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3초

제주지역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되는 Streptococcus iniae와 Streptococcus parauberis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iniae and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이창훈;김필연;고창식;오덕철;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0
    • /
    • 2007
  • 제주지역 양식 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원인균 Streptococcus iniae 및 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을 시험하였다.온도별 성장 시험결과 S. parauberis 균주는 10℃ 배양조건에서 성장이 이루어졌으나 S. iniae 균주의 경우는 10℃에서는 성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용혈성 시험결과에서는 S. iniae 균주의 경우에만 β용혈성을 나타내었다.생화학적특성 시험결과 acetoin production test (VP test), hippurate hydrolysis test (HIP test)에서는 S. parauberis 균주의 경우에만 양성반응을 보여 두 균주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또한 α-D-glucose, D-mannose, D-psicose, D-trehalose, pyruvatic acid methyl ester, glycerol은 두 균주 모두 기질로 이용하였으나 L-lactic acid는 S. iniae 균주만이 이용하였고, β-methyl-D-glucoside의 경우는 S. parauberis 균주만이 기질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병원성 시험결과, S. iniae는 급성감염 형태를 보인 반면에 S. parauberis는 만성 감염형태를 보임으로써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계약심사제도 효과 및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Effects of the Contract Screening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이동욱;김용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75-86
    • /
    • 2010
  • 계약심사제도는 지방재정 효율화를 위한 사전예산절감 모델로 계약심사제도가 도입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계약심사제도는 발주처에게는 예산절감이라는 측면으로, 업체에게는 예산삭감이라는 측면으로 인식되어 계약심사제도에 대한 상반된 이해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영 중인 계약심사제도가 사전예산절감 모델로서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계약심사자료를 기초로 계약심사제도의 운영현황 분석과 지자체와 업체의 계약심사제도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였다.

RNA-Seq transcriptome 분석을 통한 갈치 광수용체 유전자 탐색 및 mRNA 조직발현 (RNA-Seq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Cutlass Fish Reveals Photoreceptors Gene Expression in Peripheral Tissues)

  • 현지연;김문관;임봉수;변준환;문지성;강형철;허성표;오성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49-158
    • /
    • 2017
  • The opsin family of light sensitive proteins family makes up are the universal photoreceptor molecules of all visual systems in the vertebrates including teleosts. They can change their conformation from a resting state to a signaling state upon light absorption, which activates the G-protein coupled receptor, thereby resulting in a signaling cascade that produces physiological responses. However, this species is poorly characterized at molecular level due to little sequence information available in public databases. We have investigated the opsin family of nocturnal cutlass fish using the whole transcriptome sequencing method. The opsin genes were cloned and its expression in the tissues and organs were examined by qPCR. We cloned 6 opsin genes (RRH, Opn4, Rh1, Rh2, VA-opsin, and Opn3) in retina and brain tissue. It contained the seven presumed transmembrane domain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G-protein-coupled receptor family. However, short wavelength sensitive pigment (SWS) and long wavelength sensitive pigment (LWS) were not detected in this study. The mRNA expression of the 6 photoreceptor genes were detected in retina and peripheral tissue. Our studies will lead to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photic entrainment mechanism at molecular and cellular levels in cutlass fish and can be used in comparative studies of other fishes.

한라산 구상나무 공간적 고사패턴 분석을 통한 고사원인 추정 -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수분 과다 가능성 제안 - (The inference about the cause of death of Korean Fir in Mt. Halla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dying pattern -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excess soil moisture by climate changes -)

  • 안웅산;김대신;윤영석;고석형;김권수;조인숙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 사방향에 분포하는 구상나무 자생지 중 9개 조사구에 대하여 구상나무를 생목과 사목으로 구분하여 도면화하고, 그 밀도와 고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상나무는 조사구 내의 위치에 따라 밀도 및 고사율에 있어 상당한 불균질성을 보였다. 이는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특정 인자가 구상나무 고사를 발생시킬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상나무 밀도 및 고사율을 토대로 고도, 지형경사, 수계망, 일사량과 경사향 등의 지형적 요인과 구상나무 고사현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구상나무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고사율 또한 증가하였다. 지형경사와 고사율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인지되었으며, 수계망이 미약하게 발달한 완만한 곳에서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사향에 따라 고사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이 인지되었으며, 생목이 우세한 영역이 사목이 우세한 영역에 비해 평균 일사량이 많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한라산 구상나무는 상대적으로 지형경사가 완만하고, 일사량이 적은 곳에서 많이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경사가 완만할수록 상대적으로 토양수분 함량이 많고, 일사량이 적을수록 증발량이 적어져 토양수분 함량이 많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고려하면, 토양수분 과다가 한라산 구상나무 고사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는 근래의 한반도 및 제주 지역에서 나타나는 강수량 증가, 증발량 감소, 일조시간 감소 등의 일련의 기후변화 현상, 한라산 고도 증가에 따른 강수량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고사율 증가현상, 한라산 아고산지대에서의 식생변화 등의 증거들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번 연구에서 고도 및 지역에 따라 인지되는 구상나무 밀도와 고사율의 변화양상은 향후 구상나무 쇠퇴현상에 대한 수치 모델링 연구에 있어 공간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정사항공영상을 활용하는 개체단위의 수목분포 조사 방법은 향후 장기적 식생변화 연구에 있어 수치적 모니터링 기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초령목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보전지위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Michelia Compressa on Korea)

