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 cultivatio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상자에 필터처리에 따른 표고 신품종 '화담'의 재배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ing-body Productivity of New Variety 'Hwadam'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Filter Treatment in Boxes)

  • 김정한;강영주;백일선;신복음;하태문;정구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5-102
    • /
    • 2020
  • 표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상자재배를 실시하고 필터처리에 따른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기간에 따른 상자내부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하여 18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여 필터4구가 25.8℃, 필터2구가 23.7℃, 무필터구가 23.0℃로 필터수가 많을수록 온도상승이 크게 일어났다. 상자내부 CO2 농도는 온도 변화와 같은 패턴으로 배양 기간이 경과에 따라 증가하다 배양 24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무필터구가 17.2%, 필터2구가 14.9%, 필터4구가 14.4%로 필터수가 많을수록 CO2농도는 낮았다. O2농도는 배양21일째 최저치에 도달하였는데 무필터구 5.4%, 필터2구가 8.2%, 필터4구가 8.9%로 필터수가 많을수록 O2농도도 높았다. 재배특성은 처리구와 상관없이 배양기간은 34일, 갈변기간은 57일 이었으며, 재배기간은 무필터구가 108-111일, 필터2구가 105-111, 필터4구가 102-111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봉지재배의 110일과 유사하였다. 필터 처리에 상자재배의 3주기 수량성은 필터4구가 2,228 g, 필터2구가 1,880 g으로 무필터구의 894g에 비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3kg 봉지재배와 비교시 필터4구 상자재배의 생물학적 효율이 70.7%로 봉지 재배 41.3%보다 29.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볏짚버섯속(Agrocybe) 보존균주의 여름철 인공재배시 재배 및 형태적 특성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of genus Agrocybe on Artificial Cultivation in Summer)

  • 정종천;석동권;김승환;전창성;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2009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 보존하고 있는 볏짚버섯속(Agrocybe ) 30균주에 대하여 버섯발생 실험을 실시하고,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볏짚버섯속 균주중 톱밥배지를 사용한 병재배에서 자실체가 발생된 것은 19균주 이었다. 이중 ASI 19007 등 13균주(I; A. chaxingu )와, ASI 19003 등 5균주(II; A. cylindracea ), ASI 19008(III; Agrocybe sp.)로 그룹 지어졌는데, ASI 19008은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등 재배적 특성과 자실체의 형태적 특징이 다른 2그룹과 차이가 많았다. 또한 재배 계절에 따라 재배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봄, 가을, 겨울에는 ASI 19003 균주가, 여름에는 ASI 19007 균주가 수량이 많고 품질도 좋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계절에 알맞은 품종의 선택을 통하여 볏짚버섯속균의 연중 안정생산이 가능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석회유황합제를 이용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친환경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Pear Scab and Rust Using Lime Sulfur)

  • 차주훈;김경희;최으뜸;송장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18
  • 배를 유기재배하는 과원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에 따른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행재배와 비교 검정하였다.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10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는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잎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해 4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석회유황합제만을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강우 전후에 8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도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과실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에 대해 3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배 유기재배시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시기를 조절하는 친환경방제로 주요 병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Phellinus gilvus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gilvus)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0
    • /
    • 2000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s)은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본초도감에서는 비장강화, 위장활성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한다. 온도별 배양결과 $30^{\circ}C$에서 69 mm/14일(PDA배지) $25^{\circ}C$에서는 42 mm/14일(PDA배지)로 나타났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와 MCM 배지에서 38 mm/14일, 34 mm/14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pH\;6{\sim}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참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4 mm/14일 정도였으나 소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7 mm/14일 정도로 참나무추출물배지에 비해서 매우 느렸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5:5)과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미강(4.5:4.5:1) 등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20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100%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90일 정도였다. 자실체 수량은 참나무원목에서 180 g, 소나무원목에서 29 g, 사과나무에서는 150 g 정도로 나타났으며 생체수율은 각각 24%, 9%, 15% 정도였다.

