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ice length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박과채소용 단근합접 접목시스템 개발(1) -작업공정 분석과 시스템 설정 - (Development of a Root-Removed Splice Grafting System for Cucurbitaceous Vegetables (1) - Analysis of Grafting Process and System Setting -)

  • 강창호;이승규;한길수;이용범;최홍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6호
    • /
    • pp.453-461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oot-removed splice grafting system for cucurbitaceous vegetables, mainly watermelon and cucumber seedlings, for the seedlings factories where currently most of seedlings grafting works are carried out by manual work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imensions of rootstocks and scions, except cotyledon width, of root- removed splice grafting of watermelon and cucumber were shown to be varied within the 2.5-fold range. The growth status of seedlings were not consistent in terms of cotyledon sprouting direction and angle which wer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in root-removed splice grafting. The grafting work of root-removed splice for grafted watermelon and cucumber could be divided by four sub-operations: seedling supplying, cutting, clipping and potting, while a part or all root of the rootstock was removed in the seedlings supplying operation. The cutting angles of the rootstock and scion were $34-45^{\circ}$ and $20-45^{\circ}$, respectively, while the stem length of the scion varied from 6 mm to 12 mm. The splices of rootstock and scion were heaped up in parallel and then fixed by a clip. It indicated that the ideal grafting system, adopting conventional grafting processes of seedlings specifications as well as conventionally manual root-removed splice grafting method, performed very well for seedlings gripping and transporting, supplying clip, clipping and discharging grafted seedlings while workers supplied seedlings to the semi-automatical system.

SD500 고강도 철근용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 철근이음 개발 및 구조성능 평가 (Development of Steel Pipe Splice Sleeve for High Strength Reinforcing Bar(SD500) and Estimation of its Structural Performance under Monotonic Loading)

  • 이상호;김형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69-18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개발한 후에 실물크기의 20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를 비롯한 구조성능을 철근의 정착길이, 슬리브의 타입, 철근의 규격과 같은 실험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 따라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 철근이음은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확립을 위한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Investigating Structural St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Buildings Relative to the Lap Splice Position of Reinforcing Bars

  • Widjaja, Daniel Darma;Rachmawati, Titi Sari Nurul;Kwon, Keehoon;Kim, Sunkuk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5-326
    • /
    • 2023
  • The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of rebar lap splice in architectural structures are governed by building regulations. Nevertheless, the minimization of rebar-cutting waste (RCW) is often impeded by the mandatory requirements pertaining to the rebar lapping zone as prescribed in design codes. In real-world construction scenarios, compliance with these rules often falls short due to hurdles concerning productivity, quality, safety, time, and cost. This discrepancy between code stipulations and on-the-ground construction practices necessitates an academic explor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lve into the effect of rebar lap splice placement on the robustness and constructability of building edifices. The study initially took on a review of the computation of rebar lapping length and the rules revolving around the lapping zone. Following this, a structural robustness and constructability examination was undertaken, focusing on adherence to the lap splice zone. The interpretations and deductions of the research led to the following insights: (1) the efficacy of rebar lap splice is not solely contingent on the moment, and (2) the implementation of rebar lap splice beyond the specified zone can match the structural integrity and robustness of those confined within the designated area. As a result, the constraints on the rebar lapping zone ought to be revisited and possibly relax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nticipated to reconcile the disconnect between building codes and practical construction conditions, furnishing invaluable academic substantiation to further the endeavor of achieving near-zero RCW.

이음된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Strength of Lap Spliced Ultra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배백일;손동희;최현기;정형석;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76-8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음된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을 검토하고, 현행설계기준의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 설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6개의 보에 대한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변수는 섬유의 혼입여부와 이음 길이로 설정하였다. 혼입된 섬유는 강섬유로 2%의 부피비로 결정하였으며, 이음길이는 8db와 16db로 결정하여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섬유로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들은 이음부에서 급격한 하중지지능력을 상실하고 철근의 항복을 경험하지 못하였으나, 섬유로 보강된 경우 16db의 이음길이가 확보되면 주인장철근의 항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적절한 휨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현행설계기준 및 초고강도콘크리트 구조설계지침의 이음길이 산정식들을 검토한 결과 모두 보수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Grout-Pilled Splice Sleeve System)

  • 김형기;안병익;남재현;박복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516-524
    • /
    • 2001
  • 여러가지 철근이음 방법중에서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은 철근위치의 오차를 쉽게 흡수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구경 철근에 대해서도 적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공법의 철근이음 방법으로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법의 적용범위를 보다 확장하기 위하여 슬리브에 매입되는 철근직경이 상이한 경우와 충전 모르타르 강도를 700kgf/$\textrm{cm}^2$대로 낮춘 경우의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에 대한 단조 및 반복가력 구조성능 실험을 실시한 후에 기존 실험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충전 모르타르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구조성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충전 모르타르 압축강도가 700kgf/$\textrm{cm}^2$이상이고 철근정착길이가 6.5d 이상이면 A급(AIJ 철근이음 성능 판정기준) 이상의 구조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슬리브 양단에 매입되는 철근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는 굵은 철근에 대응되는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고 매입되는 가는 철근은 굵은 철근보다 2단계까지 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섬유혼입조건 및 팽창재 대체에 따른 변형 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내의 철근 겹침이음 성능 (Effects of Fiber Blending Condition and Expansive Admixture Replacement on Tensile Performance of Rebar Lap Splice in Strain-Hardening Cement-Based Composites (SHCCs))

