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 recognition

검색결과 2,032건 처리시간 0.024초

음성 개선 기반의 모델 보상 기법을 이용한 강인한 잡음 음성 인식 (A Noise Robust Speech Recognition Method Using Model Compensation Based on Speech Enhancement)

  • 신광호;정호열;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1-19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잡음 환경하의 음성 인식을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Mel-warped Wiener Filtering (MWF) 기법을 이용하여 입력 음성을 개선하고 후처리 단계에서 PMC (Parallel Model Comb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인식 모델을 보상하는 MWF-PMC잡음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PMC 기법은 전처리 단계에서 개선된 음성의 묵음 구간으로부터 잔류 잡음을 취하여 깨끗한 음성을 이용하여 작성한 인식 모델을 보상함으로써 잡음 환경하의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식 실험을 위한 음성 데이터는 국어공학연구소 (KLE)에서 작성한 PBW (Phoneme Balanced Words) 452 단어 음성 데이터를 8 kHz로 다운 샘플링한 후 Subway, Car 및 Exhibition 잡음을 5단계의 신호 대 잡음비 (SNR)를 0, 5, 10, 15, 2003로 부가하여 구성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MWF-PMC 기법이 기존의 결합된 기법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된 인식 성능을 얻어 그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글 단어의 음성 인식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cessing of Speech Recognition Korean Words)

  • 남기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07-41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한글 단어 단위의 음성 인식 처리 기술을 제안한다. 음성 인식은 마이크와 같은 센서를 사용하여 얻은 음향학적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외국어들은 음성 인식에 있어서 어려움이 적은 편이다. 그에 반면, 한글의 모음과 받침 자음 구성이어서 음성 합성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기존 구조의 음성 인식 기술을 개선해야만 보다 정확하게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방식의 음성 인식구조에 새로운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음성 인식률을 높이게 하였다. 먼저 입력된 단어를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결과를 토큰 처리한다. 레벤스테인 거리 알고리즘과 해싱 알고리즘에서 처리된 결과 값을 조합한 후 자음 비교 알고리즘을 거쳐 표준 단어를 출력한다. 최종 결과 단어를 표준화 테이블과 비교하여 존재하면 출력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테이블에 등록하도록 하였다. 실험 환경은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구조는 기존 방식에 비해 인식률의 성능이 표준어는 2%, 방언은 7% 정도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자동차 잡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에 적용된 두 종류의 일반화된 감마분포 기반의 음성추정 알고리즘 비교 (Comparison of Two Speech Estimation Algorithms Based on Generalized-Gamma Distribution Applied to Speech Recognition in Car Noisy Environment)

  • 김형국;이진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8-32
    • /
    • 2009
  • 본 논문은 DFT기반의 단일마이크 음성향상 방식에 적용된 두 종류의 generalized-Gamma 분포기반의 음성추정 알고리즘을 비교한다. 음성향상 방식으로서는 최소잡음성분에 의한 회귀적인 평균스펙트럼 값으로부터 유도되는 잡음 추정을 각각 $\kappa$=1인 경우와 $\kappa$=2인 경우의 Gamma 분포를 이용한 음성추정 기법에 결합하여 음질을 향상시켰다. 각 방식에 의해 향상된 음성신호를 자동차 환경에서의 음성인식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음성인식에서 입술 파라미터 열화에 따른 견인성 연구 (Robustness of Bimodal Speech Recognition on Degradation of Lip Parameter Estimation Performance)

  • 김진영;민소희;최승호
    •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7-33
    • /
    • 2003
  • Bimodal speech recognition based on lip reading has been studi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speech recognition under noisy environments. There are three integration methods of speech and lip modalities as like direct identification, separate identification and dominant recording.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robustness of lip reading methods under the assumption that lip parameters are estimated with errors. We show that the dominant recording approach is more robust than other methods through lip reading experiments.

