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ay system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34초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해체과정과 구성부재의 훼손도 평가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Dissection Process for Rock Properties of Stone Pagoda in the Mireuksaji Temple Site, Korea)

  • 양희제;김사덕;이찬희;최석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77-88
    • /
    • 2004
  • 현재 해체가 진행 중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대상으로 부재의 산출상태 물리적 및 생물학적 풍화와 훼손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향후 보존수복을 위하여 모든 부재의 정밀 조사와 보존과학적 진단을 실시하였다. 이 석탑의 구성부재는 대부분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으로서, 약 3000여개의 석재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 외면 부재는 총 각446개이나, 탑의 각 층에서 집중하중을 받는 석재들은 균열이 중첩되어 있거나 풍화와 훼손이 아주 심하다. 이 중에서 약 $18.8\%$에 해당되는 84개의 부재가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부재에 나타난 물리화학적 훼손상태는 균열, 결손, 박리박막, 마모, 입상분해, 표면요철, 변색, 수산화물의 피복 등으로서 이와 같은 모든 훼손현상을 상세히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이 석탑에 기생하는 조류와 지의류의 피도는 약 $85\%$로 나타났다. 일부 부재를 대상으로 $20\%$ 농도로 희석한 세정용 약제를 도포하였을 때 침해생물종이 고사되고 균주가 억제되었다. 이 결과는 석조 문화재의 해체과정에 따른 정밀 조사연구 및 향후 보존수복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 PDF

경사화 두께를 갖는 열차폐 코팅의 열적 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Durability for Thermal Barrier Coatings with Gradient Coating Thickness)

  • 이승수;김준성;정연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48-255
    • /
    • 2020
  • 경사화 두께를 갖는 열차폐 코팅의 열적 내구성과 열적 안정성에 대한 코팅층 두께의 영향을 화염 열피로 시험과 열충격 시험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Bond 층과 top 층은 각각 Ni-Cr계 상용 MCrAlY 분말과 상용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YSZ) 분말을 사용하여 니켈기지의 초내열합금 모재 (GTD-111)에 대기 플라즈마 용사법 (APS)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1100 ℃의 화염으로 1429회 열피로 시험 후 bond 층이 일부 산화되고 top 층과 bond 층 계면에서 열화에 의한 산화층 (TGO)이 관찰되었으나, 코팅층 부위와 관계없이 균열이나 박리현상 없는 양호한 미세구조를 나타내었다. 1100 ℃ 열충격 시험결과, 37회 열충격 테스트 후 코팅층의 얇은 부위에서 박리가 시작되어 98회 시험 후 코팅층의 50% 이상이 박리되었으며, 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위는 코팅층이 두껍게 형성된 부위에 비해, top 층의 박리와 함께 bond 층의 산화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코팅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위에서 열차폐 효과의 증가로 인해 bond 층의 내산화성과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두해안사구지대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coming Nutrient into Shindu Coastal Dune, Korea)

  • 유근배;신영호;김대현;김성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3-207
    • /
    • 2012
  • 이 연구는 생물서식처로서의 신두해안사구의 특성을 밝히고, 해안사구 내에서 지형다양성과 생물다양성 간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신두해안사구지대에서 전사구 형태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영양염류 유입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양염류의 주요 유입 통로를 바람에 의한 해빈 모래의 이동으로 설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형태적 조건을 지닌 세 유형의 전사구에서 일정기간동안 유입된 영양염류(Na, Mg, K, Ca, P) 농도의 시공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Na, Mg, 그리고 K는 사구의 형태가 모래유입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공간적으로 내륙까지, 시간적으로는 더 늦은 시기까지 높거나 불규칙한 패턴이 관찰되었다. 이들 영양염류는 전사구에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비사의 유입변화와 관련이 깊다. Na의 경우 비사 이외에도 다른 유입경로도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P는 해수와 비사의 영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a는 국지적인 미지형보다 전체 해안사구시스템의 규모에서 분포의 차이가 났다.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주요 식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생물서식처로서의 해안사구 지형이 지니는 역동성을 보여주며, 추후 해안사구의 관리나 해안사구 생물의 분포와 생장패턴을 이해하는데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유기비소제의 약효 및 약해와 잔류에 관한 종합적 고찰 (Discussions on the Efficacy, Phytotoxicity and Residue of Organo-Arsenic Fungicides)