  • PDF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A Comprehensive Review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 Subbiah, Krishnamoorthy Akkanna;Balan, Venkatesh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184-194
    • /
    • 2015
  • A compressive description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var. APK2) is provided in this review. This mushroom variety was first identified in the eastern Indian state of West Bengal and can be cultivated on a wide variety of substrates, at a high temperature range ($30{\sim}38^{\circ}C$). However, no commercial cultivation was made until 1998. Krishnamoorthy 1997 rediscovered the fungus from Tamil Nadu, India and standardized the commercial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is edible mushroom has a long shelf life (5~7 day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counterpart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n physiologic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viz., pH, temperature, carbon to nitrogen ratio, best carbon source, best nitrogen source, growth period, growth promoters for mycelia biomass production; substrate preparation; spawn inoculation; different supplementation and casing requirements to increase the yield of mushrooms has been outlined. Innovative and inexpensive methods developed to commercially cultivate milky white mushrooms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biomass is also described in this review. The composition profiles of milky white mushroom, its mineral content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tioxidant assay results using methanol extract of milky white mushroom has been provided alo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ounds that are responsible for flavor profile both in fresh and dry mushrooms. Milky white mushroom extracts are known to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 and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 The advantage of growing at elevated temperature creates newer avenues to explore milky white mushroom cultivation economicall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humid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s. Because of its incomparable productivity and shelf life to any other cultivated mushrooms in the world, milky white mushroom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growing market demands for edible mushrooms in the near future.

Present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mushrooms in Korea

  • Jang, Kab-Yeul;Oh, Youn-Lee;Oh, Minji;Im, Ji-Hoon;Lee, Seul-Ki;Kong, Won-Si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27-27
    • /
    • 2018
  • The production scale of mushroom cultivation in Korea is approximately 600 billion won, which is 1.6% of the Korean gross agricultural output. Annually, ca. 190,000 tons of mushrooms are harvested in Korea. Although the numbers of mushroom farms and cultivators are constantly decreasing, the total mushroom yields are increasing due to the large-scale cultivation facilities and automa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well-being trend causes increase in mushroom consumption in Korea: annual per capita consumption of mushroom was 3.9kg ('13) that is a little higher than European's average. Thus the exports of mushrooms, mainly Flammulina velutipes and Pleurotus ostreatus,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middle of 2000s. Recently, however, it is slightly reduced. However, Vietnam, Hong Kong, the United States, the Netherlands and continued to export, and the country has increased recently been exported to Australia, Canada, Southeast Asia and so on. Canned foods of Agaricus bisporus was the first exports of the Korean mushroom industry. This business has reached the peak of the sale in 1977-1978. As Korea initiated trade with China in 1980, the international prices of mushrooms were sharply fall that led to shrink the domestic markets. According to the high demand to develop new items to substitute for A. bisporus,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was received the attention since it seems to suit the taste of Korean consumers. Although log cultiv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in the early 1970s for oyster mushroom, this method requires a great deal of labor. Thus we developed shelf cultivation technique which is easier to manage and allows the mass production. In this technique, the growing shelf is manly made from fermented rice straw, that is the unique P. ostreatus medium in the world, was used only in South Korea. After then, the use of cotton wastes as an additional material of medium, the productivity. Currently it is developing a standard cultivation techniques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that can stably produce mushrooms throughout the year. The increase of oyster mushroom production may activate the domestic market and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In addition, oyster 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has a role in forming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bottle cultivation. Developed mushroom cultivation technology using bottles made possible the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bottle cultivation method using a liquid spawn can be an opportunity to export the F.velutipes and P.eryngii. In addition, the white varieties of F.velutipes were second developed in the world after Japan. We also developed the new A.bisporus cultivar "Sae-ah" that is easy to grown in Korea. To lead the mushroom industry, we will continue to develop the cultivars with a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o improve the cultivation techniques. Mushroom research in Korea nowadays focuses on analysis of mushroom genetics in combination with development of new mushroom varieties, mushroom physiology and cultivation. Further studied are environmental factors for cultivation, disease contro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ushroom substrate resources, post-harvest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marketable traits. Finally, the RDA manages the collection, classification, identification and preservation of mushroom resources. To keep up with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in agricultural research the genome project of various mushrooms and the draft of the genetic map has just been completed. A broad range of future studies based on this project is anticipated. The mushroom industry in Korea continually grows and its productivity rapidly increa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ushrooms cultivars and automated plastic bottle cultivation. Consumption of medicinal mushrooms like Ga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is also increasing strongly. Recently, busines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was suffering under over-production and problems in distribution. Fortunately, expansion of the mushroom export helped ease the negative effects for the mushroom industry.

