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bility constants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5초

저온균일침전법으로 제조된 루틸상 TiO2분말의 분산 안정성 (Dispersion Stability of Rutile TiO2Powder Obtained by Homogeneous Precipitation Process at Low Temperature)

  • 배현숙;박순동;김흥희;이창규;김선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8-44
    • /
    • 2002
  • 여러 종류의 전해질이 존재할 때, 수계 및 비수계 분산매체에서 저온균일침전법으로 제조된 침상형태의 일차입자를 갖는 나노 크기의 루틸상 TiO$_2$분말에 대한 분산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제타전위 측정은 수계 및 비수계 분산매체에 전해질 첨가가 TiO$_2$입자 표면의 전위 역전을 유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수계 분산매체에 분산되어 있는 TiO$_2$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반발력은 수계 분산매체에서보다 크게 관찰되었고, 이것은 점도, 유전 상수와 같은 유기 용매의 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H,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의 원자가는 TiO$_2$입자의 표면전위를 크게 변화시켰고, TiO$_2$입자의 분산 거동을 사실상 주도하였다.

Analysis of the Stability of HLA-A2 Molecules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 Lim, Jong-Seok;Lee, Ki-Young;Lee, Hee-Gu;Kim, Ik-Hwan;Lee, Chong-Kil;Han, Seong-Sun;Kim, Kil-Hyoun
    • BMB Reports
    • /
    • 제29권4호
    • /
    • pp.286-293
    • /
    • 1996
  • Association of antigenic peptide with class I MHC is believed to be crucial for maintaining stable conformation of class I molecules. T2 cells that are defective in TAP gene function mainly express class I molecules with an unstable conformation due to little or no association with antigenic peptides, whereas T1 cells that are normal in TAP gene function mainly express the stable form of class I molecules. In this work, attempts were made to determine the molecular stability of stable and unstable class I molecules. Dissociation of HLA-A2 molecules on T1 and T2 cells was monitored by flow cytometry using anti-HLA-A2 antibody afte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brefeldin A to shut down the transport of newly-assembled HLA-A2. Estimated dissociation rate constants for the stable and unstable forms of HLA-A2 were 0.076 $h^{-1}$ and 0.66 $h^{-1}$, respectively. It appeared that both T1 and T2 cells express stable and unstable class I complex, but with different ratios of the two forms. Furthermore, $interferon-{\gamma}$ treatment of T1 cells appeared to induce the expression of both the stable and unstable class I molecul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lass I MHC molecul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and that they exist on the cell surface in both forms in a certain ratio.

  • PDF

Role of the Salt Bridge Between Arg176 and Glu126 in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Bacillus amyloliquefaciens ${\alpha}$-Amylase (BAA)

  • Zonouzi, Roseata;Khajeh, Khosro;Monajjemi, Majid;Ghaemi, Nase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7-14
    • /
    • 2013
  • In the Bacillus amyloliquefaciens ${\alpha}$-amylase (BAA), the loop (residues 176-185; region I) that is the part of the calcium-binding site (CaI, II) has two more amino acid residues than the ${\alpha}$-amyl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BLA). Arg176 in this region makes an ionic interaction with Glu126 from region II (residues 118-130), but this interaction is lost in BLA owing to substitution of R176Q and E126V. The goal of the present work wa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effect of ionic interaction on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enzyme. To clarify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significance of the corresponding salt bridge, Glu126 was deleted (${\Delta}$E126) and converted to Val (E126V), Asp (E126D), and Lys (E126K) by site-directed mutagenesis. Kinetic constants, thermodynamic parameters, and structural changes were examined for the wild-type and mutated forms using UV-visible, atomic absoption, and fluorescence emission spectroscopy. Wild-type exhibited higher $k_{cat}$ and $K_m$ but lower catalytic efficiency than the mutant enzymes. A decreased thermostability and an increased flexibility were also found in all of the mutant enzymes when compared with the wild-type. Additionally, the calcium content of the wild-type was more than ${\Delta}E126$. Thus, it may be suggested that ionic interaction could decrease the mobility of the discussed region, prevent the diffusion of cations, and improve the thermostability of the whole enzym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contribution of loop destabilization may be compensated by the formation of a salt bridge that has been used as an evolutionary mechanism or structural adaptation by the mesophilic enzyme.

