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nt laying hens mea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6초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폐계육이 함유된 게맛살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Bioactive Components Addition on Qualities of Imitation Crab Meat Containing Spent Laying Hen Meats During Storage)

  • 진상근;허선진;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61-869
    • /
    • 2010
  • 폐계육 가슴살에서 회수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게맛살의 저장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조 초기 시험구간의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이후에도 회분을 제외한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제조초기 유의적이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4주경과 후에 누에고치분말(T2) 및 CLA(T3) 처리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초기 보수력은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았고, 가열감량은 T2 및 T3이 가장 낮았고, 전단가는 T2 및 T3가 낮게 나타났다. $L^*$ 및 W는 대조구와 T3이 시험구 중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T2 및 T3이 낮게 나타났으며, T3는 저장기간 동안 육색의 안정을 보였다.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 강도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은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조직감 중 T2가 모든 항목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T1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T3은 저장기간 동안 경도, 파쇄성, 검성, 저작성 및 부착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패도(TBA)와 휘발성염기질소(VBN)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의 경과에 의해 TBA값은 감소하였고, VBN값과 총세균수는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를 포함한 육색, 향, 풍미, 연도 및 다즙성 모든 항목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능적 품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는 전체적으로 T3이 다른 처리구에 비교해 품질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rotenoid Accumul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in Spent Laying Hens as Affected by Polarity and Feeding Period

  • Lee, C.-Y.;Lee, B.-D.;Na, J.-C.;An,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99-805
    • /
    • 2010
  • Since the consumption of spent laying hens as roasted skewered meat increases, the effects of various carotenoids on pigment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ested with 62-wk-old 250 ISA brown laying h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cken meat. In a 6-wk feeding trial, 4 carotenoids with different polarity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ACAEE)>astaxanthin>canthaxanthin>${\beta}$-carotene) at 100 mg carotenoid/kg feed were used. The more polar the carotenoids, the higher were the levels in blood. After 5-wk adaptation, the concentrations of astaxanthin, canthaxanthin, and ACAEE in blood were -4 ${\mu}g/ml$. Canthaxanthin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level of total blood cholesterol. Decreases in blood triglyceride by all carotenoids used were significant. ACAEE and astaxanthin tended to increase skin yellowness of thigh, breast, and wing proportionally to feeding period. In the case of polar carotenoids (ACAEE and astaxanthin), the longer the period of feeding, the higher the accumulation in skin was observed. Only astaxanthin was effective against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in skin. Conclusively, ou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arotenoids we tested, astaxanthin is recommended for pigmentation of skin and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생리활성 물질인 공액리놀랜산(CLA), 누에고치분말, 동충하초분말의 혼합 첨가가 폐계육 회수단백질이 함유된 게맛살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Mixture with Silkworm Cocoon Powder, Cordyceps Powder,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itation Crab Containing Recovered Protein from Spent Laying Hens)

  • 임동균;진상근;허선진;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9-239
    • /
    • 2018
  • 안전하고 건강지향적인 식품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소재를 이용한 식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합성물질보다는 생리활성작용을 하는 천연물질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합성화학물질과 달리 천연물질은 그 이용에 대한 제한이 없고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다. 폐계육의 가슴살과 명태살을 이용한 게맛살을 제조할 때 동충하초분말, 누에고치분말 및 CLA의 혼합 첨가가 게맛살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폐계육 회수단백질과 명태살에 누에고치분말(10 g)을 첨가한 T1, 누에고치분말(5 g)과 동충하초분말(5 g)을 첨가한 T2, 동충하초분말(5 g)과 공액리놀랜산(5 g)(CLA)를 첨가한 T3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H와 전단가는 저장초기에 비교해 저장 2주 이후에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단가는 6주에서 동충하초분말과 CLA를 혼합 첨가한 구(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육색의 경우 적색도($a^{\ast}$)와 백색도(W)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황색도($b^{\ast}$)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T2의 적색도($a^{\ast}$), 황색도($b^{\ast}$)가 다른 처리구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내었다. 생리활성물질의 첨가는 게맛살의 겔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방산패도(TBARS)와 총균수(TPC)는 T1이 다른 처리구보다 상당히 높게 나온 반면에 단백질변패도(VBN)의 경우 다른 처리구보다 T2가 높게 나왔다. T1과 T3는 저장기간 동안 총 아미노산함량이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충하초분말 0.5%와 CLA 0.5% 혼합 첨가한 T3 처리구가 종합적인 품질면에서 폐계육 함유 게맛살의 기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upplementary Blood Meal on Carnosine Content in the Breast Meat and Laying Performance of Old Hens

