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potato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3초

열처리 및 갈변저해제 병용처리에 의한 신선편이 감자제품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 in quality attributes of fresh-cut potatoes with heat and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during storage)

  • 송혜진;권오연;강복희;허상선;이동선;이상한;강인규;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6-393
    • /
    • 2013
  • 신선편이 감자제품의 최소가공 공정에서 열처리와 갈변억제제처리를 적용하여 저장 중 갈변 억제와 유통기한 연장에 따라 품질을 증진시키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감자의 표면색을 측정한 결과 L값은 AA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Delta}L$값과 ${\Delta}E$값은 HA 처리구가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변화폭을 나타내었다. PPO 활성 변화는 HA 처리구가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해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며 효소 활성이 억제됨을 보였고 PAL 활성 역시 PPO 활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처리구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저장 10일째 1.0% 미만으로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수분함량 역시 경도와 마찬가지로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향과 조직감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표면색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HA 처리구가 저장 10일째 3점을 나타내며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장 중 감자 외관을 관찰한 결과 모든 처리구의 갈변현상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았고 저장 6일까지도 표면에 수분이 유지되었다. ascorbic acid와 열을 병용처리한 신선편이 감자는 10일의 저장기간 동안 상품성을 잃지 않아 저장 중 갈변을 억제하고 고유의 품질특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공정에 따른 인산가용화균 Penicillium sp. PS-113의 고체분말비료 제제화 효과 비교

  • 태언희;이태근;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69-370
    • /
    • 2002
  • 인산가용화균 Penicillium sp. PS-113의 포자를 고체분말비료로 제제화 시 장기보존함과 동시에 균의 생활력 유지를 위하여 고체배양 후 건조공정(60, 80, 100, $120^{\circ}C$을 달리하여 수분 함량을 10, 15, 20%로 각각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 $4^{\circ}C$에서 2개월 저장시 $80^{\circ}C$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5%로 조절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초기에는 건조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시적으로 생존율이 다소 떨어지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60배 이상 증가하였다.

  • PDF

Aspergillus niger 균(菌)의 분생포자(分生胞子)에 관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The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conidio spores of Aspergillus niger)

  • 소인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1권1호
    • /
    • pp.11-17
    • /
    • 1969
  • Conidio spores of Aspergillus niger (strain No. NRRL 330)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media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using the thin sectioning techniques. Conidio spores to be sectioned were fixed by triple methods with $K_2Cr_2O_7$, Glutaraldehyde and $OsO_4$. After dehydrated with alcohol, the specimens were embedded in metacrylate and epon resin media, and thinly sectioned by Porter-Blum MT-2. After sectioned these specimens were negative-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observed. by Hitachi HS-6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uctures of spore ,wall system seem to be formed 4 layers; exosporium, basal layer, spore coat and unit cell membrane. The protuberance of spore surface that was looked like hair appears to be protrusived from the basal layer. 2. The 3 layers of unit cell membrane was constituted outer layer membrane, inner layer membrane and inter-mediate light layer. 3. The structures of intra cytoplasmic membrane appear as spiral form which was consisted of 3 layers membrane system; outer membrane, inner membrane, and intermediate layer, which has pits. 4. The cement substance of spore coat and cortex may be changed quantitatively by physiological state in cell. 5. In some cases, we observed that the ribosome was transformed into poly ribosome group, and the storage materials and the protein crystals were changed various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 of some cytoplasmic materials may be caused by some specialized function of the physiological stage.

  • PDF

A Study for the Use of Solar Energy for Agricultural Industry - Solar Drying System Using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and Auxiliary Heater -

  • Lee, Gwi Hy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1호
    • /
    • pp.41-47
    • /
    • 2013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the solar drying system with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and to investigate its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indoor and outdoor dryings. Methods: Solar drying system was constructed with using CPC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Solar drying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with CPC reflector, storage tank, water-to-air heat exchanger, auxiliary heater, and drying chamber. Performance test of solar drying system was conducted with drying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sliced radish, potato, carrot, and oyster mushroom. Drying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solar drying syste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indoor and outdoor ones. Results: Solar drying system showed considerable effect on reducing the half drying time for all drying samples. However, outdoor drying was more effective than indoor drying on shortening the half drying time for all of drying samples. Solar drying system and outdoor drying for oyster mushroom showed the same half drying time. Conclusions: Oyster mushroom could be dried easily under outdoor drying until MR (Moisture Ratio) was reached to about 0.2. However, solar drying system showed great effect on drying for most samples compared with indoor and outdoor dryings, when MR was less than 0.5.

