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cheme

검색결과 983건 처리시간 0.038초

지리 정보 데이타베이스에서 대용량의 공간 객체를 위한 저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orage Management for Large Spatial Objects in Geographic Database Systems)

  • 황병연;김병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GIS(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간 객체를 위한 색인 방법에 대해 과거의 연구를 토대로 해서 7개의 클래스로 분류를 해보고 이로부터 새로이 제안하는 색인 방법인 MAX(Multi-Attribute indexing scheme)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MAX의 여러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제시한다. 이미 성능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시스템에 구현한다면 상당한 성능을 가진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MAX는 이 기법이 가지는 B 트리의 확장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 PDF

2차원 사각 밀폐 공간에서의 구분 종좌표법을 위한 하이브리드 공간 차분법 (A Hybrid Spatial Differencing Scheme for Discrete Ordinates Method in 2D Rectangular Enclosures)

  • 김일경;김우승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1호
    • /
    • pp.104-113
    • /
    • 1999
  • A hybrid spatial differencing scheme for the discrete ordinates method is proposed to predict radiative heat transfer in two-dimensional rectangular enclosures. Since this scheme takes the advantages of the diamond scheme and step scheme and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um, more accurate and stable results can be obtained. In its development several spatial differencing schemes are examined to address the effect of numerical smearing (or false scattering). Predictions from the proposed hybrid scheme are compared to those of other schemes for transparent, purely absorbing, purely scattering, or absorbing-emitting-isotropically scattering media.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scheme predicts stable and less smeared results than others.

Generalized Distributed Multiple Turbo Coded Cooperative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 Jiangli Zeng;Sanya Liu;Hui W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3호
    • /
    • pp.999-1021
    • /
    • 2023
  •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uses the antenna index to transmit information, which improves the spectral efficiency, and completely bypasses any channel side information in the recommended setting. A generalized distributed multiple turbo coded-cooperative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based on distributed multiple turbo code is put forward and its performances in Rayleigh fading channels is analyzed. The generalized distributed multiple turbo coded-cooperative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scheme is a coded-cooperation communication scheme, in which we proposed a new joint parallel iterative decoding method. Moreover, the code matched interleaver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choice for the generalized multiple turbo coded-cooperative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schemes, which is the key factor of turbo code. Monte Carlo simulated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operative differential spatial modulation scheme is better than the corresponding non-cooperative scheme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in multiple input and output communication system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de matched interleaver scheme gets a better diversity gain as compared to the random interleaver.

UHDTV 방송을 위한 공간 변조 다중 안테나 시스템 수신 성능 분석 (Analysis of Spatial Modulation MIMO Reception Performance for UHDTV Broadcasting)

  • 박명철;한동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37-84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대용량 전송을 위하여 SM(spatial modulation) 기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심벌 간 간섭과 공간적 채널 상관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법이 필요하다. SM 기법은 다중 송신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심벌 간 간섭의 영향을 줄이지만 공간적 채널 상관도의 영향은 해결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STBC(space-time block code) 기법을 SM 기법과 결합한 STBC-SM(space-time block coded spatial modulation) 기법이 있다. 그러나 STBC-SM은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에 대해 동일한 안테나 조합이 사용되어 정보량이 반으로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DSTTD-SM(double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with spatial modulation) 기법은 안테나 조합을 적용하면서 다중 안테나를 모두 사용한다. 이러한 SM 기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상파 방송과 유사한 채널 환경인 SUI 채널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한다.

A Simple Spatial Scheme for Adaptive Antennas in CDMA Systems

  • Su, Pham-Van;Tuan, Le-Minh;Giwan Yoo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20-322
    • /
    • 2002
  • A new simple spatial scheme for base station with adaptive antenna in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systems is presented. In the proposed scheme, by applying the new spatial structure lot the receiver, the system can debate the problem of which the number of users exceeds the number of adaptive antenna elements existing in the conventional spatial scheme. An adaptive algorithm based on the Mean Square Error (MSE) criterion is also derived to update the weight matrix of the proposed scheme. The results of the system capacity enhancement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proposed approach. Numerical simulations are included fer illustration and verification.

  • PDF

Image Description and Matching Scheme Using Synthetic Features for Recommendation Service

  • Yang, Won-Keun;Cho, A-Young;Oh, Weon-Geun;Jeong, Dong-Seok
    • ETRI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589-599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n image description and matching scheme using synthetic features for a recommendation service. The recommendation service is an example of smart search because it offers something before a user's request. In the proposed extraction scheme, an image is described by synthesized spatial and statistical features. The spatial feature is designed to increase the discriminability by reflecting delicate variations. The statistical feature is designed to increase the robustness by absorbing small variations. For extracting spatial features, we partition the image into concentric circles and extract four characteristics using a spatial relation. To extract statistical features, we adapt three transforms into the image and compose a 3D histogram as the final statistical feature. The matching schemes are designed hierarchically using the proposed spatial and statistical features. The result shows that each feature is better than the compared algorithms that use spatial or statistical features. Additionally, if we adapt the proposed whole extraction and matching scheme, the overall performance will become 98.44% in terms of the correct search ratio.

