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cell transplantation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as Potential Hemostatic Agents on Laboratory Coagulation Tests

  • Sina Ahmadianfar;Nahid Mehrabi;Saeed Mohammadi;Ali Sobhanizadeh;Alireza Moradabadi;Ali Noroozi-Aghide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42-4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on blood coagulation in vitro. Extraction was performed by the maceration method. Extracts were mixed with platelet and plasma, then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latelet aggregation tests were conducted. Alfalfa extract had a dose-dependent effect on the PT. Ortie, and horsetail, reduced the PT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falfa, horsetail, and ortie reduced the APTT, but their effect wa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ol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compared to the single extra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rsetail and alfalfa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response to arachidonic acid but not in response to collagen. In the case of ortie, no aggregation occurred regarding the arachidonic acid, and incomplete was observed in response to collagen. Interestingly, blood clotting occurred immediately after adding the chêne, aleppo oak and the pooled extract, and therefore platelet poor plasma (PPP) and platelet rich plasma (PRP) became jelly. Generally, chêne and aleppo oak, as well as pooled extract, were more effective in inducing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agulation pathways via shortening the PT and APTT, and induction of platelet aggregation.

원발 중추신경계림프종의 단일 기관 현실 세계 21세기 경험 (Single-Center Real-World Experience with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in the 21st Century)

  • 조형우;홍정용;이대호;김신;이경민;강은희;이순종;박정선;김정훈;류진숙;허주령;서철원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9권1호
    • /
    • pp.37-49
    • /
    • 2024
  • 목적: 대한민국에서 원발 중추신경계림프종(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술(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이 젊은 환자들의 생존 성적을 호전시켜 왔다. 이에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AMC)의 PCNSL 환자 현실 세계 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환자 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 기록 중인 AMC 림프종 등록을 이용하였다. 2002년부터 2019년 8월까지 279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AMC의 PCNSL 발생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근 4년 동안은 매해 전체 비호지킨림프종 신규 환자의 7.4-8.9%를 차지하였다. 중앙 연령은 60세(범위, 17-85)였고, 남자가 55%였다. 65세 미만(n = 183)은 후두엽 침범이 보다 적고, 베타-2 저분자글로불린 수치가 낮다는 것 외에는 65세 이상과 비교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리툭시맵, 메토트렉세이트, 프로카르바진, 빈크리스틴(rituximab, methotrexate, procarbazine, and vincristine, R-MPV) 복합 유도 요법의 전체 반응률이 95%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3.8년, 5년 생존율은 41.5%, 10년 생존율은 30.2%였다. 비교 시 젊은 연령군과 ASCT 시행군의 생존이 더 우수하였다. 싸이오테파, 부설판, 사이클로포스퍼마이드(thiotepa + busulfan + cyclophosphamide, TBC) 고용량 요법이 여타 조합보다 성적이 우수하였다. 기존의 PCNSL 예후 점수 체계가 본 연구에서도 유효하였다. 연령과 수행도가 독립 예후 인자였다. 중추신경계 외에서만 실패하는 경우는 전체 107명의 실패 중 6명(5.6%)이었다. 결론: PCNSL의 발생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R-MPV 유도 요법 후 TBC 고용량 요법을 동반한 ASCT 시행이 젊고 적응증에 해당하는 PCNSL 환자의 생존 성적을 향상시켜 왔다.

담관결찰 쥐 모델에서 태반유래중간엽줄기세포 이식에 의한 miRNA 표적 인테그린 변화의 간재생 효과 (Alteration of MicroRNAs Targeted Integrins by PD-MSCs Transplantation Is Involved in Hepatic Regeneration in a Rat Model with BDL)