  • 배대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1
    • /
    • 1979
  • 1. 수도 내도열병품종의 다수재배 기술의 보급으로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은 7월초로 크게 한기화되었음으로 약제방제적기도 7월상순 부터 8월상순 까지로 과거보다 $10\~20$일 앞당길 것이 불가피하다. 2,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는 발병 초기일수록 효과적 임으로 7월초의 발병초기와 7월하순 이후의 발생최성기의 2회 약제시용은필수적이며 발생 후기인 8월 중, 하순 이후의 실기방제는 비경제적이다. 3. MAFe제은 강력한 예방과 고도의 치료효과를 겸유하고 있으며 다른 유기비소제와는 달리 품종과 시용 시기 및 부에 따른 약해도 안전하며, 수도용 타살균약나 살충제와의 혼용 사용에도 유리하다. 4. 작물중의 유기비소$(As_2O_3)$의 함유량은 현미중에는 평균 0.2ppm에서 0.65ppm 이하 임으로 농수산부의 정적 허용기준인 3.5ppm에는 크게 미달하나, 년중 4회하상의 과용이나 출수기 이후의 시용은 지양 할 필요가 있다. 5. 잎집무늬마름병 방제면적은 최근 수배로 급증되어 이에 따른 농약 소요량은 1973년의 약 10배이며, 공급액으로는 격증되고 있는데 ha 당 농약대는 약종에 따라 $4\~15$배의 차이가 있이 200ha당 전방면적에 소요되는 농약대도 10억원 이하에서 120억원 이상으로 큰 차이가 있으니 미 생산비와 농민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도 MAFe 제의 공급은 부득기하다. 6. MAFe제(네오아소진 액제, 분제)는 다른 유기비소제와는 달리 적기 적량 시용으로 약효와 경제성이 항생제를 우월할 뿐아니라 약해와 독성에 안전하며, 토양 및 작물중의 잔류도 문제시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으로, 수도 병해충 동시방제를 위한 혼합제 개발과 저항 또는 공동방제에의 적극적이용이 기대되며 현행의 농약안정사용기준 이상의 규제는 불필요하다.

  • PDF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I) : 채소류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Job-Exposure Matrix (JEM) of Farmer Related to Insecticide of Pesticide (II) : Vegetable)

  • 김기연;조만수;임병서;이상길;강동묵;김종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3-299
    • /
    • 2014
  • Objectiv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job-exposure matrix(JEM) related to farmers treating agricultural insecticide. Materials and Methods: The survey on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was conducted by two research methods. The first method is to utilize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from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The second method is to apply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 announced officially from Statistics Korea(SK). An estimation of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hrough the second method was done by multiplying total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m^2$) with optimal spray amount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per unit cultivation area of vegetable ($kg/m^2$).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public data related to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its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gradually from the first sale year(1969) to current year(2012). There is, however, a considerable difference of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between shipments and estimation.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tota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insecticide for vegetable cultivation the most in Korea was Jeolla-do, followed by Gyeonsang-do, Chungcheong-do, Seoul/Gyeonggi-do, Gangwon-do and Jeju-do. Substantially, mean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281{\pm}115%$, which indicates that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estimated by cultivation area are three times lower than those based on shipments.

무창 비육돈사에서 습식공기정화기의 여름철 공기정화효율 분석 (An Air Cleaning Efficiencies of Wet Air Cleaner in the Windowless Swine Fattening Stall in Summer)

  • 오인환;이종현;이경훈;이정훈;이동섭;어성만;이미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3-140
    • /
    • 2006
  • The climate of stall significantly influences on animal production ability.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gas, $CO_2$ and lots of dust are found in modern densely raising stall system, as results, they provide a negative influence on animal and farmer health, and production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clean the inside air of stall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 air cleaner of wet type, consisting of a fan, a motor, rotating discs, a dust collector, a water bowl, an ozone generator etc, has been developed to clean the stall air. The work principle is that the in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fan, and the rotating discs make water into fineness spray and blow into the stall. The rest water flows down to the dust collector. In the present study, we measured the dust, ammonia gas, od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swine stall that were installed two wet air cleaners with 700 fattening swine with On-mode and Off-mode of wet air cleaners. The dust measure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TSP, $PM_{10}$, and $PM_{2.5}$. In summer, the TSP in on-mode were maximum $0.259mg/m^3$ and minimum $0.128mg/m^3$, and the average was $0.195mg/m^3$. These are comparable to the data from Off-mode stall that maximum $0.308mg/m^3$, minimum $0.139mg/m^3$, and average $0.277mg/m^3$. However, $PM_{10}$ and $PM_{2.5}$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s.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gas in Off-mode stall were maximum 13.8 ppm and minimum 5.9 ppm, and the average was 8.47 ppm. However in On-mode stall the ammonia gas concentrations were maximum 10.5 ppm and minimum 5.5 ppm, and the average was 7.63 ppm.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gas in On-mode was 10% in average lower than off-mode stall. Odor was measured by olfactometer. In the Off-mode stall, the odor unit were maximum 420 $Ou/m^3$ and minimum $300\;OU/m^3$, and the average was $367\;OU/m^3$, but in the On-mode stall the odor unit were maximum $330\;OU/m^3$ and minimum $210\;OU/m^3$, and the average was $253\;OU/m^3$. Odor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31% in On-mode stall.