First Report of Fruit Rot Caused by Fusarium decemcellulare in Apples in Korea

  • Lee, Seung-Yeol;Park, Su-Jin;Lee, Jae-Jin;Back, Chang-Gi;Ten, Leonid N.;Kang, In-Kyu;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4-62
    • /
    • 2017
  • In 2014, abnormal brown spots were observed on Hongro apples in field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The spots were round, blight brown, and different from the symptoms of previously reported apple diseases. A fungal pathogen was isolated and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and it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Fusarium decemcellulare. A pathogenicity test showed the same brown spots on both wounded and unwounded Hongro and Fuji apple cultivars. RPB1 and RPB2 sequences of F. decemcellulare KNU-GC01 matched with those of F. decemcellulare NRRL 13412 (98.3% and 97.6% similarities, respectively); both strains clustered together in the phylogenetic tree, indicating their close relationship at the species level. Therefore, F. decemcellulare is a newly reported pathogen that causes brown spots on apples in Korea.

First Report of Diaporthe actinidiae, the Causal Organism of Stem-end Rot of Kiwifruit in Korea

  • Lee, Jae-Goon;Lee, Dong-Hyun;Park, Sook-Young;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10-113
    • /
    • 2001
  • Post-harvest diseases of kiwifruit caused severe damages on the fruits during storage, transportation, marketing and consumption. Phomopsis sp. was reported to be one of the major causal organisms of post-harvest fruit rots of kiwifruit. Symptoms of stem-end rot caused by Phomopsis sp. appeared at the stem-end area of the fruit as it ripened. The brown pubescent skin at the area became soft and lighter in color than the adjacent firm healthy tissues. A watery exudate and white mycelial mats were frequently visible at the stem-end area forming a water-drop stain down the sides on the dry brown healthy skin. When the skin was peeled back, the affected flesh tissue was usually watersoaked, disorganized, soft and lighter green than the healthy tissue. Phomopsis sp.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diseased fruits, and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by an artificial inoculation test on healthy fruit of kiwifruits.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lemorph state of the fungus produced on potato-dextrose agar were in accordance with those of Diaporthe actinidia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a telemorph state of D. actinidiae as the causal organism of stem-end rot of kiwifruit in Korea.

  • PDF

왕송이버섯(Tricholoma giganteum)균의 저장조건 (Studies on the Storage Condition for Tricholoma giganteum Mycelium)

  • 정종천;박정식;장갑열;전창성;이찬중;김승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84
    • /
    • 2007
  • 균주보존기관에서 분양받은 버섯 원균은 선발된 한천배지 시험관에 배양한 다음 $4{\sim}10^{\circ}C$ 정도에서 간이보존하면서 일정기간 마다 계대배양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때 일부 버섯균은 균사체 재생이 지연되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본 시험은 왕송이버섯(Tricholoma giganteum)균의 간이보존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저장온도(4, 15, $25^{\circ}C$), 용기종류(시험관, 바이알), 저장기간(배양직후, 1, 2, 3, 6, 12개월)을 달리한 후 균사절편(코르크보러, 직경 8 mm)을 한천배지상에 옮겨 $30^{\circ}C$에서 7일간 배양하고 균사직경을 비교하였다. 왕송이버섯균은 저장온도 $4^{\circ}C$에서 한천배지에 $1{\sim}12$개월간 저장시는 모두 균사생장이 안되었으나, 톱밥배지에 저장 2개월까지는 균사생장이 양호하였고, 6개월 이후에는 재생이 안 되었다. 저장온도 $15^{\circ}C$에서는 한천배지의 용기종류, 톱밥배지 공히 6개월 저장까지는 균사생장이 되었으나 12개월에는 조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에 비하여 느타리버섯(춘추2호)은 $4^{\circ}C$$15^{\circ}C$에서 6개월까지 배지종류에 상관하지 않고 균사생장이 잘 되었으며 12개월에는 조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왕송이버섯균은 저장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6개월 이내에 계대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마늘 저장병 방제를 위한 경종적, 화학적 접근 (Cultural and chemical approaches for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s of garlics)