한국 연안에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해수물성과 대기압 변화에 따른 계절 비천문조와 월평균 해수면 변화 (Non-astronomical Tides and Monthly Mean Sea Level Variations due to Differing Hydrographic Conditions and Atmospheric Pressure along the Korean Coast from 1999 to 2017)

  • 변도성;최병주;김효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1호
    • /
    • pp.11-36
    • /
    • 2021
  • 비천문조인 연주조(Sa)와 반년주조(Ssa)는 해수특성 변화와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는 비대칭 월평균 해수면의 연변화와 관련이 깊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운영하는 21개 조위관측소에서 관측한 1시간 간격의 19년(1999~2017년) 간 해수면 높이 자료에 대하여 두 종류의 조석 조화분해 프로그램(Task2K와 UTide)을 사용하여 Sa와 Ssa의 조화상수를 산출하였다. 조화분해에 사용되는 자료의 시작 시기와 길이에 따른 Sa의 안정도를 조사하였으며, Sa와 Ssa의 조화상수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천 조위관측소의 20년(1999~2018년) 해수면 관측자료를 1일씩 이동하면서 1년(369일) 조화분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프로그램 모두 자료의 시작 시기에 따라 Sa 조화상수가 불규칙하게 크게 변동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ask2K가 Sa 분조 계산식에 근일점 천문변수를 고려하지 않아서, 두 프로그램 간에 약 78°의 지각 차가 났으며, 이들 진폭 차이는 1 cm 이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Sa 조화상수가 해마다 크게 다르므로, 조위 예측 정확도와 관련하여 안정적인 조화상수 산출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관측자료 길이(1년, 2년, 3년, 5년, 9년, 19년)에 따른 인천 조위관측소의 Sa 조화상수 값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대표성 있는 Sa 조화상수를 구하기 위해서 조화분해를 수행할 때 5~9년 동안의 관측자료를 사용하면 조화상수 예측오차가 상당히 줄어들며, 19년 자료를 사용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Sa 분조의 진폭은 각 해역별로 다른 해양·대기 환경 특성에 의해 서해안에서 15.0~18.6 cm,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에서 10.7~17.5 cm이었으며, 울릉도를 포함한 동해안에서 10.5~13.0 cm이었다. 울릉도 등 동해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연안에서 Ssa 분조의 영향으로 인해 연중 최고(최저) 해수면 높이가 발생하는 시기가 늦어(빨라)져서 해수면의 계절변화가 시간적으로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였다. 끝으로, 월평균 해수면, 대기압 보정 해수면, 비부피 높이 간 관계로부터 해수면의 해해변화와 계절변화의 비대칭성에 대기압 효과와 해수밀도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라늄(VI)의 분리회수를 위한 수지합성과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n Synthesi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U(VI))

  • 강영식;노기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1호
    • /
    • pp.31-41
    • /
    • 1999
  • chloromethylated syrene, 1,4-divinylbenzene과 동공의 크기를 달리한 여러 가지 거대고리 화합물을 개시제로 하여 공중합법에 의하여 1%, 2%, 5%, 및 10%의 다리결합도를 가진 새로운 이온교환수지를 합성한 후 이 수지들을 에탄올 매질에서 열분석, pH, 시간, 다리결합도, 용매 등에 대하여 흡착특성 및 선택성을 살펴 보았다. 이 수지들은 강산, 강염기 및 열에 대해서 안정하였으며, pH 4.0 이상에서는 $UO_2^{+2}$이온에 대한 겉보기용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U(VI)금속이온은 Ce(III)금속이온에 대하여 선택성을 보였다.

  • PDF

스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금속착물 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tal Complex Formation of Poly (styrene-co-Acrylic acid))

  • 김공수;김수종;조석형;전용철
    • 공업화학
    • /
    • 제2권1호
    • /
    • pp.70-76
    • /
    • 1991
  • 수용성 poly(sulfonated styrene-co-acrylic acid)를 합성하여 Cu(II)이온과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oly(sulfonated styrene-co-acrylic acid)-Cu(II)착물의 생성반응에 있어서 pH 변화에 따른 UV-Vis. 흡수 스펙트라 및 점도 특성을 시험하여 착물형성조건을 검토하였다. 또한, poly(sulfonated styrene-co-acrylic acid)-Cu(II) 착물의 생성상수와 안정도상수를 Bjerrum 방법으로 구하였고 Ringbom 방법으로 착물생성 엔탈피, 자유에너지 및 엔트로피 변화 등 열역학적 특성값을 구하였다.

