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 vision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5초

GPU-Based Optimization of Self-Organizing Map Feature Matching for Real-Time Stereo Vision

  • Sharma, Kajal;Saifullah, Saifullah;Moon, Inkyu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2호
    • /
    • pp.128-13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based matching technique for the purpose of fast feature matching between different images. The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algorithm developed by Lowe for various feature matching applications, such as stereo vision and object recognition,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To address this problem, we propose a matching technique optimized for GPUs to perform computations in less time. We optimize GPUs for fast computation of keypoints to make our system quick and efficient. The proposed method uses a self-organizing map feature matching technique to perform efficient matching between the different images.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various image set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under varying conditions, such as image rotation, scaling, and blur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feature matching methods, resulting in fast feature matching due to the optimization of the GPU.

3D Vision-based Security Monitoring for Railroad Stations

  • Park, Young-Tae;Lee, Dae-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4호
    • /
    • pp.451-457
    • /
    • 2010
  • Increasing demands on the safety of public train service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security monitoring systems. Most of the surveillance systems are focused on the estimation of crowd level in the platform, thereby yielding too many false alar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security monitoring system to detect critically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when a passenger falls from the station platform, or when a passenger walks on the rail tracks. The method is composed of two stages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s. Objects falling over to the dangerous zone are detected by motion tracking. 3D depth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stereo vision is used to confirm fallen ev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irtually no error of either false positive or false negative is found while providing highly reliable detection performance. Since stereo matching is performed on a local image only when potentially dangerous situations are found; real-time operation is feasible without using dedicated hardware.

Stereo Vision을 이용한 Wheeled Mobile Robot의 선행물체 추종제어 (Following Control of Wheeled Mobile Robot Using Stereo Vision Sensor)

  • 윤재상;최경진;문종우;박종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73-177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algorithm for WMR (Wheeled Mobile Robot) to follow the preceding object using stereo vision. The center point of object existing in each image is calculate. From the distance and variation of two center points, we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WMR to preceding object and the relative velocity of WMR. And we use the Lyapunov theory to design controller.

  • PDF

눈동자 운동이 가능한 컬러 스테레오 머리-눈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lor Stereo Head-Eye System with Vergence)

  • 황보명;유범재;오상록;이종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2370-2372
    • /
    • 1998
  • Recently we have developed an active stereo head-eye system with vergence, name it KIST HECter(Head-Eye System with Colored Stero Vi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human's neck and eye motion at visual behavior. Our HECter is a five degree-of-freedom system composed of pan and tilt motion in neck part and independent vergence motion of binocular cameras and commonly shared elevation axis in eye part. And stereo vision Provides two color image, which are processed by powerful each TMS32080 vision board. The shape and size are designed to be almost same as human face. The ability to vergence has significant importance and gives many beneficial merits. On its mechanical implementation we adapt a non-parallelogram 4-bar linkage mechanism since it provides high accuracy in transfering motion and enables compact and flexible design.

  • PDF

CAFFE 모델을 이용한 수량 측정 및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거리 및 너비측정 (Quantity Measurement by CAFFE Model and Distance and Width Measurement by Stereo Vision)

  • 손원섭;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79-684
    • /
    • 2019
  • CAFFE 모델을 이용하여 클래스의 특정 종의 수량 측정하는 방법과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하여 물체의 길이와 너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물체의 너비를 구하는 방법은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의 대상의 좌표 값을 비교하여 센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 후 거리와 영상 속의 대상의 길이를 구해 물체의 실제 길이의 근사 값을 계산한다.

스테레오 비젼에서 대응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solving correspondence problem in stereo vision)

  • 임혁진;권대갑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8
    • /
    • 199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ereo vision system to solve correspondence problem with large disparity and sudden change in environment which result from small distance between camera and working objects. First of all, a specific feature is divided by predfined elementary feature. And then these are combined to obtain coded data for solving correspondence problem. We use Neural Network to extract elementary features from specific feature and to have adaptability to noise and some change of the shape. Fourier transformation and Log-polar mapping are used for obtaining appropriate Neural Network input data which has a shift, scale, and rotation invariability. Finally, we use associative memory to obtain coded data of the specific feature from the combination of elementary features. In spite of specific feature with some variation in shapes, we could obtain satisfactory 3-dimensional data from corresponded codes.

  • PDF

다중 베이스라인 기반 질감 적응적 신뢰도 전파 스테레오 정합 기법 (Multibaseline based Stereo Matching Using Texture adaptive Belief Propagation Technique)

  • 김진형;고윤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75-85
    • /
    • 2013
  • 스테레오 비전을 사용하여 거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 영상 쌍에서 대응점을 찾는 스테레오 매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스테레오 비전은 주로 두 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양안시차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들은 베이스라인의 길이에 따른 정확도와 정밀도 사이의 이율배반적 관계를 해소하지 못하였다. 또한 근래에 사용되는 신뢰도 전파 기법의 경우 고정된 가중치 ${\lambda}$에 의하여 스테레오 정합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율배반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중 베이스라인 스테레오 비전에 기반을 둔 개선된 신뢰도 전파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국부-명백성 함수로 EMAD(Extended mean of absolute difference)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은 가중치 ${\lambda}$를 지역적 질감 정보에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기법보다 더 높은 정합 성능을 보여주며 적은 반복을 통해 최적해에 도달하였다. 정합 성능이 PSNR수치상 약 4.85dB만큼 증가하였다.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이용한 실내 모바일 로봇 충돌 회피 (Collision Avoidance for Indoor Mobile Robotics using Stereo Vision Sensor)

  • 권기현;남시병;이세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00-24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테레오비전 센서의 거리 정보와 컬러이미지를 합성하여 일정 거리 안에 있는 장애물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스테레오 비전 센서로 부터 취득한 깊이이미지(depth image)를 이용하여 거리 정보를 구하고 컬러 이미지와의 합성을 통해 모바일로봇 이동에 방해되는 장애물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장애물 정보는 모바일 로봇에 송신되어 무인이동장치로써 지역을 탐색하게 하여 깊이이미지 응용에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이용하는 무인이동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장애물간의 거리에 대한 성능 평가를 하고 컬러이미지, 깊이이미지 그리고 합성이미지 유형에 따른 성능과 취득된 이미지 프레임의 수에 따른 성능도 살펴보았다. 처리 결과 깊이이미지에 비해 합성된 이미지가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헬멧의 자세 및 위치 추정 (Attitude and Position Estimation of a Helmet Using Stereo Vision)

  • 신옥식;허세종;박찬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693-70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헬멧의 자세 및 위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시스템은 두 대의 CCD카메라와 헬멧 그리고 적외선 LED, 영상편집 보드로 구성된다. 이 중 15개의 적외선 LED는 헬멧에 서로 다른 길이로 삼각형 패턴으로 고정되어, 헬멧의 자세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특징점이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특징점 추출, 투영 재구성, 모델 인덱싱 과정으로 구성되며, 단위 쿼터니언(UQ, Unit Quaternion)을 이용하여 자세 및 위치를 추정한다. UQ를 이용하여 회전행렬를 구하면, 회전 행렬이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이 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