셀룰러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전송 효율 증대를 위한 적응적 송수신 방안 (An Adaptiv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cheme for Spectral Efficiency Improvement of Multiple Antenna Systems in Cellular Environments)

  • 진귀언;김성민;장재원;성원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6C호
    • /
    • pp.429-437
    • /
    • 2008
  • 셀룰러 환경에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중 안테나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시스템은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SM) 기법과 공간 다이버시티 (spatial diversity) 기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MIMO 시스템은 셀룰러 환경에서 단말기가 셀 경계로 이동할수록 인접 셀로부터 오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받게 되어 심각한 성능 열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MIMO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채널 환경에 적합한 송신 기법과 함께 셀 경계에서의 인접 셀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신 기법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_T$개의 송신 안테나와 $M_R$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하향 링크 MIMO 시스템의 전송 효율 증대를 위하여 채널 환경에 따라 공간 다중화 및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적응적 송신 방법을 사용하곡 공간 다이버시티가 적용될 경우 MRC (maximal ratio combining) 기법과 ISD (intercell spatial demultiplexing) 기법을 적응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선택 기준과, 적응적인 송수신 방식 적용시의 성능 이득을 산출한다. 단말기가 기지국 근처에 위치하여 높은 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을 가질 경우에는 공간 다중화를 이용한 송신 기법과 함께 SD (spatial demultiplexing) 수신 기법을 사용하고, 셀 경계와 같이 낮은 SIR을 가질 경우에는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송신 기법과 함께 기존의 MRC 수신 방식과 $M_R-1$개의 인접 셀 간섭 신호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는 ISD 수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송수신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M_R{\times}M_T$ MIMO 시스템에서 각각의 송수신 방식에 따른 수신 신호의 유효 신호 대 간섭 비의 확률 밀도 함수를 유도하곡 이를 활용하여 평균 유효 신호 대 간섭 비와 전송 효율을 산출하며, 모의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다.

MIMO-OFDM 시스템에서 효율성을 위한 분할 검출 기법 (An Efficient Partial Detection Scheme for MIMO-OFDM Systems)

  • 강성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9호
    • /
    • pp.1722-1724
    • /
    • 2015
  • 본 논문은 MIMO-OFDM 시스템에서 복잡도와 검출 성능의 관점에서 효율성을 위하여, QRD-M과 DFE 및 반복 검출을 통한 분할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공간 스트림에 따라 다른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검출한다. 제안된 기법에서 낮은 복잡도를 요구하는 공간 스트림에서는 높은 복잡도와 높은 검출 성능을 가지는 QRD-M을 사용하고 높은 복잡도를 요구하는 공간 스트림에서는 낮은 복잡도와 낮은 검출 성능을 가지는 DFE를 사용한다. 또한 DFE가 사용된 공간 스트림에 대해서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복 검출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은 비록 기존의 기법보다 증가된 복잡도를 가지지만, 검출 성능을 월등히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Spatial Reuse in IEEE 802.11ax: Whether and How to Use in Practice

  • Zhu, Deqing;Luan, Shenj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2호
    • /
    • pp.4617-4632
    • /
    • 2021
  • IEEE 802.11ax is a protocol being developed for high-density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Several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level of spatial reuse applied in IEEE 802.11ax. However, these algorithms are tentative and do not specify how to select the transmit power and carrier sense threshold in practice; It is unclear when and why the tuned parameters lead to better network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restricted the scale of transmit power tuning to prevent the case of backfire in which spatial reuse will result in transmission failure. If the restrictions cannot be satisfied, spatial reuse will be abandoned. This is why we named the proposed scheme as Arbitration based Spatial Reuse (ASR). We quantified the network performance after spatial reuse, and formulate a corresponding maximum problem whose solution is the optimal carrier sense threshold and transmit power. We verified our theoretical analysis by simulation and compared it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show that ASR improves the throughput up to 8.6% compared with 802.11ax. ASR can avoid failure of spatial reuse, while the spatial reuse failure rate of existing schemes can up to 36%. To use the ASR scheme in practice, we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optimal carrier sense threshold and transmit power. Based on the relations got from ASR, the proposed Relation based Spatial Reuse (RSR) scheme can get a satisfactory performance by using only the interference perceived and the previously found relations.

FFT를 이용한 스마트 안테나 수신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of spatial FFT based smart antenna receiver system)

  • 이하영;안재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33-36
    • /
    • 2002
  • A new smart antenna scheme based on spatial FFT is proposed. By combining the output of spatial FFT, the proposed structure shows similar performance gain compared to ordinary smart antenna systems. Moreover. the proposed scheme could be easily integrated to general receiver without beam focusing module. The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s of proposed scheme are comparable to ordinary smart antenna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