  • Namgung, N.;Shin, D.H.;Park, S.W.;Paik,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946-95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lood meal (BM) as a source of histidine, and magnesium oxide (MgO) as a catalyst of carnosine synthetase, on carnosine (L-Car) content in the chicken breast muscle (CBM),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spent old hens. Four hundred eighty laying hens (Hy-Line$^{(R)}$ Brown), 95wk old, were allotted randomly into five replicates of six dietary treatments: T1; 100% basal diet, T2; 100% basal diet+MgO, T3; 97.5% basal diet+2.5% BM, T4; 97.5% basal diet+2.5% BM+MgO, T5; 95% basal diet+5% BM, T6; 95% basal diet+5% BM+MgO. Magnesium oxide was added at 0.3% of diets. The layer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5w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ekly L-Car content in CBM among all treatments during the total experimental period, but some of the contrast comparisions showed higher L-Car in CBM of T6. The L-Car contents linearly decreased (p<0.01 or p<0.05) as the layers got older except in T4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weight (p<0.01) and soft and broken egg ratio (p<0.05). The control (T1) was highest in egg weight and T6 was lowest in soft and broken egg ratio. Among the parameters of egg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strength (p<0.01) and egg yolk color (p<0.05). Magnesium oxid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eggshell strength and BM tended to decrease egg yolk color. Eggshell color,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 were not influenced by BM and MgO. In conclusion, BM and MgO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Car in CBM of spent layers. The L-Car content rapidly decreased as the layers became senescent. Eggshell strength was increased by MgO supplementation.

Discrimination of Astaxanthin Fed Laying Hens and Their Peroxidated Carcasses by Electronic Nose

  • Kwon, Young-An;Lee, Chan-Yong;Lee, Bong-Duk;Choi, Seung-Hyun;An, Gil-Hwa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5-219
    • /
    • 2010
  • The applicability of electronic nose was tested to detect lipid peroxidation in chickens and to measure antioxidant effect of astaxanthin in chicken carcasses. Two sources of astaxanthin were fed to 62-wk-old spent laying hens to improve meat quality: natural astaxanthin (NA) from the red yeast, Phaffia rhodozyma, and synthetic astaxanthin (SA) from chemical synthesis. One hundred forty four ISA Brown laying hens were used in a 6-wk feeding trial. Three treatments consisted of the basal diet (control), SA (100 mg astaxanthin/kg basal diet) and NA (50 mg astaxanthin/kg basal diet). The astaxanthin levels of SA and NA were set to give a similar degree of skin pigmentation. After 6-wk feeding of astaxanthin, the skins from NA and SA were discriminated from the control by electronic nose. However, electronic nose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SA and NA skins after 6-wk feeding. The astaxanthin level differences between skins of SA and NA were not remarkable during the 6-wk trial. The lipid peroxide formation in sk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A but not by NA. The antioxidation effect of SA was detected by electronic nose because SA skin was discriminated from others. NA was a better pigmentation agent than SA, but the reverse was true in antioxidation. Electronic nose is applicable for detecting astaxanthin in chicken, and meat off-flavor caused by lipid peroxidation during storage.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spent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substrates on laying hens)