  • 김용기;이상범;이상엽;심홍식;최인후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9-148
    • /
    • 2003
  • 마늘저장 중 피해실태를 조사하고 경종적 환경적 여러 요인이 마늘 저장 중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마늘저장 중 부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마늘저장 중 피해가 큰 병은 푸른곰팡이병, 마른썩음병 그리고 자주점무늬병(잎마름병) 이었다. 마늘 저장 중 부패는 경종적 요인으로 재배유형 (논, 밭), 연작년수, 수확시기와, 환경요인으로 저장고의 통풍정도, 저장온도 및 습도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은 조기수확할 경우 부패가 심하였고 논재배 마늘보다는 밭재배마늘이 부패가 잘되었다. 그러나 연작년수와 부패율은 무관하였다. 마늘부패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푸른곰팡이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른썩음병과 잎마름병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푸른곰팡이병균, 마른썩음병균 및 자주점무늬병균은 $10^{\circ}C$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장기간 (2개월) 배양 할 경우 푸른곰팡이병균 자주점무늬병균은 $-1^{\circ}C$에서 자랐다. 농작업 중 생긴 상처는 마늘부패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균을 접종하지 않고 상처를 낼 경우 마늘표면에 상처를 내지 않고 병원균을 접종할 경우보다 부패정도가 더 심하였다. 마늘 저장 부패를 경감하기 위하여, 감자한천배지상에서 세가지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성이 높은 7종의 농약을 선발하였다. 이들 농약을 수확전 30일에 살포하고 저장할 경우 tebuconazole과 benomyl/thiram이 부패를 현저히 경감시켰으며, 마늘을 수확한 후 농약현탁액에 침지하여 처리하였을 때 prochloraz, benomyl/thiram, tebuconazole 등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종구 소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benomyl/thiram을 농가에서 종구용 마늘을 대상으로 분무처리한 경우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염화비닐 랩 필름으로 포장된 다양한 식품 및 요리류의 노출 조건에 따른 di-(2-ethylhexyl) adipate의 이행량 분석 (Determination of Di-(2-Ethylhexyl) Adipate Migrated from Polyvinyl Chloride Wrap Film into Various Foodstuffs and Dishes Depending on Exposure Conditions)

  • 이영호;경영수;이근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69-976
    • /
    • 2002
  • PVC 랩 필름으로 포장된 다양한 국내 식품과 요리의 저장 중 또는 전자렌지에서 데우는 과정 중 이행된 DEHA를 분석하고 이행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cetone/n-hexane을 이행 실험의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지방이 많은 식품에 이행된 DEHA는 GPC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 후 분석되었다. 식품에서의 DEHA의 회수율은 $81.3{\sim}91.2%$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조사된 일반 저장 식품 중 삼겹살에서 22.9 mg/kg으로 가장 높은 DEHA의 이행량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지방 함량이 높고 저장 기간이 길수록, 또는 저장 온도가 높은 경우 DEHA의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여러 가지 배달되는 식품으로 이행된 DEHA의 양은 $6.9{\sim}29.8\;mg/kg$이었는데 이 중 지방 함량이 가장 높은 짬뽕으로 가장 높은 이행량을 보였다. 전자렌지로 가열시 랩 필름이 접촉된 경우 쌀밥과 감자에서는 DEHA가 불검출되었으나 피자에서는 158.8 mg/kg까지 매우 높은 양이 검출되었다. 랩 필름을 식품과 간격을 두고 덮었을 경우에는 접촉시켰을 때보다 낮은 이행량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많은 시료에서 DEHA의 이행량이 유럽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VC 랩에서의 DEHA의 이행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확 후 예건이 배추 '노랑' 품종의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Predrying on Storability of 'Norang' Chinese Cabbage)

  • 이인권;홍세진;용영록;박세원;구외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21-525
    • /
    • 2001
  • 배추 '노랑' 품종을 이용하여 수확 후 관행예건 및 MA 저장이 배추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배추는 2일간 관행예건한 후 0.05mm MA 포장과 무포장하여 $4^{\circ}C$에 저온 저장하였다. 배추는 MA 포장한 배추가 무포장한 배추보다 Hunter L과 b 값의 변화가 완만하며, 예건처리구의 L과 b 값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포장과 무포장 처리구 모두 변화가 적었다. 배추의 생체중 감소는 저장중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예건처리와 MA 포장이 배추의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저장 후 4주까지는 예건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많았으며, 저장 6주후에는 예건처리의 유무에 상관없이 무포장구가 MA포장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배추의 주요 가용성 당은 수확 직후 glucose 7.0mg/gFW와 fructose 6.3mg/gFW이며, sucrose가 0.6mg/gFW로 약간 함유되어 있다. 예건 직후 각각의 당은 감소하며, 저장 2주후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크게 감소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배추의 Hunter a, 경도, 건물중 함량, pH, 그리고 가용성 당의 변화는 예건조건 및 포장조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실온저장의 배추는 2주후 심한 부패현상으로, 저온저장 7주후에 무포장구는 탈수현상으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예건하지 않은 MA 저장 배추는 포장 내의 과습으로 인해 부패를 일으킨 반면 예건처리한 배추는 저온저장 7주까지도 외관상 초기 시료와 유사하였다. MA저장은 무포장에 비해 저장수명을 연장시키며, 수확 후 관행예건은 저장력을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