  • 박소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10-718
    • /
    • 2021
  •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PD-MSCs)는 재생의학에서 세포기반치료제로 잘 알려진 세포군이다. PD-MSCs의 손상된 부위로의 이동과 호밍 기능은 MSC 생착의 중요한 특성이다. miRNA는 최근 MSC의 증식, 생존 이동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관결찰(BDL) 쥐 모델에서 PD-MSCs 호밍에 관련된 miRNA 및 표적 유전자를 동정하는 것으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이용하여 PD-MSCs 호밍에 관여하는 유전자 표적 miRNA를 선별하였다. BDL 쥐모델에 PD-MSCs을 이식한 일주일 후 간 조직에서 PD-MSCs 생착여 부는 면역형광분석법과 qRT-PCR에 의한 인간 Alu유전자 발현으로 확인되었다. 저산소 및 정상조건(Hyp/Nor)에서 이동한 PD-MSC에 비하여, PD-MSCs 이식한 BDL군 간 조직에서 miRNAs 발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PD-MSCs 호밍 관련 miRNA와 표적유전자를 검증하였다. miR199a-5p 및 miR-148a-3p에 대한 표적 유전자 인테그린 α4 (ITGA4)와 α5 (ITGA5)의 발현은 이식(Tx)그룹에서(p<0.05)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또한 인테그린 β1 (ITGB1)과 β8 (ITGB8)의 발현은 miR-183-5p 및 miR-145-5p억제에 의하여 크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BDL에 의해 손상된 쥐간에서 PD-MSCs가 호밍효과을 위해 인테그린 그룹과 관련된 miRNA 발현 조절에 관여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miRNA에 의한 인테그린 그룹 조절기능이 BDL에 의해 유도된 간섬유증 쥐모델에서 PD-MSCs의 치료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uman Embryonic Stem Cells Co-Transfected with Tyrosine Hydroxylase and GTP Cyclohydrolase I Relieve Symptomatic Motor Behavior in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 Kil, Kwang-Soo;Lee, Chang-Hyun;Shin, Hyun-Ah;Cho, Hwang-Yoon;Yoon, Ji-Yeon;Lee, Gun-Soup;Lee, Young-Jae;Kim, Eun-Young;Park, Se-Pill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03
  • Main strategy for a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due to a progressive degeneration of dopaminergic neurons, is a pharmaceutical supplement of dopamine derivatives or ceil replacement therapy. Both of these protocols have pros and cons; former exhibiting a dramatic relief but causing a severe side effects on long-term prescription and latter also having a proven effectiveness but having availability and ethical problems Embryonic stem (ES) cells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is purpose.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using ES cells as a carrier of therapeutic gene(s), human ES (hES, MB03) cells were transfected with cDNAs coding for tyrosine hydroxylase (TH) in pcDNA3.1 (+) and the transfectants were selected using neomycin (250 $\mu /ml$). Expression of TH being confirmed, two of the positive clone (MBTH2 & 8) were second transfected with GTP cyclohydrolase 1 (GTPCH 1) in pcDNA3.1 (+)-hyg followed by selection with hygromycin-B (150 $\mu /ml$) and RT-PCR confirmation. By immune-cytochemistry, these genetically modified but undifferentiated dual drug-resistant cells were found to express few of the neuronal markers, such as NF200, $\beta$-tubulin, and MAP2 as well as astroglial marker GFAP. This results suggest that over-production of BH4 by ectopically expressed GTPCH I may b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those markers. Transplantation of the cells into striatum of 6-OHDA- denervated PD animal model relieved symptomatic rotational behaviors of the animals.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showed the presence of human cells within the striatum of the recipients.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ility of using hES cells as a carrier of therapeutic gene(s).

  • PDF

In Vitro Differentiation-induced hES Cells Relieve Symptomatic Motor Behavior of PD Animal Model

  • 이창현;김은경;이영재;주완석;조현정;길광수;이금실;신현아;안소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95-95
    • /
    • 2002
  • Human embryonic stem (hES) cells can be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tyrosine hydroxylase expressing (TH+) cells that may serve as an alternative for cell replacement therapy for Parkinson's disease (PD). To examine in vitro differentiation of hES (MB03, registered in NIH) cells into TH+ cells, hES cells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4-/4+ protocol using retinoic acid (RA), ascorbic acid (AA), and/or lithium chloride (LiCl) followed by culture in N2 medium for 14 days, during which time the differentiation occurs. Immunocytochemical stainings of the cell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21.1% of cells treated with RA plus AA expressed TH protein that is higher than the ratio of TH+ cells seen in any other treatment groups (RA, RA+LiCl or RA+AA+LiCl). In order to see the differentiation pattern in vivo and the ability of in vitro differentiation-induced cells in easing symptomatic motor function of PD animal model, cells (2 $\times$ 10$^{5}$ cells/2${mu}ell$) undergone 4-/4+ protocol using RA plus AA without any further treatment were transplanted into unilateral striatum of MPTP-lesioned PD animal model (C57BL/6). Following the surgery, motor behavior of the animals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retention time on an accelerating rotar-rod far next 10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tention time of the animals were noticed until 2 weeks post-graft; however, it increased markedly at 6 weeks and 10 weeks time point after the surgery. Immunohistochemical studies confirmed that a reasonable number of TH+ cells were found at the graft site as well as other remote sites, showing the migrating nature of embryonic stem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viかo differentiated hES cells relieve symptomatic motor behavior of PD animal model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PD.