  • 류승현;이영오;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11-120
    • /
    • 2012
  • 이 연구는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SHCC) 내에 매립된 철근의 겹침이음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조 및 반복 재하시의 겹침이음된 철근의 인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10개의 SHCC 및 콘크리트 배합이 계획되었으며, 실험체의 변수는 보강섬유 종류(폴리에틸렌 및 강섬유), 팽창재 대체율(0% 및 10%) 및 실험체의 설계강도(30 MPa 및 100 MPa)로 계획하였다. SHCC 및 콘크리트 배합에 매립된 철근의 겹침이음 길이는 각각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 의거하여 산정된 겹침이음 길이의 60% 및 100%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SHCC에 철근이 매립될 경우 철근의 겹침이 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HCC 배합에서 보강 섬유 종류(PE-SHCC 및 PESF-SHCC)에 관계없이 겹침 이음된 철근의 인장강도 및 부착강도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HCC에 팽창재를 대체할 경우 SHCC에 매립된 철근 겹침이음부의 거동 특성을 개선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균열 특성에서는 배합조건 및 재료특성에 따라 PE-SHCC가 PESF-SHCC에 비해 보다 많은 미세균열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언한 바와 같이 이 연구는 SHCC의 변형경화 특성에 따라 매립된 철근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킴에 따라, SHCC에 매립된 철근 겹침이음 길이를 감소할 경우에도 양호한 거동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임쇠 경사길이에 따른 체결식 커플러의 이음성능 평가 (Splice Performance Evaluation of Fastening Coupler According to the Slope Length of Internal Fasteners)

  • 정현석;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11-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기계식 커플러의 이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접합방식을 가진 두 가지의 새로운 커플러를 개발하였다. 두 가지 방식의 기계식 이음장치에 대하여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커플러의 재료특성, 접합방식, 내부 조임쇠의 경사길이를 변수로 최대 인장강도의 영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축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인장시험결과를 만족하는 시험체를 대상으로 KS D 0249에 의거하여 정적내력시험 및 반복하중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커플러의 인장강도와 내부 조임쇠의 경사길이는 최대 인장강도에 영향을 끼친다. (2) 연결 방식에 따라 접합된 철근의 강성, 슬립량, 강성감소율에 영향이 있다. 연구결과는 새롭게 제안된 향상된 기계식 이음장치의 현장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주철근 겹침이음 및 횡철근 상세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다주교각의 거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ulti-Column Piers with Different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einforcement Details)

  • 김재관;김익현;김정한;조대연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1-219
    • /
    • 2002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multi-column piers an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In this study, 3 types of scale model piers with 2-column are designed and tested by quasi-static load in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Each type of model consisting of 2 specimens has different reinforcement details in the lap splice of longitudinal bars and amount of transverse reinforcements. This paper reports that the ductility of the model in transverse direction is rather higher than in longitudinal direction because of formation of several plastic hinges and that the ultimate displacement and the energy absorbtion capacity are enhanced by using continuous longitudinal bars instead of lap-splice ones. And it is confirmed that relatively large amount of ductility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sufficient lap-splice length and transverse reinforcements with end hook even if longitudinal bars are lap spliced in the base of pier.

  • PDF

반복하중 하에서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내 철근의 겹침이음성능 (Lap Splice Performance of Reinforcing Bars in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under Repeated Loading)

  • 전에스더;김선우;양일승;한병찬;윤현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181-184
    • /
    • 2005
  • Experimental results on lap splice performance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HPFRCC) with fiber types under repeated loading are reported. Fiber types were polypropylene(PP), polyethylene(PE) and hybrid fiber[polyethylene fiber+steel cord(PE+SC)]. The development length($l_d$)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levant ACI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The current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clearly that the use of fibers in cementitious matrixes increases significantly the splice strength of reinforcing bars in tension. Also, the presence of fibers increased the number of cracks formed around the spliced bars.

  • PDF

Cyclic testing of weak-axis column-tree connections with formation of plastic hinge at beam splice

  • Oh, Keunyeong;Chen, Liuyi;Hong, Sungbin;Yang, Yang;Lee, Kangmi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8권5호
    • /
    • pp.1039-10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weak-axis column-tree type connections used in steel moment frames. These connections are composed of a shop-welded and fieldbolted steel structure and can improve welding quality. On this basis, column-tree type connections are widely used in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splices designed with a semirigid concept regard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column-tree connection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structures can absorb energy in an inelastic state rather than the elastic state of the structures by the capacity design method. For this reason, the plastic hinge might be located at the splice connection at the weak-axis column-tree connection by reducing the splice plate thickness. The main variable was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lumn flange to the beam splice. CTY series specimens having column-tree connections with splice length of 600 mm and 900 mm were designed, respectively. For comparison with two specimens with the main variable, a base specimen with a weak-axis column-tree connection was fabricated and tested. The test results of three full-scale test specimens showed that the CTY series specimens successfully developed ductile behavior without brittle fracture until 5% story drift ratio. Although the base specimen reached a 5% story drift ratio, brittle fracture was detected at the backing bar near the beam-to-column connection. Comparing th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for each specimen, the CTY series specimens dissipated more energy than the base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