  • PDF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대기오염제어 시스템의 수치해석적 연구(I) (A Study on Numerical Calculations of Hybrid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Coupled with SDR and Bag Filter)

  • 권영현;김진욱;정유진;김민철;이재정;이강우;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56-466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복합 후처리장치의 최적 모델 개발을 위해 반응기 내부 유동 특성 및 유량 분배 수준, 공기 연령, 체류시간 등과 관련지어 3차원 전산유체역학(CFD)을 수행하였다. 백필터의 각 격실별로 유량 분배가 크게 차이가 발생해 반건식 반응기(SDR)에 편류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어 백필터에 균등한 유량 분배를 위한 구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DR의 유입구 구조 변경을 통해 반응기 내부의 속도장과 체류시간 분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해석을 이용하여 수정 보완한 배가스 복합 후처리장치는,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 처리부가 일체화되어 있어 장치가 콤팩트하고 설치면적이 적으며 운영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De-NOx 저감장치가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NOx Device on GHG Emissions)

  • 김성우;김정환;김기호;오상기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220
    • /
    • 2018
  • As increase the number of vehicles, the issue of greenhouse gas that was emitted by them became important. As a result, greenhouse gas (GHG) regul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and efforts are being actively mad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e other hand, regulations for harmful emission of vehicles have been reinforced by step. Especially, the lastly applied step, so called Euro 6, not only decreased NOx limit down to half of Euro 5 but also introduced real driving emission limit for NOx and PN. It is a challenge for manufacturers to meet the recent GHG regulation as well as the latest emission regulation. To overcome these regulations a De-NOx after-treatment system is being applied to diesel vehicles that are known emitting the lowest GHG among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t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Euro 6 emission standard in Korea, in the domestic fuel economy certification test, some diesel vehicles emitted more $CH_4$ than Euro 5 vehic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NT-equipped vehicles emitted a high level $CH_4$ and the level exceeded the US emission standar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ason, various prior literature was investigat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detailed study on the methane increase with LNT. In this paper,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s equipped with LNT the affects the above issue and other greenhouse gases, 6 passenger cars were tested on several emission test modes and ambient temperatures with a environment chamber chassis dynamometer. 2 cars of these were equipped with LNT only, other 2 cars had SCR only, and LNT + SCR were applied to remaining 2 cars. The test result shown that the vehicles equipped with LNT emitted more $CH_4$ than the vehicles with SCR only. Also, $CH_4$ tended to increase as the higher acceleration of the test mode. However, as the test temperature decreases, $CH_4$ tended to decreased. $CO_2$ was not affected by kinds of De-NOx device b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modes.

딸기 시설 하우스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 효과 평가 (Evaluation of Acaricidal Effect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Collected from Strawberry in Greenhouse)

  • 권덕호;안율균;홍규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135-146
    • /
    • 2020
  • 딸기 재배지에서 점박이응애는 엽록소를 직접적으로 흡즙하여 생산량을 낮추는 주요 난방제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 약효 검정법을 개발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와 화학합성살비제가 포함된 10종의 약효를 평가하였다. 해당 기법은 4개의 약제를 3반복으로 실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시료 전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감수성 계통(SL_YS)을 포함한 전북 정읍(2020_JB_01), 충북 청주(2020_CB_01), 강원 고성(2020_GW_01)에서 채집한 지역 계통을 대상으로 약효를 평가한 결과 감수성 계통은 약 90-100% 사충률을 보인 반면에 지역 계통은 약제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우수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약효 지수를 감수성 계통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2020_JB_01 계통에 대한 우수 약제는 Test_02, Test_03 그리고 Test_10 약제가 선정되었다. 2020_CB_01 계통에 대해서는 Test_03과 Test_04가 선정되었다. 2020_GW_01 계통에서는 Test_01, Test_02, Test_03, Test_06 그리고 Test_10이 선정되었다. 계통 별 약제 반응이 다른 이유는 농가별 사용 약제와 살포 횟수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약효 간이 검정법은 우수 약제 선발을 가능하게 하여 딸기 재배지 점박이응애 방제 효율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채소 온실에서 무인 자동 약제 살포장치를 이용한 해충 방제효과 (Pest Control Effect using Unmanned Automatic Pesticide Spraying Device in Vegetable Greenhouse)

  • 이중섭;이재한;방지웅;김진현;장혜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59
    • /
    • 2022
  • 시설재배 온실에서 병해충 방제를 위해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무인 자동 농약 살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제처리를 실시하였다. 토마토, 딸기의 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꽃노랑 총채벌레의 방제효과는 토마토에서 85.6%, 딸기에서 87.5%로 나타났고, 온실가루이는 각각 81.7%와 80.6%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제처리 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는 관행약제살포 처리구 81.7%, 무인 자율 약제 살포처리구 83.9%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F=22.1, p < 0.001). 두 처리구간 방제효과 비교 시 현저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무인 자율 약제 살포처리에서 2.2%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약제 살포 시간을 비교한 결과, 무인 자동 약제 살포기는 살포시간이 5min/10a으로 관행 약제 살포시간 25-30min/10a 보다 25min 정도 적게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최성기에 시설온실에서의 효율적인 해충 방제로 무인 자동 약제 살포방제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