  • PDF

잡음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향상을 위한 바이너리 마스크를 이용한 스펙트럼 향상 방법 (Method for Spectral Enhancement by Binary Mask for Speech Recognition Enhancement Under Noise Environment)

  • 최갑근;김순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468-474
    • /
    • 2010
  • 음성인식의 실용화에 가장 저해되는 요소는 배경잡음과 채널잡음에 의한 왜곡이다. 일반적으로 배경잡음은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사용 장소의 제약을 받게 한다. DSR (Distributed Speech Recognition) 기반의 음성인식 역시 이와 같은 문제로 성능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듬이 사용되고 있으나 낮은 SNR환경에서 부정확한 잡음추정으로 발생하는 스펙트럼 손상과 잔존 잡음은 음성인식기의 인식환경과 학습 환경의 불일치를 만들게 되어 인식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잡음제거 알고리듬으로 MMSE-STSA 방법을 사용하였고 손상된 스펙트럼을 보상하기 위해 Ideal Binary Mask를 이용하였다. 잡음환경 (SNR 15 ~ 0 dB)에 따른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사용했을 때 향상된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고 향상된 인식성능을 확인했다.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한 음성 인식 오류 보정 (Speech Recognition Error Compensation using MFCC and LPC Feature Extraction Method)

  • 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137-142
    • /
    • 2013
  • 음성 인식 시스템은 부정확한 음성 신호의 입력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인식할 경우 오인식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유사한 음소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가 갖는 특징을 기반으로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 측정을 이용한 음성 인식 오류 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음소 유사율은 학습 모델의 음소에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신뢰도로 측정하였다.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를 측정하여 오인식되는 오류를 최소화하였으며 음성 인식 과정에서 오류로 판명된 음성에 대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98.3%의 인식률과 95.5%의 오류 보정율을 나타내었다.

음성신호를 이용한 감성인식에서의 패턴인식 방법 (The Pattern Recognition Methods for Emotion Recognition with Speech Signal)

  • 박창현;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84-288
    • /
    • 2006
  • In this paper, we apply several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to emotion recognition system with speech signal and compare the results. Firstly, we need emotional speech databases. Also, speech features for emo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on the database analysis step. Secondly, recogni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these speech features. The algorithms we try are artificial neural network, Bayesian learn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BG algorithm. Thereafter, the performance gap of these methods is presented on the experiment result section. Truly, emotion recognition technique is not mature. That is, the emotion feature selection, relevant classification method selection, all these problems are disputable. So, we wish this paper to be a reference for the disputes.

음성신호를 이용한 감성인식에서의 패턴인식 방법 (The Pattern Recognition Methods for Emotion Recognition with Speech Signal)

  • 박창현;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347-350
    • /
    • 2006
  • In this paper, we apply several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to emotion recognition system with speech signal and compare the results. Firstly, we need emotional speech databases. Also, speech features for emo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on the database analysis step. Secondly, recogni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these speech features. The algorithms we try are artificial neural network, Bayesian learn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BG algorithm. Thereafter, the performance gap of these methods is presented on the experiment result section. Truly, emotion recognition technique is not mature. That is, the emotion feature selection, relevant classification method selection, all these problems are disputable. So, we wish this paper to be a reference for the disputes.

  • PDF

주파수 와핑을 이용한 감정에 강인한 음성 인식 학습 방법 (A Training Method for Emotionally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Frequency Warping)

  • 김원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28-5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감정 변화가 음성 신호와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정이 포함되지 않은 평상의 음성으로 학습된 음성 인식 시스템에 감정이 포함된 인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감정에 따른 음성의 차이가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변화에 따라 화자의 성도 길이가 변화한다는 것과 이러한 변화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임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성의 변화를 포함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하여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HMM을 사용한 단독음 인식 실험에서 제안된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감정 데이터의 오차가 기존 방법보다 28.4% 감소되었다.

한국어 음성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사전 구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icient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Korean Vocabulary Recognition)

  • 이상복;최대림;김종교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2년도 11월 학술대회지
    • /
    • pp.41-44
    • /
    • 2002
  •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speech recognition rate using enhanced pronunciation dictionary. Moder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s have pronunciation dictionaries. A pronunciation dictionary provides pronunciation information for each word in the vocabulary in phonemic units, which are modeled in detail by the acoustic models. But in most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Hidden Markov Model, actual pronunciation variations are disregarded. Without the pronunciation variations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the phonetic transcriptions in the dictionary do not match the actual occurrences in the databas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unvoiced rule of semivowel in allophone rules to pronunciation dictionary. Experimental results on speech recognition system give higher performance than existing pronunciation dictiona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