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Ipjeom-ri Tomb 1, Iksan

익산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연구

  • Lee, Youngbeom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영범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18.10.01
  • Accepted : 2018.11.22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In February 1986, a high-school student reported the discovery of fragments of gilt-bronze burial goods on a mountainside behind a village in Ipjeom-ri, Ungpo-myeon in Iks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mmediately undertook an excavation. Unfortunately, gilt-bronze relics including a band and vertical decorations for a crown, a hat, and shoes had already been collected from Ipjeom-ri Tomb 1 by the student who found them before they could be properly excavated. Also, the interior of the stone chamber of the tomb had been severely disturbed by the time of excavation,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precise original locations of the relics within the tomb and hindering the reassembly of the fragments of the gilt-bronze crown.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the gilt-bronze hat, shoes, and other relics we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forms and researchers were able to identify incised designs of a three-legged bonghwang(鳳凰), fish scales, lotus flowers, and other motifs. This study presents the major features of the fragments of gilt-bronze relics from Ipjeom-ri Tomb 1 and the methods of their produc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ir restoration and allow the eventual restoration of the giltbronze crown to its original condition.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제유물 편들은 1986년 2월 마을 뒷산에서 한 고등학생에 의해 발견매장문화재로 신고되었고,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긴급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금동대륜, 금동입식,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신고자에 의해 수습되어 있었다. 또한 발굴조사 당시 석실 내부가 심하게 훼손되어 많은 수의 금동제유물 편들은 정확한 출토위치를 알 수 없어, 지금까지도 금동관의 조합 관계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요 유물인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보존처리 후 편 접합을 통해 외형적 모습이 복원되었으며, 금속공예기법으로 새긴 봉황문, 물고기 비늘문, 연화문 등의 문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여러 편들로 파손되어 있는 금동제유물 편들에 대한 특징적 요소와 제작기법을 소개하여 복원의 기초적 학술자료로 제공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입점리 금동관의 원형이 복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한상, 백제의 금속제 관冠 문화,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서울, p109, (2010).
  2. 문화재연구소, 익산 입점리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서울, (1989).
  3. 洪鍾郁.林善基.車載善.文尙勳, 益山 笠店里 出土遺物 保存處理, 保存科學硏究 第8輯,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p79, (1987).
  4. 문화재연구소, 익산 입점리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p42(揷圖 9. 金銅製冠飾 出土狀態), 서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