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y making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6초

Investigating Children's Informal Knowledge and Strategies: The Case of Fraction Division

  • Yeo, Sheun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83-304
    • /
    • 2019
  •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informal knowledge and strategies fifth-grade students brought to a classroom and how much they had potential to solve fraction division story problem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ngag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raction division prior to their formal instruction at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story problems, the informal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s well as division was actively utilized in student's strategies and justification. Students also used various informal strategies from mental calculation, direct modeling, to relational thinking. Formal instructions about fraction division at schools can be facilitated for sense-making of this complex fraction division conception by unpacking informal knowledge and thinking they might bring to the classrooms.

영화 스토리와 관객 감성반응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Stories and Emotional Responses for American Movies)

  • 우정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19
    • /
    • 2021
  • 영화를 감상하는 동안 관객들은 각기 다양한 감성 반응을 보인다. 슬퍼하고 분노하며, 기뻐하고 화를 내는 등의 감성 반응이 영화가 전개되는 스토리에 따라 나타난다. 영화 전개에서 벌어지는 상황과 사건 등에서 관객이 보인 감성반응이 무엇인지를 뇌파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이것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각 장르를 대표하며, 흥행에 성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미국 영화 4편을 선택하였다. 어드밴처 장르의 <내서널트래저>, 애니메이션 장르의 <토이스토리3>, 액션 장르의 <아이언맨1>, 드라마 장르의 <블라인드사이드>이다. 이들 영화의 감성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뇌파의 PPG를 중심으로 4개 경우를 설정하여 시계열 그래프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래프에 나타난 감성반응이 스토리 전개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영화 제작할 때, 특히 스토리를 어떻게 구성하여 전개시켜 나갈 것인가 할 때 장르 선택에 도움을 줄 것이고, 관객들의 감성을 유도해 내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야기 생성을 위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스크립트 언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ve Storytelling Script Language for Generating the Stories)

  • 김석규;문성현;박준;장준호;한상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13-322
    • /
    • 2009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멀티 스토리를 생성하는 기법을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Interactive Storytelling)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서술구조와 이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립트 언어를 제시하고, 이 언어로 표현된 서술구조를 처리하여 스크립트 형태로 이야기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위한 저작 도구 생성의 기반이 되며 이는 다른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생성하기 위한 스토리 연구 도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만들어진 이야기를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로 표현하는 도구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역사적 도심 내 자가(自家) 병용주택의 현황 및 유형별 특성 - 청주시 성안동과 중앙동을 대상으로 -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wner Shop Houses in the Historic Area - Focused on Seongan-dong and Jungang-dong, Cheongju, Korea -)

  • 유슬기;정진주;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35-40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classification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f 148 owner shop houses existing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of Cheongju. First,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ingle-story, middle-story, and divided typ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functions. The single-story(36) has 'ㅡ', 'ㄱ', and 'narrow and deep'-shaped arrangement, with stores on the front and houses on the rear. The middle-story second floor(89) is divided into a first-story store and a second-story house, and the third floor(23) has different functions for each floor, but more than half of them have houses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Among the total, there are also 16 cases in which the division type is taken with different construction times and structures. Second, in the position of the stairs connected to the upper floor among the middle-floor types(112), the outer stair type(52) to separate from the living space while making the most of the stores on the first floor accounts for 47%, but the biggest feature is that the inner staircase type(34) with privacy reaches 30%. The rear stair room type(26) entering through alleyways or private yards is also 23%. Third, the front pillar spacing varies from 1bay to 4bay in appearance, but the 2bay type on the 2nd floor and the 1bay type on the 3rd floor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This exterior type is a characteristic of a owner shop house that can measure the range of personal ownership. Despite the conflicting functions of stores and houses, 35~40% of the cases are in which the opening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loors are unified.

Closed-form fragility analysis of the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 Kia, M.;Banazadeh, 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1권1호
    • /
    • pp.93-107
    • /
    • 2016
  • Seismic fragility analysis is a probabilistic decision-making framework which is widely implemented for evaluating vulnerability of a building under earthquake loading. It requires ingredient named probabilistic model and commonly developed using statistics requiring collecting data in large quantities. Preparation of such a data-base is often costly and time-consuming. Therefore, in this paper, by developing generic seismic drift demand model for regular-multi-story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is tried to present a novel application of the probabilistic decision-making analysis to practical purposes. To this end, a demand model which is a linear function of intensity measure in logarithmic space is developed to predict overall maximum inter-story drift. Next, the model is coupled with a set of regression-based equations which are capable of directly estimating unknow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parameters.To explicitly address uncertainties arise from randomness and lack of knowledge, the Bayesian regression inference is employed, when these relations are developed. The developed demand model is then employed in a Seismic Fragility Analysis (SFA) for two designed building. The accuracy of the results is also assessed by comparison with the results directly obtained from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A Narrative Approach to Helping an Early Childhood Children Teacher Achieve Greater Happiness in their Classes)