  • 김수철;문여황;김혜수;김홍출;김종옥;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2014
  •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준농산에서 수거한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를 Bacillus subtilis EJ3 배양액과 혼합하여 2주 동안 발효시킨 것을 공시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인 12주령된 Hy-line brown 갈색계 24수는 시판사료 급여구인 대조구(T0)와 5(T1), 10(T2), 15%(T3)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이 첨가된 시판사료 급여구인 시험구로 나누어 12주 동안 공시사료를 급여하였다. 12주동안 평균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 배지 첨가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0%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부터는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란량과 산란율은 대조구보다는 5%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12주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난중,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모두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내부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인 난황색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난황색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란의 내부 오염 지표인 육반과 혈반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외부 품질 기준인 난각색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계란의 포장과 수송과정에서 계란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난각중과 난각 두께는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급여구에서 산란계의 가스발생량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Liver Protective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Old Laying Hen Hydrolysate in Crab Meat Analogue

  • Jin, Sang Keun;Choi, Jung Seok;Choi, Yeung Joon;Lee, Seung-Jae;Lee, Seung Yun;Hur, Sun 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2호
    • /
    • pp.1774-178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rab meat analogue prepared with protein hydrolysates obtained from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MDCM) from spent laying hens. 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at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by adding MDCM hydrolysates during storage, and activit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DPPH added up to 6 weeks of storage. Hyd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in all analogues containing MDCM hydrolysates. At 0 days of storag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MDCM hydrolysates. Activity did not correlate after 6 weeks of storage, in which ACE-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with low concentrations of MDCM hydrolysates, but no ACE-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liver-protecting activity of crab meat analogue was shown to be around 60% of the positive control;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MDCM as a source of health-promoting constituents in crab meat analogue.

노계 분쇄 가슴육의 첨가가 크래미의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nt Layer Crushed Breast Addition on the Quality of the Cremi during Storage)

  • 진상근;박재홍;신대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1-257
    • /
    • 2013
  • 수리미에 대한 노계 분쇄 가슴육으로의 대체가 저장 중 크래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소시지 제조에 이용되는 커터를 활용하여 노계 가슴육을 분쇄하였으며, 이후 수리미를 노계 분쇄육으로 5(05CM)와 10%(10CM) 대체하며 크래미를 제조하였다. 크래미의 제조 후 모든 크래미는 $10{\pm}1^{\circ}C$에서 3주간 저장하며 실험하였다. 크래미의 수분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보다는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더욱이, 지방의 산화를 나타내는 TBARS는 분쇄육으로 수리미를 5%까지 대체한 05CM보다는 10%까지 대체한 10CM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크래미 시료의 육색을 나타내는 CIE $b^*$$a^*$는 수리미를 5와 10%까지 분쇄육으로 대체한다면 황색도는 증가하나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크래미의 전 단가와 겔 특성 중 파괴강도와 젤리강도는 저장기간 보다는 분쇄육으로의 대체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이러한 결과가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의 관능적 평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크래미 제조를 위한 수리미를 노계 분쇄 가슴육으로 10%까지 대체한다 하여도 수치적으로는 조직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할 수 있겠으나 그 영향은 관능적 평가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낼만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크래미 제조를 위한 수리미 10%의 노계 분쇄 가슴육 대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려 가능한 대체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Hydrolysat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itation Fish Paste

  • Jin, Sang-Keun;Go, Gwang-Woong;Jung, Eun-Young;Lim, Hyun-Jung;Yang, Han-Sul;Park, Jae-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15-12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effects of adding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MDCM) hydrolysate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imitation fish paste (IFP) during storage. IFP was prepared from Alaska Pollack, spent laying hens surimi and protein hydrolysates which were enzymatically extracted from MDCM. The study was designed as a $3{\times}4$ factorial design with three MDCM hydrolysate content groups (0%, 0.4%, and 0.8%) and four storage times (0, 2, 4, and 6 weeks). Addition of MDCM hydrolysates increased crude fat content but lowered water content (p<0.05). The breaking force of IFP, an indicator of gel formation, increased in trea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p<0.05).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was inhibited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MDCM hydrolysate content (p<0.05).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MDCM to IFP improves ge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protein hydrolysates from MDCM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ACE inhibiting pept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