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relic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백제 지하저장시설(地下貯藏施設)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in Baekje)

  • 신종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129-156
    • /
    • 2005
  • 최근 백제유적에 대한 발굴조사에서는 토광형태 또는 목재나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지하식의 저장시설이 발견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백제시대 지하저장시설을 형태 및 축조방법별로 복주머니형(플라스크형), 목곽형, 석곽형 시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복주머니형 저장공은 백제 한성시기~사비시기의 금강 및 한강유역의 많은 유적에서 현재까지 600기 이상 조사된 백제의 가장 대표적인 지하저장시설로 3~7세기대 한강유역과 금강유역의 백제의 독특한 저장문화를 구성하는 유구로서 그 구조나 중국의 예를 통해 볼 때 곡물의 장기저장을 위한 시설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외에도 토기의 저장 등 다양한 물품이 저장되었다고 보인다. 목곽형과 석곽형의 저장시설은 사비시기의 유적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어 6세기 이후 복주머니형 저장공의 축조가 줄어들면서 그 기능을 일부 대체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그 축조방법이나 구조상 공력이 많이 소모되는 것으로 도성이나 성곽유적에서 공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곽형 저장시설은 평면 장방형인 것과 방형인 것, 축조방식에 따라 가구식(架構式)과 주혈식(柱穴式)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축조하고자 하는 지점의 지형이나 지질에 의해 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목곽형 저장시설은 관북리유적과 월평동유적의 예를 통해 볼 때 과일과 같은 식품류의 저장과 군사주둔지에서의 중요물품 저장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품목의 물건이 저장된 것으로 보인다. 지하 저장시설의 기능적 특성상 식품류의 장기저장과 일본의 예를 통해 볼 때 화재시 중요물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련하여 목곽이나 석곽의 저장시설이 채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목재 수종식별(1) (Identification of Wood Species excavated at the Temple site in Neungsanri, Buyeo(1))

  • 이화형;이종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9-4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wood species excavated at the temple site of Backjae dynasty in Neungsanri, Buyeo. At the temple site, there were great excavations such as Backjae Incense Burner(National Treasure No.287) and Stone Reliquary(National Treasure No.288). The King Chang 13 Year carved on Stone Reliquary indicated that this temple was completed in A.D 567. Identification of wood species were as follows: The Temple building was constructed by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The species of the main pillar of Wooden Pagoda which preserved relics of the Buddha was Zelkova serrate Makino.

  • PDF

석조유구(石造遺構)에 표현(表現)된 고대건축(古代建築) 연구 - 부도(浮屠)의 건축요소(建築要素) 분석(分析)을 중심으로 - (Ancient Korean Architecture Presented in Stone Remai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Stone Stupa -)

  • 박재평;이재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5-60
    • /
    • 2002
  • This research is the second attempt to illustrate the phases of ancient Korean architectur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ruins, relics, stone remains and art products. Among these the stone stupa (budo), contains many architectural aspects of old times, which give clues to tr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ient Korean structures. The study brings about following results: 1. The pillar employs an entasis technique, and the bracket system (gongpo) consists of cross beams (changbang) and small supporting blocks (soro) thereupon. A type of the bracket arm (chomcha) is also found on top of the pillar. 2. Windows and doors are assumed from the carved features on the stone stupa to be pair-doors which could be folded twice sideways and upwards. 3. There are two types of eaves; the single eaves and the double eaves consisting of a rafter and a flying rafter. 4. The roof has furrows formed by the concave tiles and the convex ones and also the tiles at the edge of eaves. And there are evidences that a variety of small images of animal and human figures were decorated along on top of the eaves.

  • PDF

조선시대 울산군 부평역촌의 구성과 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Placement of Bupyeong-office town in Ulsan county During Chosun Dynasty)

  • 황대일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1호
    • /
    • pp.21-31
    • /
    • 2014
  • The paper analyzed the excavational data from Bupyeong-office in Ulsan county in Chosun Dynast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estimated at station community, and studied the duration of the community by using the excavated relics. In addition, the paper compared the excavational data with documentary records, studied the location Bupyeong-office, and investigated the size of station community overall. Community compositions such as buildings, residential place, pits, stoves, hemp kilns, cremation tombs, and farming appliances were identified. When compared to excavated relics such as tiles, white porcelain jars, agrayish-blue-powdered celadons, and celadon porcelains from building, residance, and pits, the community existed during 14C~17C. The station location was on the west side to the quarters for Byongmajuldosa of the Left Gyeongsangdo at King's location according to the old maps and documentary records. It is widely expected that No, 201 foundation stone buildings at Pyungsan relic I was related to the station because there was a distinctions on the stone pillar waterway and high quality of location in the size(the front 9 sections ${\times}$ the side 1 section) and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building's functions and duplication relations in the community, it is regarded that there were 33~40 ground buildings, 40~45 pitting buildings, storages or 15~30 other purpose buildings, and 5~7 public buildings around No, 210 building in Bupyeong-office town.

황룡사 답도 연구 (A study on the Main-path Remains in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63-70
    • /
    • 2016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 main-path remains in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researching relics related to the path in the ancient temple site. Hwngnyongsa temple, there were three type's paved footway, straight path to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layout, outside path around the main buildings and the front square of the lecture hall. These remains were expected that installed for some purposes, such as marches, touring, sort of a Buddhist ceremony been performed at the time of Silla. Straight path shows there were two rows of the main access inside the roofed corridor. A row consisted of the 2~3 pieces processed stone(Jangdaeseok) altogether with 92cm width and combined with square stone and stepping stone on the end of the road. It is regarded as very characteristic form and one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Hwangnyongsa temple in Unified Silla period.