  • 서혜정;변미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9-175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positively transform a teacher's emotional state whilst teaching their classes and be able to create happier lessons for preschool children. To do this, a teacher needs to reflect upon current problems and take steps to deal with them.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making use of photos, a reflectiv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cords from Mar. 28, 2011 through Oct. 7, 2011.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1) teacher centered classes, (2) a daily routine filled with large group activities, (3) disruptive students, and (4) repetitiveness. The routes to greater classroom "happiness" are (1) rearranging seats, (2) "story shar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3) making a separate "story sharing activity" area, (4) using small groups instead of large groups, (5) changing the daily routine. The role of the teacher in finding greater "happiness" are (1) meaningful, 'real observation', (2) discovering genuine change from small points, (3) power sharing, and (4) growing and developing with children.

부재 해석을 통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연혁 추적 (Tracking the Histor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the Goseonsa Temple Site in Gyeongju throughan Analysis of Component)

  • 전효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1권
    • /
    • pp.41-52
    • /
    • 2019
  • 2017년 실시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정밀안전진단 과정에서 1975년 석탑 이전 시 2층 탑신석이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일제강점기와 1975년 해체 전후의 관련정보와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여 석탑부재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1943년 개건 전·후에는 부재의 변동이 없었으나 1975년 이전과정에서 2층 탑신석이 오른쪽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였고, 1층과 2층의 옥개석 1매가 서로 바뀌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석탑부재의 변동이 오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3차원 스캐닝 정보를 토대로 정밀계측과 옥개석 부재의 재구성 등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검증결과 현재 1층 옥개석 4매의 두께는 75~76cm, 2층은 78~79cm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고, 옥개석 간 연접선의 형상 역시 자연스러웠다. 이에 고선사탑은 조성이후부터 1943년 사이에 중수(重修)된 숨은 연혁이 존재하며, 고대에 발생한 오류를 1975년 바로잡은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아울러, 2층 탑신석의 회전은 옥개석 위치변동에 따른 부수적 조치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야기하기의 행동경제학 (The Behavior Economics in Storytelling)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29-337
    • /
    • 2019
  • 이야기 구연 현장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들은 세련되고 정제된 것들 보다는, 왜곡되고 변질된 채 전승되는 이야기들이 더 많다. 거기다가 구연자의 엉뚱한 해석까지를 텍스트 범주에 포함한다면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구연 설화의 경우에는 이야기를 연행하는 구연자의 세계관과 이야기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글은 그 동안 우리가 설화를 읽으면서 지나치고 말았던 부분들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점검함으로써 설화 읽기 내지는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기한다. 모든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 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틱과 구비문학을 관련시킬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에 대한 행동경제학의 관점을 원용하여, 개인과 대중의 기억을 바탕으로 구연되는 이야기에 대해 휴리스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휴리스틱은 화자의 실수, 이야기의 착종, 청중의 반응 등 이야기 구연에서 자주 포착되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어려웠던 유의미한 사항들을 어떤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지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중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A Research on the Real State of Story-telling Mathematics Class of Middle School)

  • 유은화;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41-4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2009개정 교과서로 직접 수업을 진행한 중학교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스토리텔링 수업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경기도 김포시와 일산, 부천 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2학년 담당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을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다양한 소재와 활동에 따른 창의력과 사고력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스토리텔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하였고,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의 부자연스러움을 지적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스토리텔링 자료들이 활용되고 있었는데, 특히 동적인 자료가 수업에 많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단원의 도입부분에 스토리텔링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문답활동을 통하여 수학 개념이 전달되는 형태로 스토리텔링 수업이 많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Model for Digital Generation)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47-656
    • /
    • 2017
  •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스토리를 기획 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디지털 세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동과 같은 역량들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활동 준비', '스토리 기획 및 구성', '스토리텔링 자료 제작', '자료 발표 및 평가'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대한 활동 지침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활동을 돕기 위하여 스토리 기획서, 스토리 테이블, 팀간 평가지, 개별 성찰지 등의 양식들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