  • 김종갑;김대신;김수경;정현미;송영기;손성원;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2-19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II 급인 초령목의 자생지에서의 분포와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보전지위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초령목은 흑산도와 제주도에서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4개의 개체군으로 구분되었다. 자생지에서 314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약 45.9%(144개체)가 해발고도 401m~500m 범위에 분포하였다. 수고는 평균 2.7(±4.8)m였으며, 흉고직경은 12.6(±13.9)cm였고 분지는 평균 1.0(±0.5)개로 나타났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은 어미목에서 반경 30m 이내에 54.3%가 분포하였고, 31m~40m 사이에서 25.8%가 분포하였으며, 반경 60m 이내에 대부분(90.1%)이 확인되었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이 일부 성숙목 주변에서도 확인되지 않고, 극히 한정된 지역에서만 출현하는 것은 자생지 환경뿐만 아니라 생육조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령목의 종자 산포는 천연하종과 더불어 조류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천연하종의 범위 이상에서 발견되는 자생지는 조류가 쉴 수 있는 물웅덩이가 근처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초령목의 지역 및 국가수준의 IUCN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범주는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범주에 해당하며 국내 개체군은 "CR B2ab(v); C2a(i); D" 범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자 'Solara' 경삽묘의 육묘기간에 따른 묘소질 및 수경재배에서의 수량 특성 (Effect of Seedling Quality on the Seedling Raising Period of Stem Cutt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Solara' Potatoes in Aeroponics Cultivation)

  • 강형식;김성용;김태균;홍순영;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0-65
    • /
    • 2017
  • 이 시험은 '솔라라'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해 분무경 수경재배에 적합한 묘를 구명하고자 2015년 3월 16일 배양순화묘 등 8처리의 묘를 분무경 베드에 정식하여 정식 후 70, 78일에 각각 생육과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경장은 경삽 15일묘와 배양순화묘가 작은 편이었고 경삽묘의 육묘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생체중도 경삽 40일묘가 주당 122 g으로 가장 무거웠고 무발근묘와 배양순화묘는 가장 가벼웠다. 1차 복지는 경삽 35일묘에서 주당 12.9개로 가장 많았고 2차 복지는 경삽 35일묘, 배양순화묘, 경삽 30일묘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10주당 총괴경수는 배양순화묘가 145개로 많았으나 3~50 g(상품) 괴경수는 경삽 35일묘가 108개로 가장 많았고, 괴경 무게는 경삽 35일묘가 1,947 g으로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경삽 30일묘였다. '솔라라' 품종 수경재배 시에는 경삽한 후 30일~35일(경장 15 cm, 마디 12절) 묘로 정식하는 것이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볏붉은잎 추출물의 돼지 유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Callophyllis japonica-methanol extracts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 from swine)

  • 정진우;정찬우;김정태;양원준;안미정;김병학;김주아;신태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3-359
    • /
    • 2009
  • Interest in marine organisms as potential sources of bioactive agen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red seaweed, Callophyllis (C.) japonica, is abundant in the coastal regions of Jeju Island in South Korea. A previous study shows that C. japonica extracts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ve effects. In this study, an methanol extract of C. japonica was tested whether it has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the bacteria from swin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prepared from the C. japonica using 80 % methanol were tested f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Escherichia (E.) coli (S175), Enterococcus (E.) faecium (ATCC 51558), Salmonella (S.)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S.) aureus (ATCC 25923) by using broth dilution method. All organisms were incubated in brain heart infusion medium containing 1% extract at 0, 4, 8, 12 and 24 hrs. The 3 days-old piglets were fed an experimental diet supplemented with 1% C. japonica for 1 week. And the change of the coliform bacteria in feces were examined after supplement of C. japonica for 1 week. When the inocula containing $10^2{\sim}10^3$CFU/ml of each organism were used the extracts of C. japonica showed various degrees of antibacterial effects on all bacteria tested. The CFU value ($6.3\times10^8$CFU/ml) of C. japonica for E. coli was decreased 30%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s ($9.0\times10^8$CFU/ml) after 8 hrs incubation. The proliferation rate of E. faecium was inhibited about 68% at 4 hrs, 81% at 8 hrs and 76% at 12 hrs after incubation, respectively. The proliferation rate of S. Typhimurium was inhibited about 96% at 4 hrs, 90% at 8 hrs and 72% at 12 hrs after incubation with extracts of C. japonica. The proliferation rate of S. aureus was inhibited more than 90% each time courses. Conclusively, a red seaweed extract of C. japonica was found to be effective against a number of gram negative and gram positive bacteria such as E. coli, E. faecium, S. Typhimurium, and S. aureus. The number of coliform bacteria was increased in the 1% C. japonica-treated group,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This result suggests that C. japonica extracts be add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The precise mechanism of antibacterial effects and its application on swine industry remains to be further studied.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수거 시스템 환경교육 인식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Recognition Effect of Smart Collection System Environmental Education for Jeju Residents)