  • PDF

Long-term follow-up of Fanconi anemia: clinical manifestation and treatment outcome

  • Yoon, Byung Gyu;Kim, Hee Na;Han, Ui Joung;Jang, Hae In;Han, Dong Kyun;Baek, Hee Jo;Hwang, Tai Ju;Kook, H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3호
    • /
    • pp.125-134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Korean patients with Fanconi anemia (FA), which is a rare but very challenging genetic diseas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2 FA patients diagnos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1 to 2012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6.2 years. All patients showed evidence of marrow failure and one or more physical stigmata. Chromosome breakage tests were positive in 9 out of 11 available patien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9.5 months. The Kaplan-Meier (KM) survival of all patients was 83.3% at 10 years and 34.7% at 20 years, respectively. Seven patients underwent 9 stem cell transplantations (SCTs). Among them, 5 were alive by the end of the study. Ten-year KM survival after SCT was 71.4% with a median follow-up of 3.4 years. All 5 patients treated with supportive treatment alone died of infection or progression at the median age of 13.5 years, except for one with short followup duration. Acute leukemia developed in 2 patients at 15.4 and 18.1 years of age. Among 6 patients who are still alive, 3 had short stature and 1 developed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We provide information on the long-term outcomes of FA patients in Korea. A nation-wide FA registry that includes information of the genotypes of Korean patients is required to further characterize ethnic differences and provide the best standard of care for FA patients.

Cedrol 및 펩타이드 3 종 Complex 의 In Vitro 효능 및 적용 제형의 입술 주름 개선 및 Volumization 효과에 대한 연구 (In Vitro Efficacies of Complex of Cedrol and Three Peptides, and Wrinkle Improvements and Lips Volumization effects of Applied Formulations)

  • 강성수;전승현;이진용;안명진;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5-373
    • /
    • 2023
  • 입술은 인간의 매력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면부 부위로써, 이에 대한 미적 관심은 인류 역사에서 항상 존재해왔다. 그러나 입술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고, 얇아지고, 그 볼륨이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이를 대처하기 위해 필러나 지방 이식 등 시술이 시행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립세린® 에 적용된 주 효능 컴플랙스인 cedrol과 펩타이드 3 종(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9, desamidocollagen)의 조합이 광노화 방어 및 입술 주름을 개선할 수 있음을 in vitro상에서 검증하였다.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발현량을 향상, 광노화 조건에서 MMP 발현을 경감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방 줄기 세포 분화 실험에서 지방 줄기 세포 분화 촉진 및 지방 생성량을 증대시킴으로, 입술 내 지방 조직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in vitro상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 주간 사용된 인체 적용 시험에서도, 입술의 주름, 결, 탄력, 볼륨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edrol 및 펩타이드 3 종 조합이 입술의 다양한 노화 징후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립케어 소재로써 활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태아 간세포의 거핵구 집락형성 (Megakaryocyte Colony Formation of Fetal Liver Cells)

  • 권병오;주혜영;김천수;전동석;김종인;김흥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2호
    • /
    • pp.247-255
    • /
    • 2002
  • 목 적 : 태아 간세포는 면역학적으로 미숙하여 이식에 따른 거부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조혈모세포 이식, 특히 자궁내 이식의 좋은 공여세포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태아 간 단핵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학적 염색과 체외배양 결과를 분석하여 태아 간의 거핵구 집락형성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임신중절시 수집한 태아 간조직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MegaCult^{TM}-C$ 배지에서 12일간 배양 후 성장인자 첨가에 따른 거핵구 집락형성을 관찰하였고, 5일간의 Flask 배양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CD34, CD41 양성세포를 측정하였으며, methylcellulose 배지를 이용하여 $37^{\circ}C$ 5% $CO_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제 7일과 14일에 성장인자 첨가에 따른 CFU-GM 집락 수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태아 간의 단핵세포 수는 재태주령 11주에 비해서 19주에서 더 많았으며 세포생존율은 $91.2{\pm}3.4%$였다. $MegaCult^{TM}-C$ kit를 이용하여 12일간 배양시 재태주령 11주의 태아 간이 19주에 비해서 거핵구 집락 수가 많았고, 4례 모두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없었으며 배양 후 형성된 거핵구 집락 수는 태아 간,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의 골수,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 순이었다. 거핵구 집락 중 순수집락 수는 태아 간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순수집락 중 large CFU-Mk의 비율은 태아 간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 비해서 높았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태아 간 단핵세포를 5일간 flask 배양한 후 CD34 양성세포의 발현율은 증가하였으나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TPO 투여군에서만 있었고, CD41 양성세포의 발현율 역시 배양 후 증가하였으나 성장인자 첨가군에 비해서 대조군의 발현율이 너무 높은 결과를 보였다. Methylcellulose 배지를 이용한 단핵세포 배양에서 CFU-GM 집락 수는 태아 간의 경우 배양 7일에 비하여 14일에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태아 간에서는 모든 군에서 보였으나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는 GM-CSF 투여군에서만 있었으며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는 없었다. 결 론: $MegaCult^{TM}-C$ 배지를 이용하여 태아 간세포를 배양하고 면역조직학적 염색으로 거핵구 집락형성을 성공적으로 관찰하였으며, 태아 간에서 얻은 거핵구 집락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 얻은 집락에 비하여 집락수나 순수집락의 분포, 집락의 크기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태아 간 조혈모세포 이식의 실제적인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된 지지세포의 분석 (Analysis of Stromal Cells Developed from Cord Blood CD34+ Cells)

