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al process control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4초

자동결함 검출시스템에서 결함크기 측정오차로 인한 오검률의 통계적 예측 (Statistical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s in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

  • 주영복;허경무;박길홈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06-908
    • /
    • 2009
  • AVI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s automatically detect defect features and measure their sizes via camera vis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an AVI to meet customer's specification in advance. Also the prediction can indicate the level of current performance of an AVI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tistical method for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 regarding inconsistency of defect size measurement process. For this purpose, only simple experiments are needed to measure the defect sizes for certain number of times. The statistical features from the experiment are utilized in the prediction proces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swift and easy to implement and use. The experiment shows a close prediction compared to manual inspection results.

선택적 누적합(S-CUSUM) 관리도 (A Selectively Cumulative Sum(S-CUSUM) Control Chart)

  • 임태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6-134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selectively cumulative sum(S-CUSUM) control chart for detecting shifts in the process mean. The basic idea of the S-CUSUM chart is to accumulate previous samples sel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he S-CUSUM chart employs a threshold limit to determine whether to accumulate previous samples or not. Consecutive samples with control statistics out of the threshold limit are to be accumulated to calculate a standardized control statistic. If the control statistic falls within the threshold limit, only the next sample is to be used. During the whole sampling process, the S-CUSUM chart produces an 'out-of-control' signal either when any control statistic falls outside the control limit or when L -consecutive control statistics fall outside the threshold limit. The number L is a decision variable and is called a 'control length'. A Markov chain approach is employed to describe the S-CUSUM sampling process. Formulae for the steady state probabilities and the Average Run Length(ARL) during an in-control state are derived in closed forms. Some properties useful for designing statistical parameters are also derived and a statistical design procedure for the S-CUSUM chart is proposed. Comparative studies show that the proposed S-CUSUM chart is uniformly superior to the CUSUM chart or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EWMA) chart with respect to the ARL performance.

비정규 공정을 위한 공정관리도의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Results and Trends Analysis on Process Control Charts for Non-normal Process)

  • 김종걸;김창수;엄상준;김형만;최성원;정동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 /
    • pp.547-556
    • /
    • 2013
  • Control chart is most widely used in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 Recently it is a critical issue that the standard control chart is not suitable to non-normal process with very small percent defective. Especially, this problem causes serious errors in the reliability procurement, such as semiconductor, high-precision machining and chemical process etc. Procuring process control technique for non-normal process with very small percent defective and perturbation is becoming urgent. Control chart technique in non-normal distribution become very important issu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on research trend of control charts under non-normal distribution.

  • PDF

비정규 공정에서의 누적합 관리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SUM Control Charts under Non-normal Process)

  • 김종걸;엄상준;최성원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549
    • /
    • 2011
  • Control chart is most widely used in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 Recently it is a critical issue that the standard control chart is not suitable to non-normal process with very small percent defective. Especially, this problem causes serious errors in the reliability procurement, such as semiconductor, high-precision machining and chemical process etc. Procuring process control technique for non-normal process with very small percent defective and perturbation is becoming urgent. Control chart technique in non-normal distribution become very important issu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on research trend of control charts under non-normal distribution with very small percent defective and perturbation, and propose some variable-transformation methods applicable to CUSUM control charts in non-normal process.

  • PDF

대수형 학습효과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신뢰모형에 관한 통계적 공정관리 비교 연구 (The Assessing Comparative Study for Statistical Process Control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 Based on Logarithmic Learning Effects)

