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railing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경복궁 광화문 월대(月臺)의 난간석 복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Stone Railings at Gwanghwamun Woldae in Gyeongbokgung Palace)

  • 전나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12-131
    • /
    • 2021
  • 경복궁 광화문은 고종 연간인 1866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함께 설립되었다. 광화문 남쪽으로 너른 단인 월대를 설치하여 위계를 드러냈다. 광화문 월대는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하였고, 중앙에 어로를 두었으며, 남쪽으로는 계단과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월대 어로와 이어진 남쪽 경사면에는 좌우에 용두석을 설치하여 왕의 길이라는 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였다. 광화문 월대 중앙에 있던 어로는 1915년 조선진흥공진회가 경복궁에서 개최됨에 따라 넓혀졌고, 1925년경 월대가 훼철되었다. 이후 광화문 이전에 따라 그 형상을 찾을 수 없었다. 경복궁 광화문처럼 월대를 설치하는 모습은 다른 궁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월대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한 모습은 광화문이 유일하다. 현재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과 경사로에 위치한 석수가 남아 있지 않지만, 사진을 토대로 비교한 결과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은 19세기 조선 왕실에서 제작한 석물의 양상을 보이며, 용두석 역시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한 상징물에서 유사한 모습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동구릉에는 능에 배치되지 않는 여러 석물이 남아 있는데, 홍예석, 문소전 구기비뿐 아니라 난간석의 부재인 난간석주, 동자석, 죽석이 전해진다. 조선왕릉봉분 주변에 설치하는 난간석은 민무늬로 된 석물이 없는 반면, 궁궐 주변에 설치된 금천교에서는 문양이 없는 난간석을 설치하는 경우가 다수 남아 있다. 동구릉에 있는 난간석과 용두석은 광화문 월대의 석물로 보이는데, 시대적 양식 분석과 근대 사진과의 비교를 통하여 광화문에 설치했던 석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광화문 월대의 석물은 1915년 공진회 때까지는 본래의 위치에 남아 있었지만 1920년대 조선총독부 청사가 들어서고 전차가 부설됨에 따라 훼철되었다. 조선총독부 청사 위치에 자리한 영제교도 이 시기에 훼철되었으며, 1930년대까지 경복궁 지역에 남아 있다가 동구릉 지역으로 함께 옮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광화문 월대 복원을 추진하는 시점에서 복원의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만(卍)자 문양의 의장적 변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esthetical Change of the 卍 Shape)

  • 장헌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28-235
    • /
    • 2011
  • The 卍 shape which is used as an aesthetical feature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can be seen in the stair railings of the house shaped ceramic potteries in the Eastern Han dynasty(A.D. 25-220)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coration of the sarira(small crystals of the cremated monks) case. After the shape was seen in the Yungang and Dunhwang grottoes mural paintings, the use of it has been expanded. In Korea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Gyeongju Anapji which was the Eastern palace of the Shilla dynasty, a 卍 shaped wood which had been used as a handrail was found and this shape was also used in the railings of the Shilsangsa Baekjangarn temple stone pagoda and lantern and in the sarira case excavated in the Songrimsa temple stone pagoda. In Japan, the Nara period(A.D. 710-794) when there were many cultural exchanges with the Korean peninsula, the handrails of the 2ndfloor of the main hall of Hoyu-ji temple has a 卍 shape. This can be confirmed that this shape has been widely used as a design in Asian Buddhist architecture. Gilsangoonhae(吉祥雲海) which is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shape means for long life and luck which had been used generally for the window designs of temples, palaces, and houses. In this study, it is giving the definition the beginning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卍 shape which is being used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nowadays and the change of this shape used for window designs.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의 풍화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eungansaji Temple Site, Hamyang, Korea)

  • 이명성;최희수;김지영;이찬희;김선덕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99-112
    • /
    • 2011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중립 내지 세립질의 흑운모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거정질편마암, 백운모편마암, 반려암질암이 혼용되었다. 이 석탑은 주변의 수목 및 잔디에 의해 전면에 걸쳐 지의류와 선태류 등이 서식하고 있어 석탑 표면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 석탑에 대한 종합적인 풍화훼손도 진단과, 이를 근거로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보존처리에서는 석탑의 전면에 걸쳐 자생하는 지의류 및 오염물 등에 대해 부드러운 솔과 나무칼을 사용하여 건식세정을 실시하였고 이때 고착지의류 등 잘 제거되지 않는 부분은 증류수를 이용한 습식세정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난간을 석탑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당한 높이로 재설치하였으며, 석탑 주변의 지반은 마사토로 정비하고 배수흐름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자연구배를 두고 자연측구를 설치하였다.

