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support program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246초

창업 멘토링 기능이 교육만족과 추천의도 그리고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 배지은;한인수;이필수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2호
    • /
    • pp.25-36
    • /
    • 2017
  • Purpose - Recent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evitalized with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n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that is provided for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start-up succes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and as a result increases entrepreneurship.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emale entrepreneurs has also increased as the number of entrepreneurial issues has increa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ntoring quality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role modeling), educa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to create a theoretical basis for entrepreneurial mentoring educ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model, mentoring quality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such as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and role modeling. In order to test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ith SPSS 24.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 mode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career development has a strong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As women's social advancement becomes more active, start-up support programs including entrepreneurship mentoring are in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ow to use the mentoring program mix and how to allocate the resources for the education program whe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manager plans and executes the mentoring education program. For example,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enha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 turn increas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means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consist of contents that include career development functions such as sponsorship, guidance, protection, and provision of challenging work.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entors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participants to have confidence and professional thinking ability at the time of start up based on their experiences.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Enabling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In The Center of Manager's Self-Efficacy)

  • 강혜정;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28
    • /
    • 2022
  • 2011년 이후,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며 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규모 또한 증가하며 이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지원 매니저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나 창업지원 매니저의 요구역량과 보유역량 간의 간극이 커지며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이것이 창업지원단의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정의와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매니저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정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에 초점 두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배가하여 창업지원단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과 이를 통해 향후 창업지원 매니저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창업지원 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 운영에 있어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 매니저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셋째, 창업지원 매니저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인들을 나열하고, 창업보육 매니저들과의 비교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의 현실에 따른 창업지원 매니저의 고용 형태, 근무 환경 및 상황 등 창업지원단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 등을 자기효능감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차별적 필요역량은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은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과 업무성과, 창업지원단 몰입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기초적인 업무 지식부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한 단계적, 맞춤식, 집중 교육 훈련, 창업자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역량 강화 교육 등 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 훈련이 이뤄진다면 창업지원 매니저들의 자기효능감은 높아질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커질수록 창업지원 매니저는 본인의 역량을 크게 펼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론적 기여로는 기존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과는 달리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 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이라는 새로운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을 도출하였다.

창업가역량이 창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적합도의 조절효과 검증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Moderator Effect of Person-Job Fit)

  • 이성호;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85-99
    • /
    • 2021
  • 지속적인 취업난으로 인해 일자리 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창업이 그 대안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에서는 창업친화적 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창업자는 죽음의 계곡을 견디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을 지속적으로 영위하기에 필수적인 창업만족도와 사회적 인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고 있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이하 GOMS)' 설문 참여자 비임금근로자 중 창업자 57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창업가역량과 창업만족도,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직무적합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역량은 창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역량과 창업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적합도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만족도는 창업가역량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유형(단독/동업)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업한 집단이 창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연구대상인 대학졸업자들의 창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의 창업가역량을 진단하고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창업가역량은 창업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내재적 요인이며, 창업자는 물론이고 창업지원기관의 지원프로그램 창업자 선발시 중요한 평가요소로서 작용되어야 한다. 셋째, 공동창업에 있어 발생될 문제(직책, 임금, 경영권, 수익금배분, 결재방식 등)에 대하여 객관적인 자료로 문서화함으로서 상호간 신뢰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넷째, MZ세대의 도전 정신과 창의력으로 무장한 세대가 실패를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창업 교육이 여대생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on female college students' startup intention)

  • 이성주;채병완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47-66
    • /
    • 2020
  • 그동안 창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주로 일반적 관점에서 조명 되어져 왔다는 점에서 여성에게까지 적용하기에는 일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대생의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창업교육 경험과 창업교육효과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여대생의 창업교육 경험보다는 창업실무지식 능력인 창업교육효과가 보다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대학에서 진행하는 창업교육에서 이론적 측면 보다는 창업실무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참여적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이 여대생의 창업의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개인의 심리행동 특성인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를 높이고 실제 창업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진다고 한다. 따라서 대학의 창업교육 진행시에 수강학생들의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여 수강생들이 자신의 창업역량을 스스로 이해하고 적극적인 창업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정부와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에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하게 된다면 여성의 창업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이다.

기업가적 대학과 스마트전문화에 기반한 대학의 창업환경 조성연구 - 테크니온공대, 히브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alvanizing of Start-ups atmosphere based on Smart specialization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 Technion institute of Technology, Hebrew University -)

  • 한정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205-215
    • /
    • 2013
  •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지구상의 대부분 국가들의 중요한 이슈이다. 창업분위기 조성에서 있어 대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스라엘 대학들은 기술이전과 사업화 및 창업에서 우리나라 대학들과 비교해 볼 때 성공률이 월등히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한 이스라엘 대학의 특성을 찾아, 우리나라 대학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스라엘 대학들은 자체 전문가를 보유 기술이전부서의 팀을 갖추고 있으며, 유망기술의 경우 미리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자금을 지원하여 창업환경을 조성한다. 기술이전 사업화 및 창업 단계마다 체계적으로 차별화된 집중지원 방법이 지원된다. 또한, 대학은 특정 기술 분야에 집중, 기술사업화 및 창업 성공 이후에야 사용료 수입을 얻는다. 일정부분의 위험을 대학과 창업파트너와 공유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창업 성공이 높은 것은 대학의 단계별 차별적 지원과 대학과 기업이 위험을 공유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Technology Transfer Policies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University TTOs

