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Restoration & Repair of the Seated Stone Statue of Buddha in the Samreoung Valley of Mt. Namsan

경주 남산 삼릉계 석불좌상 보존 및 복원 연구

  • Jeong, Min Ho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i, Sung J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Buddhist cultural relics in Mt. Namsan. The cultural relics carry the spirit of people of Shila who dream of Buddhist Elysium and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nation. In the valley and the top of the mountain and on various rock cliff, stone statues of Buddha and stone pagodas stand in harmony with nature. For that reason, Mt. Namsan is called an open-air museum.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UNESCO World Heritage' status for Gyeongdju in December 2000. But sadly, there are many stone relics that have eroded away and damaged from collapsing in the passage of time. The seated stone statue of Buddha in Samreoung valley of Mt. Namsan is one of them. It was created between the 8th and 9th century, and restored without much care nor extensive historical research in 1923. As a result, The face of the Buddha remained with concrete mortar and its nimbus fallen backward and destroyed. Therefore, restoration and repair as well as creation of a statue environment for the statue were urgent. So we immediately started in restoration and repair. First, through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round the stone Buddha, we carried the stone Buddha on the original position. In order to restore the statues to its original glory created by the Unified Shila Dynasty, we created a restoration plan in corporation with art historians and historians, then restored the jaw and the damage nimbus. Second, we made the weathering & damage map of the stone Buddha. In order to prevent second damage, we cleaned the surface of contaminants with distilled water. Third, we studied restoration method to prevent artificial damage. We recreated parts of his face and halo. Then each parts of the statue we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In the whole process of restoration, we tried to use traditional techniques.

경주 남산지구는 불국토(佛國土)를 꿈꾸던 신라인들의 정신과 호국불교의 염원이 깃들어 있는 수많은 불교문화재가 전해진다. 크고 작은 여러 계곡과 능선 정상부 곳곳에는, 예술성 높은 석불과 석탑을 비롯하여 다양한 마애불(磨崖佛)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주 남산은 야외박물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2000년 12월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으로 등재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경주 남산지구에는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풍화되거나 무너져 훼손된 석조문화재가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삼릉계 석불좌상이다. 삼릉계 석불좌상은 8~9세기경에 만들어진 장대한 작품으로서, 일제강점기인 1923년과 근년에 정확한 고증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엉성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 결과, 불상의 안면은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적당히 보수 처리된 상태였으며 광배는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불상 뒤편으로 넘어져 크게 파손되었다. 원래 모습을 잃은 삼릉계석불좌상에 대한 보수와 안정적인 보존환경 조성이 시급하였다. 석불좌상이 위치한 주변 일대에 대하여 유적지 정비 작업에 선행한 학술적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불상과 석탑지의 원 위치를 확인하였다. 3D 스캔을 통하여 정확한 현 상태를 파악하여 불교미술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상호로 재현하고자 보수 정비안을 제시하였다. 풍화훼손도를 작성하여 표면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증류수를 이용한 표면세정을 실시하여 2차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해체 및 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별조식으로 조성된 불두의 안면 결실부와 광배의 결실부에 대하여 원형 복원과 전통기법을 활용한 원상 복구을 수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