hulls (ERH), commercial substrates for strawberries (CSS), clay sand (CS), and loamy sand (LS), on the inhibition of anthracnose crown rot (ACR) in strawberry. Mother plants of 'Seolhyang' strawberry were transplanted into an elevated bed in March, 2013 and March, 2014 and the runners connecting mother plants and daughter plants were cut in early August of both years. After separati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daughter plants were measured and then each daughter plant was inoculated with conidial suspensions of Colletotrichum fructicola, one of several species of Colletotrichum that causes ACR in strawberries. The incidence of ACR as influenced by the different substrates was investigated in both years. The daughter plants grown on CSS had the highest values for shoot height, leaf area, and fresh weight. Those grown on ERH and LS substrates also displayed good above-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except for fresh weight, but the daughter plants grown on CS had the poorest above-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The ERH and CS treatments resulted in the highest number of primary roots and the greatest root weight. The CSS-grown daughter plants had the highest ACR disease index, followed by the CS and LS treatm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substrates. However, the ERH-grown daughter plants had a markedly lower ACR disease index on October 11, 2013 and October 7, 2014. The CSS-grown daughter plants had high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s and low calcium content, whereas the ERH-grown daughter plants had low nitrogen levels and high silicon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ability of the different substrates tested to provide disease suppression of ACR in the propagation of strawberry transplants.

관개수에 첨가되는 산 종류가 영양생장 중인 '설향'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arious Acids Added to Irrigation Water on the Reduction of Bicarbonate Injury during Vegetative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 이희수;최종명;김태일;김현숙;장원석;이희철;이인하;남명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07-615
    • /
    • 2016
  • 고농도 중탄산 피해경감을 위한 관개수의 산 혼합이 '설향' 딸기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탄산($HCO_3{^-}$)농도가 $240mg{\cdot}L^{-1}$ 또는 $90mg{\cdot}L^{-1}$인 Hoagland 용액을 조제하여 -대조구와 +대조구로 삼고, -대조구에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및 살리실산을 혼합하여 중탄산 농도를 $60mg{\cdot}L^{-1}$으로 낮춘 처리용액을 만들었다. 이후 3엽기인 '설향' 딸기를 정식하여 모주로 삼고 126일 동안 처리하면서 모주 생육과 자묘의 발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의 생체중은 -대조구가 관개수에 산을 혼합한 모든 처리나 +대조구 보다 가벼웠다. -대조구에서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13.0개였지만,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및 살리실산 처리구는 각각 19.4, 20.1, 18.6, 22.4, 및 18.9 개체였다. 산을 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생한 자묘수가 뚜렷하게 많았으며, 특히 질산+인산 처리가 다른 처리들 보다 유의하게 자묘수가 많았다. -대조구와 살리실산 처리구에서 처리 126일 후 근권부의 pH가 각각 8.2와 7.3으로 상승하였지만, 질산, 인산, 황산 및 질산+인산 처리구는 각각 5.5, 5.4, 5.3 및 5.5로 측정되었다. 수확 후 식물체내 Ca 및 Mg 함량은 +대조구,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살리실산 처리구에서 유사하였지만, -대조구에서 가장 적게 분석되었다. 식물체내 Fe, Mn, Zn, 및 Cu의 함량은 산을 혼합한 처리구에서 비슷했고, -대조구에서는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는 관개수에 고농도의 중탄산이 존재하여 피해가 발생할 때 다양한 산을 처리하여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질산+인산 처리가 영양번식 중인 '설향' 딸기생장 및 자묘 발생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기내배양에서 2,4-D 및 NAA처리와 계대배양회수에 따른 딸기의 RAPD Band 변화 (Change in the RAPD Band of Strawberry Depending on 2,4-D and NAA Treatment and the Number of Subcultures In Vitro)

  • 심재성;정해준;민병훈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47-152
    • /
    • 1996
  • 딸기의 3품종을 엽과 엽병으로 배양한 결과 2,4-D + BA 처리에서는 치밀한 캘러스가 유기되었고 이 캘러스로부터 다수의 신초가 분화되었으며 NAA + BA 처리에서는 부숴지기 쉬운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수홍' 엽조직을 NAA나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8개월간 배양하면 212번 primer에서 생산된 RAPD band가 모본 band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보교'와 '여봉'의 엽에서 유기된 캘러스를 2,4-D가 첨가된 액체배지에 계대배양회수를 달리하여 배양하였을 때 12회 계대배양에서 모본과 상이한 RAPD band가 출현되었다.

  • PDF

'매향' 딸기 번식을 위한 플라스틱 백 재배시 상토 물리.화학성이 모주생육과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the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during the Propagation of 'Maehyang' Strawberry Using a Bag Culture System)

  • 최종명;박지영;고관달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1-197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used during the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propaguleson the growth of the mother plants and the rate of daughter plant formation. Plants were cultured in plastic bags containing six different formulations of root substrates composed of: a) 50% coir dust and 50% perlite (5:5 by volume, A), b) 60% coir dust and 40% perlite (6:4, B), c) 70% coir dust and 30% perlite (7:3, C), d) 70% coir dust and 30% coconut chip (7:3 D), e) 60% coir dust and 40% coconut chip (60:40, E), or f) 50% sphagnum peat and 50% vermiculite (50:50, F). All media formulations contained a moderate level of base fertilizer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ach formulation were determined before plant establishment and after 120 days of stock plant culture and runner production. Total porosity (TP) and container capacity (CC) of all substrate formulations were higher than 85% and 55%, respectively, allowing a suitable range of air and water holding characteristics. Formulation F provided the highest TP and CC values among the all substrate modifications evaluated. Substrate formulations A, B, C and F ha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NO_3{^-}$-N concentrations than formulations D and E, when determined before and after plant culture. Formulations A, B, C, and F, having higher EC readings, also performed better as root substrates thanthe formulations D and E in increasing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runners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daughter plants per plant. The 'Maehyang' strawberry plants grown in the formulation F had the highest tissue N content, followed by those grown in substrate B, A, C, or D for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Formulation F also facilitated accumulation of higher tissue phosphorus (P) and copper (Cu) content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the chemical properties, rather than phys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the occurrence of healthy daughter plants during the bag-culture phase of propa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