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4.112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Stone Railings at Gwanghwamun Woldae in Gyeongbokgung Palace  

JEON, Nana (National Memorial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4, 2021 , pp. 112-1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Gwanghwamun Gat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established in 1866 when Heungseon Daewongun rebuilt the Gyeongbokgung Palace. In Gwanghwamun, a large platform, woldae was established to reveal its hierarchy. The Gwanghwamun Woldae was equipped with stone rail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ishing routes in the center, and stairs and slopes to the south. The Yongdu Stone was installed on the south side of the slope, which connected to the woldae, to express the path of the king in a formative manner. The Woldae King Road in Gwanghwamun was expanded in 1915 as the Joseon Promotion Conference was held at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woldae was destroyed around 1925. Since then, the figure has not been found since the time before the Gwanghwamun Gate. In the Donggureung royal tombs, there are many stones that are not placed in the royal tombs, including voussoir arch stones, Munsojeon Gugi-bi, as well as Nangan-Seokju, Dongja-seok, and Juk-seok, which are elements of the stone railings. These stone railings and Yongdu-seok are seen as stone objects of the Gwanghwamun Woldae,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yle of the times and comparison with modern photographs.
Keywords
Gwanghwamun Gate; Gyeongbokgung Palace; Woldae; Restoration; Donggureung Royal Tomb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朝鮮古蹟圖譜」 10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경복궁 발굴 조사 보고서 (1권) - 광화문지.월대 지역」.
3 문화체육부 국립중앙박물관, 1997, 「구 조선총독부 건물 실측 및 철거 보고서」.
4 윤정, 2005, 「18세기 景福宮 遺址의 행사와 의례 : 영조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25, 서울학연구소, pp.191~223.
5 서울역사편찬원, 2019, 「국역 경복궁영건일기」 1~2
6 「警務廳來去文」 (奎17804)
7 <<京城日報>>
8 「國朝喪禮補編」
9 <<大韓每日申報>>
10 <<東亞日報>>
11 「景福宮營建日記」
12 국립중앙박물관 유리 건판 사진
13 이왕무, 2008, 「19세기 말 고종대 경복궁 중건 자료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학보」 72, 고려사학회, p.121.
14 김민규, 2018, 「「경복궁영건일기」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 「고궁문화」 11, 국립고궁박물관, pp.9~40.
15 이강근, 1991, 「景福宮 重建」, 「건축」 35-2, 대한건축학회, p.33.
16 이순우, 2014,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 사진의 가치」,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 사진」, 서울역사박물관, pp.171~172.
17 「新增東國輿地勝覽」
18 「國朝五禮儀」
19 「朝鮮王朝實錄」
20 최병택, 2020,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나타난 식민 권력의 이미지 구축 시도 - 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63,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p.131.
21 홍순민, 2007,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서울학연구」 29, 서울학연구소, pp.73~80.
22 Huntington Library, Art Museum, and Botanical Gardens
23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Library
24 Harvard University, Fine Arts Library
25 국사편찬위원회
26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7 전나나, 2021, 「조선왕릉 병풍석과 난간석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18~223.
28 조재모, 2019, 「「景福宮營建日記」의 건축 기록과 경복궁 중건 공역」, 「서울과 역사」 103, 서울역사편찬원, pp.159~203.
29 「仁穆王后山陵儀軌」 上, 1637년 (奎13517)
30 「慶運宮重建都監儀軌」, 1906년 (奎14328)
31 「華城城役儀軌」, 1801년 (奎14590)
32 문화재청, 2011, 「경복궁 광화문 권역 중건 보고서」.
33 홍순민, 2017, 「홍순민의 한양 읽기 : 궁궐」 상, 눌와.
34 김대호, 2007, 「일제 강점 이후 경복궁의 毁撤과 '活用' (1910~현재)」, 「서울학연구」 2, 서울학연구소, pp.85~92.
35 배우성, 「경복궁 중건과 대원군의 정치 -「경복궁영건일기」를 중심으로-」, 「서울과 역사」 103, 서울역사편찬원, pp.7~49.
36 안선호 외, 2011, 「궁궐 내 원묘(原廟) 건축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7-1, 대한건축학회, p.135.
37 「正宗大王胎室石欄干造排儀軌」, 1801년 (奎 13967)
38 「承政院日記」
39 「翼宗綏陵遷奉山陵都監儀軌」 下, 1846 (외규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