  • PDF

합성수지를 이용한 U(VI), NiI(II), Nd(III) 금속이온들의 흡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U(VI), NiI(II), Nd(III) Metal Ions Using Synthetic Resin)

  • 박성규;김준태;노기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1호
    • /
    • pp.77-87
    • /
    • 2000
  • 클로로메틸화된 스틸렌, 1,4-디비닐벤젠과 동공의 크기를 달리한 여러 가지 거대고리 화합물을 개시제로 하여 공중합법에 의하여 1%, 2%, 10% 및 20%의 가교도를 가진 새로운 이온 교환수지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들 수지에 대한 우라늄(VI), 니켈(II) 및 네오듐(III) 금속에 대한 흡착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수지들은 강산, 강염기 및 열에 대해서 안정하였으며, pH 4.0 이상에서는 $UO_2^{2+}$ 이온에 대한 겉보기용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합성수지들은 네오듐(III) 금속이온에 대하여 선택성을 보였다.

  • PDF

W-C-N 확산방지막의 격자상수 변화 분석을 통한 특성 연구 (Analysis of Lattice constants change for study of W-C-N Diffusion)

  • 김수인;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2
    • /
    • 2008
  • 고집적화된 반도체 소자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금속 배선을 위한 박막제조 공정에서 배선 선폭은 감소하고 있으며, 그 길이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속 배선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었고 그 결과 Cu가 그 대안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Cu는 저온에서도 Si기판과 반응하므로 인하여 접촉면의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소자로써의 기능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Cu와 Si기판 사이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확산방지막의 개발이 필수 요건이 되었다. 본 연구는 Cu의 확산을 방지하는 W-C-N 확산방지막에 대한 연구로 질소비율과 열처리 온도를 변화하여 실험하였으며, 특히 격자상수 변화를 통하여 W-C-N 확산방지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질소-산소계 여섯 자리 리간드들의 전이금속이온 착물에 대한 전위차법 연구 (Potentiometric Study of Transition Metal Ions Complexes of Hexadentate($N_4$, $O_2$) Ligands)

  • 김선덕;김준광;이우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18-525
    • /
    • 2000
  • 열린 고리 형태의 질소-산소계 여섯 자리 리간드 1,13-bis(2-hydroxybenzyl)-2,5,9,12-tetraazatridecane-tetrahydrochloride(BSATD${\cdot}$4HCl)와 1,14-bis(2-hydroxybenzyl)-2,6,9,12-tetraazatetradecanetetrahydrochloride(BSATED${\cdot}$4HCl)을 네 개의 염산염으로 합성하여 원소분석, 적외선 분광법, 핵 자기 공명법 및 질량스펙트럼으로 합성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리간드들의 산 해리상수값(log$K^{n}_{H}$)과 Cu(II), Ni(II), Co(II) 및 Zn(II)에 대한 안정도 상수 값 (log$K_{ML}$)을 전위차 적정법으로 구하고, 지방족 아민의 질소 원자들 사이에 에틸렌기와 프로필기를 포함하는 리간드들의 고리길이 효과에 따른 산 해리상수 특성 및 전이금속에 대한 안정도상수값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Cu(BSATD)]ClO_4$$[Cu(BSATED)](ClO_4)_2$구리(II)착물을 합성하여 그 성질을 알아보았다.

  • PDF

Formation and Dissociation Kinetics of Tetraaza-Crown-Alkanoic Acid Complexes of Cerium(Ⅲ)

  • 최기영;김동원;정용순;김창석;홍춘표;이용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6호
    • /
    • pp.671-676
    • /
    • 1998
  • The formation and dissociation rates of $Ce^{3+}$ Complexes of the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 N",N"'-tetraacetic acid (1),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N",N"'-tetramethylacetic acid (2), and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N",N"'-tetrapropionic acid (3) have been measured by the use of stopped-flow spectrophotometry. Observations were made at 25.0±0.1 ℃ and at an ionic strength of 0.10 M $NaClO_4$. The complexation of $Ce^{3+}$ ion with 1 and 2 proceeds through the formation of an intermediate complex $(CeH_3L^{2+})^*$ in which the $Ce^{3+}$ ion is incompletely coordinated. This may then lead to be a final product in the rate-determining step. Between pH 4.76 and 5.76, the diprotonated $(H_2L^{2-})$ from is revealed to be a kinetically active species despite of its low concentration. The stability constants $(logK(CeH_3L^{2+}))$ and specific water-assisted rate constants $(k_{OH})$ of intermediate complexes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kinetic data. The dissociation reactions of $Ce^{3+}$ complexes of 1, 2, and 3 were investigated with $Cu^{2+}$, ions as a scavenger in acetate buffer. All complexes exhibit acid-independent and acid-catalyzed contributions. The effect of buffer and $Cu^{2+}$ concentration on the dissociation rate has also been investigated. The ligand effect on the dissociation rate of $Ce^{3+}$ complexes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side-pendant arms and the chelate ring sizes of the lig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