  • 유경하;박세진;김경효;서주영;;신희영;안효섭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87-94
    • /
    • 2001
  • 목적 : 제대혈의 조혈모세포 체외확장 시 조혈세포 증폭과 더불어 조혈미세환경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때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되는 지지세포의 계열 분석조혈성장인자 분비능력을 알아보고 지지세포 증식 조건을 확립하여 효과적인 제대혈의 체외증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대혈부터 $CD34^+$ 세포를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무혈청배지에서 각종 조혈성장인자를 다양한 조합으로 첨가하여 배양하였고 증식정도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배양용기를 점유한 면적 비율로 계산하였다. 세포외간질 단백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ollagen S, fibronectin, laminin 및 poly-L-ly sine를 미리 coating한 용기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제대혈 $CD34^+$ 세포를 조혈성장인자의 첨가 없이 3주간 액체배양하였다. 배양 시, 1주, 2주 및 3주에 상층액을 얻어 $-80^{\circ}C$에 보관하였다가 한꺼번에 IL-3, IL-6, GM-CSF, IL-$1{\beta}$ 및 TNF-$\alpha$등을 ELISA 방법으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량을 측정하였다. 분화된 지지세포의 계열을 분석하기 위해 E-selectin, VCAM-1, ICAM-1, PECAM-1, vWF, vimentin 및 CD 14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염색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제대혈 $CD34^+$ 세포 체외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배양 4일에 지지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7-10일이 지나면서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14-2 1일 경에 서로 뭉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대혈 $CD34^+$ 세포 배양하면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GM-CSF, IL-6의 측정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제대혈 $CD34^+$ 세포 체외확장 시 지지세포의 증식 정도는 TPO+FL+SCF+LIF의 조합의 조혈성장인자가 첨가되었을 때 그리고 세포외간질 단백 성분 중 1% poly-L-lysine으로 처리한 경우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론 : 체외 증폭시 제대혈 $CD34^+$ 세포로부터 지지세포가 나타났으며 적절한 조혈성장인자의 첨가나 세포외간질 단백의 첨가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 PDF

골종양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의 합병증 및 해결방법 (How to Overcome Complications of Allograft Transplantation?)

  • 조율;최영;권영호;정소학;김재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5-72
    • /
    • 2011
  • 목적: 골종양을 절제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 후 발생한 합병증을 평가하고 그 합병증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종양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15예에 대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자료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남자가 8예, 여자가 7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27.1세(1-56세), 평균 추시 기간은 89.5개월(33-146개월)였다. 21예(80.0%)에서 평균 8.35개월(4-12개월)에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점수 평균은 73.5%(46.6-93.0%)였다. 동종골 이식과 관련된 술 후 합병증을 모두 기록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9예(60.6%)에서 한 가지의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3예(20.0%)에서 두 가지 이상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는 감염 3예, 골절 2예, 불유합 2예, 하지 부동 2예, 내반 변형이 2예였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평균 기간은 60.8개월(6-144개월)이었다. 동종골의 평균 생존기간은 80.2개월이었고 5년 생존률은 83.0%였다. 결론: 동종골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시 자가비골을 추가하는 것이 추천된다. 더나아가 조직 공학 기술과 줄기 세포 및 혈소판 풍부 혈장의 적용이 동종골의 재흡수나 불유합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