  • 김경수;김희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319-326
    • /
    • 2013
  • 소프트웨어의 디버깅 오류의 발생 시간에 의존하는 많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이 연구되었다. 소프트웨어 오류 탐색 기법은 사전에 알지 못하지만 자동적으로 발견되는 에러를 고려한 영향요인과 사전 경험에 의하여 세밀하게 에러를 발견하기 위하여 테스팅 관리자가 설정해놓은 요인인 학습효과의 특성에 대한 문제를 비교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효과 비동질적인 유한고장모형 분석을 위한 모수 추정은 우도함수를 이용하였다. 소프트웨어 시장에 인도하기 위한 결정에 대하여 조건부 고장률은 중요한 변수가 되고 이러한 고장 모델은 실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계적 공정 관리 (SPC)는 소프트웨어 오류의 예측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차트는 널리 소프트웨어 산업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로그 위험 학습 효과 속성의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의 평균값 기능을 사용한 컨트롤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통계적 공정관리(SPC)를 이용한 무한고장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에 대한 접근방법 연구 (Assessing Infinite Failure Software Reliability Model Using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 김희철;신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85-92
    • /
    • 2012
  • 소프트웨어의 디버깅에 오류 발생의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이 제안되어 왔다. 무한고장 모형과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에 의존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을 이용하면 모수 추정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를 시장에 인도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조건부 고장률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유한 고장 모형은 실제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특성화 문제, 특이점의 감지, 선형 추정, 시스템의 안정성 연구, 수명을 테스트, 생존 분석, 데이터 압축 및 기타 여러 분야에서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통계적 공정 관리 (SPC)는 소프트웨어 고장의 예측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신뢰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컨트롤 차트는 널리 소프트웨어 산업의 소프트웨어 공정 관리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 NHPP에 근원을 둔 로그 포아송 실행시간 모형, 로그선형 모형 그리고 파레토 모형의 평균값 함수를 이용한 통계적 공정관리 차트를 이용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다항 위험함수에 근거한 NHPP 소프트웨어 신뢰모형에 관한 통계적 공정관리 접근방법 비교연구 (The Assessing Comparative Study for Statistical Process Control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 Based on polynomial hazard function)

  • 김희철;신현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345-353
    • /
    • 2015
  • 소프트웨어 디버깅과정에서 오류의 발생 시간에 기초한 많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이 이미 연구되었다. 유한고장모형과 비동질적인 포아송과정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에게 인도하는 경우 인도시기를 결정할 때 조건부 고장률은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러한 유한 고장 모형은 실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성화 문제, 이상치의 검출, 선형 추정, 시스템 신뢰성 연구, 수명 시험, 생존 분석, 데이터 압축 및 많은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 이들의 사용은 많은 연구에서 볼 수 있다. 통계 공정 관리(SPC)는 소프트웨어 오류의 예측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관리도는 널리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소프트웨어 품질관리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NHPP와 다항 위험 함수의 평균값을 기초한 관리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TMMi 레벨 5 품질 관리 프로세스 구축 방안 (TMMi Level 5 Quality Control Process Implementation Strategy)

  • 최승희;김학수;이구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41권8호
    • /
    • pp.533-544
    • /
    • 2014
  • 임베디드 분야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탑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제품의 품질 관리가 갈수록 중요해짐에 따라, 많은 기업이 품질 비용에 많은 지출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경우 품질 저하 예방 비용보다는 품질 미달로 인한 문제 해결에 많은 비용을 쓰고 있어, 품질 저하 예방 비용의 효과적 집행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정량적 품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정량적 품질 관리 활동은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에서 통계적 기법의 활용을 요구하는 레벨 4, 5에 속하는 고수준의 프로세스 활동으로 통계적 품질 관리 활동의 이행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TMMi 레벨 5 프로세스 영역 중 품질관리(Quality Control) 프로세스 구축 방안을 소개하여 고수준의 통계적 품질 관리 프로세스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 Modified Definition on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Cpk Based on Median

  • Park, Hyo-I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4호
    • /
    • pp.527-535
    • /
    • 2011
  • This study proposes a modified definition about $C_{pk}$ based on median as the centering parameter in order to more easily control the process since the mean does not represent any quantile of the asymmetric process distribution. Then we consider an estimate and derive the asymptotic normality for the estimate of the modified $C_{pk}$. In addition, we provide an example with asymmetric distributions and discuss the estimation for the limiting variance that are followed by some concluding remarks.

일관제조공정에서의 최적 조업조건의 도출 (Determination of an optimal operation condition in continuous manufacturing process)

  • 김윤호;최해운
    • 경영과학
    • /
    • 제10권2호
    • /
    • pp.111-120
    • /
    • 1993
  •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 product to survive in the market are cost and quality. In recent years, quality proceeds to cost. There are many techniques of use to improve the quality of a product. One of the techniques is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especially Taguchi method) to real operational conditions for a continuous manufacturing process in P company. There are 91 factors to control in the process. So, we predetermined 7 main effect factors and 6 interactive effect factors by statistical methods and advices of engineers. With these 13 factors, we determined the optimal level of operations for the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