  • PDF

느티만가닥버섯의 신품종에 대한 endo-, exo-cellular 효소 활성도의 비교 (Comparison of Endo-, Exo-Cellular Enzyme Activity for New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 이창윤;송호성;노현수;우주리;유영현;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37-843
    • /
    • 2012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느티만가닥버섯의 6개 품종에 대한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endo-, exo-cellular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국내 야생종인 Hm3-10과 일본 재배종인 Hm1-1과의 단핵균사 교배를 통하여 343개의 교배 균주를 획득하여 재배를 실시하여 58개 균주를 1차 선발하고 2차로 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6개 선발 균주를 대상으로 배양 일수 별로 재배를 실시한 결과 배양일수가 80일 이상에서는 재배일수가 19~20일로 단축되어 최적 배양일수를 80일로 결정하였다. 80일 배양일수에서 각 품종별 형태적 특성을 검증한 결과 Hm15-3, Hm15-4, Hm17-5의 3균주가 재배에 적합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각 균주의 endo-cellular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효소 활성도가 73.9~102,2 unit/mg protein으로 가장 높았으며, chitinase 의 효소 활성도가 8.1~13.1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다. Exo-cellular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효소 활성도가 5,292~1,184 unit/mg protein으로 가장 높았으며, CMCase와 Xylanase의 효소 활성도가 각각 1,140~245 unit/mg protein, 94~575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beta}$-glucosidase와 chitinase의 활성도는 비교적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인도산(印度産) 참나무(Quercus incana)를 이용한 표고재배(栽培)의 가능성(可能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ossidility of Oak Mushroom(Shiitake) Cultivation on Ban Oak (Quercus incana) of India)

  • 이응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6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인도(印度) Simla지방(地方)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참나무 Ban oak(Q. incana)의 표고재배별용(栽培利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였다. 표고 균멱(菌)의 活着과 發育 및 자실체(子實體)의 발생상황(發生狀況)을 관찰(觀察)하고 원목성분(原木成分)을 한국(韓國)의 졸참나무(Q. Serrata)와 비교(比較)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Q. incana는 Q. serrat에 비(比)하여 Alcohol-Benzen extract. NaOH extract 및 Ash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았으나 cellulose pentosan은 적었다. 2. Q. incana를 이용(利用)한 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Q. serrata보다 신장속도(伸長速度)는 늦으나 균멱(菌)가 세밀하게 발육(發育)하였다. 3. 원목(原木)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실내시험(室內試驗)이나 야외시험(野外試驗) 공(共)히 Q. serrate가 빨랐으며 균멱(菌)의 활착량(活着率)은 두 수종간(樹種間)에 차이(差異)가 없고 양호(良好)하였다. 4. 원본(原本)에 종균접종후(種菌接種後) 16개월(個月)만에 Ban oak(Q. incana) 및 졸참나무(Q. serrata)에서 전대에서 첫 버섯이 발생(發生)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Ban oak(Q. incana)를 이용(利用)한 표고재배(栽培)는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잣버섯 신품종 『곤지10호』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variety 『Gonji10ho』 in Neolentinus lepideus)

  • 전대훈;장명준;하태문;이윤혜;최종인;주영철;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9-253
    • /
    • 2013
  • 잣버섯의 다수성 신품종 개발을 위하여, 단포자교잡에 의해 육성된 신품종 '곤지10호'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9^{\circ}C$, 버섯 발생 및 생육온도는 $20{\pm}1^{\circ}C$로 대조품종과 같았으며, 균사 활력도 대조품종과 비슷하였다. 갓형태는 반반구형이며, Hunter 색체값으로 볼 때 갓색은 L 79.3, b 24.8, 대색은 L 84.3, b 10.9로, 갓색에 있어서 대조품종에 비하여 황색도가 더 높았다. 미송톱밥+옥분(90:10, v/v)배지로 병재배 시 배양일수는 $22{\pm}1^{\circ}C$에서 35일, 발이일수와 자실체생육일수는 $20{\pm}1^{\circ}C$에서 15일과 12일로 재배일수는 62일이 되어 대조품종보다 2일 길었다. 자실체 생육 특성은 대조품종에 비하여 갓두께는 6.3 mm로 두꺼웠으며, 유효경수는 3.5개로 적었고 대 직경은 21.6 mm로 굵었다. 재배접종 후 배양 및 생육 중 푸른곰팡이병(Trichoderma spp.) 발생율은 4.9%로 대조품종보다 낮았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 결과 병재배 시 900 ml병당 69.6 g, 봉지재배 시 1 kg봉지당 114.2 g으로 대조품종 대비 38%와 10%씩 많았다. 자실체 물리성에서 갓의 강도와 취성이 대조품종보다 강했고, 저장성은 판매가능기간으로 볼 때 34일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5일 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