  • PDF

탑의 원조 인도 스투파의 형태 해석 - 인도 전역의 현장 답사를 바탕으로 - (The Interpreggtation of the Indian Stupa as Origin of Korean Pagoda)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103-126
    • /
    • 2009
  •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istorical trends and change of form of all stupas in India with observation of field study that is as direct as possible, by classify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stupas. Study of Indian stupa in Korea has a number of shortcomings since only introductory partial approach has been made in order to seek the origin of Korean pagoda. This study also aims to correct errors of stupa terminology in Chinese character committed by misinterpretation of Hindi language which was established by precedent Japanese scholars several decades ago. Piled-up stupas were totally destroyed by pagans, therefore their remains tell us only of structure, material, sizeand disposition. However remains of carved stone at torana and drum give us clues as to the original form of stupa and worshipping activity, as well as change to a more luxurious form. Many rock cave stupas of India show us both simple forms matching the ascetic age of early Buddhism and luxurious changes in Mahayanan era introducing us to statues of Buddha. Indians recovered the spheric form of 'anda,' a Hindi term meaning cosmic egg, from the hemispheric form of the piled-up stupa. Therefore we might discard the erratic term of 'bokbal', which means an upset vessel. Railings and parasols became main factors of stupa design. Carved railings around stupa became a sign of divinity. Serious worshipping activity made drums long or high and created multi-embossed stripes. Bases of circular drums of some cave stupas changed their shapes to rectangular or octagonal. Single parasols became multiparasols of affluent flowerlike curved stems on carved stupa. Multistoried, elongated and high parasols of Gandhara stupas are closely related to such factors as diverse changes of form in Indian subcontinent. Four-sided torana gate and ayaka column of the circular form of original stupas suggest the rectangular form of subsequent East Asian pagoda, and higher and wider base of Indian stupas became the origin of East Asian rectangular pagoda.

  • PDF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Users' Evaluation for the Trail Structures in the Dobong District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조우;조근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1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탐방로상 도입된 보행시설물에 대한 탐방객 평가를 통해 국립공원 탐방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구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 250명을 대상으로 응답자직접기입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봉 주능선 도봉지구에 설치된 6개의 보행 시설에 양적 질적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데크 시설, 목재난간 시설, 돌깔기 시설이 기타 시설에 비해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이용편의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국 국립공원에서의 보행시설물의 도입에 있어 친자연적인 소재의 도입은 필수적이며 자원보호와 탐방편의의 기능과 함께 경관조화라는 시각적 효과의 고려가 필요하다.

암석학적 연구를 통한 서울 광화문 월대 복원용 석재 제안 (Suggestions of Stone Materials for Restoration of Gwanghwamun Woldae in Seoul Based on Lithological Study)

  • 이명성;안유빈;박세린;최명주;김지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647-659
    • /
    • 2023
  • 이 연구는 광화문 월대 복원에 사용될 석재를 수급하기 위해 광화문 난간석주와 구리 동구릉 소재 난간부재들의 암석학적 유사성을 비교하고 석재의 산지를 해석하였으며, 서울-포천 일대 암석 중 복원에 가장 적합한 신석재의 채석지를 제안한 것이다. 동구릉에 소재한 난간석주는 중립 내지 조립질의 담홍색 흑운모화강암으로써 이들의 암석기재적 특징, 전암대자율(평균 5.20 ×10-3 SI unit), 감마스펙트로미터(K 5.00~6.38%, U 4.92~8.56 ppm, Th 27.60~36.44 ppm) 분석결과는 광화문 월대에 남아 있는 난간석주(대자율 평균 5.38)와 유사성을 보였다. 따라서 동구릉 난간부재들을 광화문 월대 복원에 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서울 수락산과 불암산에 분포하는 담홍색 흑운모화강암과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여 이 지역을 석재 산지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수락산과 불암산 일대는 현재 채석 활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울화강암으로 명명된 양주와 포천지역 화강암을 대상으로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복원용 석재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포천 지역에서 월대 석재와 유사한 담홍색 흑운모화강암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지역 석재 중 입자 크기와 색상이 광화문 난간석주와 유사한 석재를 선별하여 월대 복원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