  • 유혜영;이미영;박정관;문미성;김기홍;신재현;이동엽;정새봄;정다위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85-99
    • /
    • 2022
  • 최근 환경문제가 심각해진 상황에서, 제주도에서는 제주시 용담1동을 대상으로 클린하우스에 스마트 수거시스템(폐기물 중량제 수거 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기계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많은 고령층의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교육을 실시하여 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환경교육 인식효과에 대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와 관련한 정책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 및 성취도 평가에서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대부분의 도민들이 추가적인 교육과 홍보를 필요로 하고있다.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 가능한 강사 양성을 통해 강사 수를 늘리고 전문성을 높이도록 지원해야 하며, 홍보를 강화하고 정보 공유 및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도민들의 실제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과정이 중요하다. 또한, 교육과 홍보를 유지하기 위해 지자체의 예산 확보가 중요하며, 지역 전문가들의 재능기부사업과 연계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제주지역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연쇄구균병 원인체의 분리특성과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혈청형 변화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agent of Streptococcosis and Serotype Changes of Streptococcus parauberis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김경욱;유은호;양혜영;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9-125
    • /
    • 2020
  •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제주지역 양식 넙치로 부터 연쇄구균 470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multiplex PCR방법을 이용한 종 동정결과 S. iniae가 92균주(19.6%), S. parauberis가 378균주(80.4%)로 조사되었다. 연도별 경향을 보면 2003년에는 S. iniae와 S. parauberis 분리비율이 각각 56.9%와 43.1%로 조사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S. iniae의 분리율이 감소하고 S. parauberis 분리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5년부터는 전체 분리주가 모두 S. parauberis로 확인되었다. S. parauberis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하여 PCR을 통한 serotype 분석 결과 subserotype Ia 34.9%, subserotype Ib/Ic 46.3%, serotype II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S. parauberis에 대한 serotype 분포변화 조사 결과에서는 2003년과 2004년에는 serotype II가 각각 59.1%, 50.0%로 가장 많았으나, 2005년부터 2009년 사이에는 subserotype Ib/Ic가 가장 많았으며(각각 57.6%, 86.0%, 84.6%, 57.9%, 83.3%), 2010년부터 이후에는 2015년을 제외하고는 subserotype Ia가 가장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고, 최근 3년(2018년부터 2020년)동안을 보면 subserotype Ia가 가장 많은 약 70% 내외이며, subserotype Ib/Ic가 약 16~30%, serotype II는 2018년에는 분리되지 않았으나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3.4%와 16.7%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넙치의 연쇄구균병은 성어에 발생하여 큰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연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LED 색광에 대한 갈치의 행동반응 (Behavioral reaction of hairtail (Trichinus lepturus) to different colors of LED light)

  • 김문관;안영일;박수현;오태철;강형철;박용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3호
    • /
    • pp.183-190
    • /
    • 2016
  •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action of hairtail, Trichinus lepturus to the colors of LED light as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rolling gear and a method to enable the day-night operation. We used hairtails caught around Seongsan-po, Jeju Island by set nets and hairtail angling. The seven hairtails of the average length 68.9 cm (SD 9.2 cm) and the average weight 135.9 g (SD 47.9 g) were adapted themselves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15 m Self-Governing 1.7 m in height and 1.5 m in depth, and then they were studied. We conducted experiment at the Ocean 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between 16.5 and $19.5^{\circ}C$. The four colors of LED light, blue, white, green and red, were set up to transmit downward from the marginal area of tank. The 1 meter depth light intensity of LED colors is as follows: $0.09w/m^2/s$ (blue), $0.18w/m^2/s$ (white), $0.04w/m^2/s$ (green) and $0.007w/m^2/s$(red) To know the optimum LED color light, we selected one with better reaction rate after comparison of two colors simultaneously and the selected color was again compared to the other color in a tournament style two times a day (day and night) and ten times totally. The reaction rates were shown as the frequencies of hairtail appearance for 5 minutes in the lighting zone after turning on the LED lights. The reaction rate of the blue was at 97% unlike the red 3% (p < 0.001). The blue was at 75% unlike the green at 25% (p < 0.001). The blue was at 67% unlike the white at 33% (p < 0.001). Therefore, the color of light source showing the highest reaction rate was the b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