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ive concep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소비자(消費者)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티브 패션 트렌드의 수용(受容) 현황(現況)과 배경(背景) 분석(分析) (An Analysis of Consumers' Acceptance of the Sportive Fashion Trend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 김숙현;이주현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1호
    • /
    • pp.1-1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design concepts for sportive fashion product based on the analysis of consumers' acceptance of the recent sportive fashion trend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The subjects consisted of 295 males and females, between 17 and 35 year-ol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4 stimuli was employed for data gathering,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First, the recent sportive fashion tren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street- sportive' trend, 'futuristic-sportive' trend, 'ethnic-sportive' trend and 'urban-utility sportive' tren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consumers' lifestyle, total four consumer groups were identified; 'pursuing sense' group, 'pursuing culture' group, 'pursuing utility' group, and 'indifference' group. Thirdly, the consumers relatively preferred two sportive styles among the four groups, typically representing 'urban-utility' trend and 'street' trend. The typical 'urban-utility' style was particularly preferred by the consumers who desired to express themselves as urban, modern, and luxurious. The typical 'street' style was preferred by the consumers who tried to express themselves as active and fashionable. Finally, preferences of the sportive trends according to consumers' lifestyle were interpreted as follows: the 'pursuing sense' group relatively preferred 'urbanutility' style and 'street' style, the 'pursuing culture' group preferred 'street' style and the 'pursuing utility' group preferred 'urban-utility' style, meaningwhile the 'indifference' group preferred 'street' style and 'urban- utility' style.

촉각적 인터랙션을 활용한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 (Sportive Kiosk Interface Design using Tangible Interaction)

  • 임병우;조동희;조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55-164
    • /
    • 2008
  •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배치된 무인정보시스템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달리 다양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하철역과 같은 공공장소의 키오스크는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사용성이 떨어져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적극적인 개선 방안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컨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촉각적 인터랙션과 인터스페이스의 개념 그리고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희성에 관해서 고찰하고 촉각적 인터랙션 원리를 활용한 인터스페이스에서의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서 연구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을 위해 아트콤(ART+COM) 프로젝트를 참고했다.

한국 sports fashion image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ports Fashion Image in Korea)

  • 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9
    • /
    • 2000
  • Korean sports fashion began after 1990. after 1960, using vinyl, leather, plastic & metal material, Yve st. Laurent, Pierre Cardin, Andre Courrges, they lead sportive look. Head of 20th century, fashion was lead by haute­couture, after 60s. It was changed to pret­a poter. Now it can be called of american casual & sports fashion. This study would be a view of modem fashion trend and process of visualization in the future. I studied in reproduction of view & age of hyper media with visual circumstance & artistic background and mordern fashion trend & sports fashion image in korea. In conclusion, sports fashion image as visualizing aesthetic concept of modern fashion be defined as technology for man, for instance comfort, function, flexibility, simplicity and minimalism. Specically, Sports fashion was began satisfied for function after 90s, we can see variety of easy wear, hip-hop casual, entertainment sports wear, new street sports wear, luxury sports wear.

  • PDF

9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패션의 트랜드와 패션의 포스트모던적 특성과의 연계(連繫)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Expression after the 1990s - Focusing on the link between Fashion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tic Fashion -)

  • 성광숙
    • 복식
    • /
    • 제54권1호
    • /
    • pp.109-123
    • /
    • 2004
  • In this study, the fashion trend after the 1990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he postmodernistic viewpoint that mainly effected fashion were obser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viewpoint of its link. It can be seen that mutually close characteristics are mutually link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nd the sub-concepts are as following. The first category is the pursuit of feminine beauty of individual multi-dimension. This includes- 1) retro feminine beauty; 2) fetishistic and ecstatic feminine beauty; 3) mixed composition genderless (mixed composition style. ageless style and raceless style): and 4) beauty of body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deformation due to partial transformation, change into animalization, mechanization and spirituelization. and beautification of crudeness). The second is the intentional deviation of expression and production technique. This includes-1) deviation from traditional perspective; 2) deviation from composition concept: and 3)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material and expression technique of material. The third is the pursuit of authority-rejection form of expression. This is an area that should be noticed in the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of the 1990s, as it shows the most diverse phenomenon. The sub-concepts of this category include- 1) separation of art 2) minimalism (minimalism in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3) flatness; 4) completion of incompletion; 5) accidentalism; 6) sportive;7) absence of figure; 8) intentional childishness 9) story development; 10) techno mechanism and cyber character; and 11) animation style.

21세기 한국패션시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21st Century Fashion Market in Korea)

  • 김혜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09-216
    • /
    • 1998
  • 21세기의 소비자 시장은 첫째, 패션 데모크라시의 현상으로 소비자들은 무조건적인 유행추종으로 이탈하는 삶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자연의 주체적인 판단에 의해서 스스로의 패션을 선택, 창조해 가려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토탈 패션의 추구현상으로, 앞으로의 소비자들은 단품상품을 차별화하는데 목표를 두기보다는 자신의 개성과 가치관에 기초한 다양한 패션요소를 고려하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 셋째, 월드퀄리티 지향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의 패션의식을 소재, 품질,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세계적 통용성을 강조하는 데로 이행해 가고 있다. 넷째, 신 합리주의의 등장으로, 소비자들은 패션의 고급화를 추구시킨 상품전략에 있어서 현명함, 진실함을 강조하고 합리적인 가격대를 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다섯째, 컨셉트 지향으로, 소비자 을은 각자 개인의 생활 장면(Life Scene)에 적합한 컨셉트 지향을 추구하는 현상으로 변하고 있다. 변화된 패션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orderless가 점차 진행되면서 어패럴이 고객 개인에게 Custom made 상품을 제공하는 등 업체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둘째, 비즈니스를 표준화 시스템화하여 집중관리 방식을 취하는 기업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niche시장을 겨냥하는 게릴라가 등장하는 고랄라와 게릴라의 2극화가 진행된다. 기본적으로는 개인의 창의 연구를 중요시하고 고감도로 현장밀착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 2극화도 완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고릴라가 게릴라적 움직임을 보이고 게릴라가 고릴라적 하이테크를 사용하는 등의 서로 보완적인 관계가 되는 현상이다. 셋째, Value retailing의 성장으로, 메스 머천다이징을 지향하는 기업이나 카테고리고리 킬러라고 칭해지는 기업 군이 점점 새로운 상품영역으로 확대되어 대형화 되어서 비즈니스의 share를 확대하고 있다. 넷째, 아웃소싱의 활용으로, 자사의 회사에 있는 기능, 지금까지 자가만이 해온 것을 모두 검토하여 <이것만은 우리가 강하다>고 하는 것만 남기고 다른 것은 외부의 기능을 이용하는 동향이 해마다 강해지고 있다. 다섯째, 무점포 판매의 확대로, 카탈로그 등의 통신판매에 더하여 인터넷의 등장, CD-ROM판매도 구체화되었다. 어느 유력한 미국의 Thinktank는 <2010년에 의류품과 홈제품의 전 매출액의 5.5%가 None.store가 될 것이다.>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International, Global차원의 마케팅과, 둘째, Technology의 향상, 셋째, 지식 창조형의 마케팅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