  • HAN, JAEP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4호
    • /
    • pp.23-45
    • /
    • 2018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various policy devices to boost technology transfer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Act in 2000. Along with the enactment of the law, the Korean government mandated the establishment of a technology transfer office at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d encouraged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echnology transfer offices (TTOs), operational inefficiency was brought up. As a supplementary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 line of projects to support the labor and business expenses of leading TTOs. This research questions whether the project greatly affecte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TOs. We analyze publicly available university panel data from 2007 to 2015 using a one-step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was marginally effective at shifting the technical efficiency distribution to the right on average, but it failed to maximize its impact by diversifying the policy means based on targets. The marginal effects of the program on technical efficiency differ according to the research capability and size of each school. We also compare technical efficiency against the licensing income at the start and end of the program.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d for the leading TTOs, and both measures show improvements for unsupported TTOs. Our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diversifying the program for univers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may have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CHILL 언어의 병행처리를 위한 Run-time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un-time Support System for Concurrent Processing of the CHILL)

  • 하수철;조철회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941-1954
    • /
    • 1999
  • 본 논문은 ITU-T 통신 처리 시스템용 프로그래밍 언어 CHILL에서 제공되는 병행처리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CHILL 실행시간 지원 시스템(CRS : CHILL Run-time support System)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CHILL은 다른 병행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다양한 병행처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CRS의 설계는 병행처리 기능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설계한다. CHILL의 병행처리 프리미티브는 프로시듀어 호출 형식으로 사용하도록 라이브러리 방식을 사용하며, CHILL 프로세스의 실행을 병행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CHILL 프로그램 구동 루팀 및 문맥 교환부와 CHILL 프로세스 제어부를 구현한다.

  • PDF

수출역량강화사업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연구: 경기지역 창업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xport Support Policy to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Small-Medium Start-up Enterprises in Gyeonggi Area)

  • 이인성;박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141-15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의 수출지원사업 중 수출역량강화사업(이하 '사업')이 중소기업, 특히, 업력 7년 미만의 창업 중소기업(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2조 제2호에 의함)의 수출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12개 지방 중소기업청에 사업을 신청한 기업중 2014년, 2015년에 경기지방 중소기업청을 통하여 사업에 참여한 1,690개 기업의 수출성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업의 수출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주요 변수를 선정하였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수출 입 관련 통계상 매년도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산업별 고용인원이 1위인 경기지역의 사업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사업은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은 업력 7년 미만의 창업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은 일반 중소기업보다 업력 7년 미만의 창업 중소기업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는 수출입 규모가 경기지역 다음으로 큰 울산지역과 서울지역에서 동일한 기간에 사업에 참여하였던 기업들의 수출성과를 추가하여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는지에 대한 후행 연구를 하고자 한다.

  • PDF

여성창업 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대상 델파이 분석 (Delphi Analysis for Experts to Develop an Assessment Index for Women's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 김흥희;김윤환;김문숙;주영미;김대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37-344
    • /
    • 2024
  • 본 논문은 "여성창업가 및 기업을 선별을 위한 측정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창업 지원사업의 창업기업 선정평가 시 여성 창업기업만의 선별을 위한 측정지표가 부재하여, 평가방법의 한계를 조명한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여성 창업가 및 기업을 선별하기 위한 효과적인 측정지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다수의 여성창업기업 성공요인들을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하였고, 델파이 방법론을 활용하여 전문가 패널과의 협력을 통해보다 성공가능성이 높은 여성창업기업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로, 여성 창업가들의 특성이 반영된 성공요인으로부터 새로운 평가지표가 제시된다. 이 지표는 여성창업기업 선별을 위한 기존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창업기업에 대한 사회적 지원 강화 및 정책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업지원 제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기대효과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인턴제 수혜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Justice Perception of Start-Up Support System on Expectancy Effect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Venture For Korea)

  • 김대진;박종석;박다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107-117
    • /
    • 2017
  • 창업은 신기술 및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산업의 양적/질적 확대가 가능한 국가경쟁력 향상의 수단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창업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 성과로 이어져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도 한다. 또한 창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잠재된 창의적 인재를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업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본 역량 강화 및 기존 기업과의 교류 확립을 목적으로 창업인턴제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인턴제의 인턴 참여자를 대상으로 공정성 이론을 활용하여 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참여자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mart PLS 2.0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정성 변수 중 분배적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은 기대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효과는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적 공정성의 경우에는 기대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인턴제가 실시된 지 2년 밖에 지나지 않았으며, 제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기업, 예비창업자, 정부기관) 간의 절차에 대한 합의가 다소 부족한 상황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공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창업인턴제의 미비한 부분을 도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즉, 창업인턴제의 정책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목적과 취지만의 강조가 아니라 절차적 측면을 보완한 정책 방향 수립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