경주 남산 삼릉계 석불좌상 보존 및 복원 연구 (The Study on Restoration & Repair of the Seated Stone Statue of Buddha in the Samreoung Valley of Mt. Namsan)

  • 정민호;지성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242-281
    • /
    • 2010
  • 경주 남산지구는 불국토(佛國土)를 꿈꾸던 신라인들의 정신과 호국불교의 염원이 깃들어 있는 수많은 불교문화재가 전해진다. 크고 작은 여러 계곡과 능선 정상부 곳곳에는, 예술성 높은 석불과 석탑을 비롯하여 다양한 마애불(磨崖佛)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주 남산은 야외박물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2000년 12월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으로 등재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경주 남산지구에는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풍화되거나 무너져 훼손된 석조문화재가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삼릉계 석불좌상이다. 삼릉계 석불좌상은 8~9세기경에 만들어진 장대한 작품으로서, 일제강점기인 1923년과 근년에 정확한 고증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엉성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 결과, 불상의 안면은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적당히 보수 처리된 상태였으며 광배는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불상 뒤편으로 넘어져 크게 파손되었다. 원래 모습을 잃은 삼릉계석불좌상에 대한 보수와 안정적인 보존환경 조성이 시급하였다. 석불좌상이 위치한 주변 일대에 대하여 유적지 정비 작업에 선행한 학술적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불상과 석탑지의 원 위치를 확인하였다. 3D 스캔을 통하여 정확한 현 상태를 파악하여 불교미술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상호로 재현하고자 보수 정비안을 제시하였다. 풍화훼손도를 작성하여 표면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증류수를 이용한 표면세정을 실시하여 2차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해체 및 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별조식으로 조성된 불두의 안면 결실부와 광배의 결실부에 대하여 원형 복원과 전통기법을 활용한 원상 복구을 수행하였다.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최보배;허일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9-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문화콘텐츠로서 백제 무령왕릉의 유물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 하승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376-393
    • /
    • 2013
  • In modern society,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to form a country's image and identity and a representative content to generate revenue. Culture is a keyword to design life in the 21st century and has become competitiveness between countries. As a cultural content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performed textile design development with the use of relic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which is the tumulus of King Muryeong who was the 25th king of Baekje among Korean history. The developed design could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fashion cultural products such as clothes, scarf, neck-tie, and bag. The process for the design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s follows: As a first step, this study found basis as a cultural content with a global sense that could form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gain global sympathy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s a second step,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that traditional Korean elements were used as a fashion cultural products. As a third step,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relic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through field survey. As a final step, this study planned the concept of design with the use of diadem ornaments, earring, sword, stone guardian animal, and bricks with lotus-flower design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se developed 6 textile designs could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fashion cultural products.

익산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Ipjeom-ri Tomb 1, Iksan)

  • 이영범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1-12
    • /
    • 2018
  •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제유물 편들은 1986년 2월 마을 뒷산에서 한 고등학생에 의해 발견매장문화재로 신고되었고,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긴급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금동대륜, 금동입식,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신고자에 의해 수습되어 있었다. 또한 발굴조사 당시 석실 내부가 심하게 훼손되어 많은 수의 금동제유물 편들은 정확한 출토위치를 알 수 없어, 지금까지도 금동관의 조합 관계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요 유물인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보존처리 후 편 접합을 통해 외형적 모습이 복원되었으며, 금속공예기법으로 새긴 봉황문, 물고기 비늘문, 연화문 등의 문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여러 편들로 파손되어 있는 금동제유물 편들에 대한 특징적 요소와 제작기법을 소개하여 복원의 기초적 학술자료로 제공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입점리 금동관의 원형이 복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백제(百濟) 기단(基壇) 축조술(築造術)의 대신라(對新羅)의 전파(傳播) (A Study on How Baekje delivered Stylobate-Constructing Techniques to Silla Counterpart)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57-69
    • /
    • 2005
  • A stylobate, part of the foundation for hardening soil below the floor, has been built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tone, tile and brick, in several kinds of combined constructions of soil, stone, and brick. In particular, Baekje used a tile-piled stylobate that could not be found in Goguryeo and Silla counterparts, thus showing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culture. Archeological excavations up to now evidence the stylobate played a role in building the magnificent structures or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s. It can be enough inferred that such features are reflected on dual footing stylobate, framed stylobate and tile-piled stylobate. Baekje had delivered its techniques for constructing stylobate to Silla from about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y can be traced down back from the dual stylobate that has been identified in Hwangryong-sa temple lastly built in the old site of Silla, those constructed with broken stones at Najeong, tile-piled stylobate of the mode of vertical-horizontal rows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Inwang-dong, Gyeongju,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d a framed stylobate at Hall enshrining Buddha (Golden Hall) site of Gameun-sa temple site. Recently, relics of structures, including temple sites, are intermittently being unearthed in the old sites of Baekje and Silla. However, studies linking archeology with architecture can be rarely found up to now.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the relics should be correctly construed in archeological as well as architectural aspects.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can graft architectural insight into archeological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