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ostharvest Predrying on Storability of 'Norang' Chinese Cabbage

수확 후 예건이 배추 '노랑' 품종의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1.06.04
  • Accepted : 2001.09.07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ventional predrying and modified atmosphere (MA) on the head quality and storability of Chinese cabbage 'Norang' cultivar. Immediately after harvest, heads were predried for 2 days and MA stored in $50{\mu}m$ PE film packages at $4^{\circ}C$. MA packaging restrained Hunter L and b values of Chinese cabbage more effectively than non-packaging during storage at $4^{\circ}C$. But there was little change between the two treatments. Fresh weight decreased less in heads treated with predrying and MA than non-treatment during storage. Predried Chinese cabbage heads kept a high level of soluble solids in 4 weeks of storage, while non-packaging maintained high contents of soluble solids for 6 weeks of storage period. Chinese cabbage heads contained 7.0 mg/gFW glucose, 6.3 mg/gFW fructose, and 0.6 mg/gFW sucrose as major soluble sugars at harvest. The content of sugar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redrying and increased steadily after 2 weeks storage. It was found inappropriate to assess head quality of Chinese cabbage by investigating was investigated by Hunter a, firmness, dry matters content, pH, and soluble sugars after predrying and MA package. Marketability of Chinese cabbage was lost when heads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in 2 weeks. It showed poor appearance of heads stored at $4^{\circ}C$ in 7 weeks. Decay occurred in Chinese cabbage stored in MA under excessive relative humidity. Predried head showed good appearance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7 weeks. As a result, Chinese cabbage heads can be successfully stored for at least 7 weeks with predrying and MA storage.

배추 '노랑' 품종을 이용하여 수확 후 관행예건 및 MA 저장이 배추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배추는 2일간 관행예건한 후 0.05mm MA 포장과 무포장하여 $4^{\circ}C$에 저온 저장하였다. 배추는 MA 포장한 배추가 무포장한 배추보다 Hunter L과 b 값의 변화가 완만하며, 예건처리구의 L과 b 값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포장과 무포장 처리구 모두 변화가 적었다. 배추의 생체중 감소는 저장중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예건처리와 MA 포장이 배추의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저장 후 4주까지는 예건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많았으며, 저장 6주후에는 예건처리의 유무에 상관없이 무포장구가 MA포장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배추의 주요 가용성 당은 수확 직후 glucose 7.0mg/gFW와 fructose 6.3mg/gFW이며, sucrose가 0.6mg/gFW로 약간 함유되어 있다. 예건 직후 각각의 당은 감소하며, 저장 2주후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크게 감소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배추의 Hunter a, 경도, 건물중 함량, pH, 그리고 가용성 당의 변화는 예건조건 및 포장조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실온저장의 배추는 2주후 심한 부패현상으로, 저온저장 7주후에 무포장구는 탈수현상으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예건하지 않은 MA 저장 배추는 포장 내의 과습으로 인해 부패를 일으킨 반면 예건처리한 배추는 저온저장 7주까지도 외관상 초기 시료와 유사하였다. MA저장은 무포장에 비해 저장수명을 연장시키며, 수확 후 관행예건은 저장력을 향상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