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검색결과 11,833건 처리시간 0.031초

달맞이꽃 발효액 첨가 양념 돈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with Fermented Oenothera biennis Juice)

  • 안유복;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10-1016
    • /
    • 2016
  • 달맞이꽃 발효액을 식품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달맞이꽃 발효액 5%(5-SP, seasoned pork), 10%(10-SP), 15%(15-SP)를 첨가한 소스로 제조한 양념 돈육을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저장초기 6.09에서 대조구와 5-SP, 10-SP, 15-SP 등 모든 시험구에서 저장 6일 이후부터 감소하여 저장 15일째 pH 4.83~4.90 범위를 나타내었다. 산도는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6일 이후부터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저장 9일째 대조구 $10^7CFU/g$보다 5-SP와 10-SP는 $10^5CFU/g$을 나타내어 약 1~2 log cycle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은 저장 초기 7.70 mg%에서 저장 12일째에 대조구 17.65 mg%, 5-SP 12.61 mg%, 10-SP 12.62 mg%를 나타내었다. 가열 감량은 저장 15일째 대조구 44.98%, 5-SP, 10-SP는 각각 37.66%, 38.59%로 달맞이꽃 발효액 첨가 소스로 처리한 양념 돈육이 우수하였다. 적색도는 달맞이꽃 발효액 첨가 소스로 제조한 양념 돈육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맛, 색, 풍미, 종합적 기호도에서 5-SP가 각각 4.00, 4.00, 3.91, 4.09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분열효모에서 spNab2 유전자의 결실돌연변이 및 과발현에 대한 분석 (Effects of spNab2 Deletion and Over-Expression on mRNA Export)

  • 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0-305
    • /
    • 2009
  • mRNA의 3' 말단형성 뿐만 아니라, 성숙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출아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폴리(A)-RNA 결합단백질인 Nab2와 유사한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spNab2로 명명)의 결실돌연변이주(deletion mutant)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인 S. pombe 균주에 하나의 spNab2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tetrad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S. cerevisiae NAB2와는 다르게 이 유전자는 생장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spNab2 결실돌연변이는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도 정상적으로 보였다. spNab2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티아민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강력한 프러모터를 이용하여 spNab2를 과발현시켰다. spNab2 유전자가 과발현되면, 세포의 생장이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폴리(A)-RNA가 핵 안에 축적되고 세포질에서는 줄어들었다. 또한 GFP 융합단백질을 이용하여 spNab2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를 관찰한 결과, spNab2-GFP는 주로 핵 안에 존재하였지만 세포질에서도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Nab2 유전자 역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에 기생하는 포자충류에 관한 연구 Ⅱ (A study on Actinosporeans parasitized inBranchiura sowerbyi (Oligochaeta : Annelida) Ⅱ)

  • 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1
    • /
    • 2004
  •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군산 소재 대위저수지와 전북 완주 소재 양어장 배수로의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를 조사한 바, 한국 미기록종인 2종의 방선포자충 Raabeia sp.와 Triactinomyxon sp.가 각각 1종씩 검출되었다. 검출된 방선포자충은 각각 Raabeia sp. E와 Triactinomyxon sp. F로 기재하였고, 그 기생률은 아가미지렁이 총 200마리중에서 14%인 28마리가 기생되었고, 이 중 Raabeia sp. E는 13.5% (27마리), Triactinomyxon sp. F는 0.5% (1마리) 이었다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의 Protease 생산 및 특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ase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 심창환;정광선;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9-64
    • /
    • 1994
  • The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pH conditions.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showed the maximum activity of protease at 60 hours(70 units/ml) AND 96 houre(50 units/ml) cultivation, respectively, under the alkaline condition(pH 10.2). However, Bacillus sp. SH-8M exhibited the maximum activities in 8 days cultivation at pH 6.9 and in 6 days cultivation at pH 7.7 Bacillus sp. SH-8M showed the protease activity at the pH change from alkaline to neutral condition, whereas Bacillus sp. SH-8 did not. In addition. all the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were similar with the regardless of different pH conditions.

  • PDF

Copepods of the genus Asterocheres Boeck, 1859 (Siphonostomatoida: Asterocheridae) from Korean waters

  • Il-Hoi Kim;Taekjun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85-254
    • /
    • 2024
  • Sixteen species of Asterochere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s of Korea are recorded. Two species are redescriptions-Asterocheres aesthetes Ho, 1984 and A. siphonatus Giesbrecht, 1897. The remaining 14 new species described are A. geminus n. sp., A. processus n. sp., A. culicis n. sp., A. eurychelatus n. sp., A. scutellatus n. sp., A. spiniventer n. sp., A. fici n. sp., A. serratus n. sp., A. tridentatus n. sp., A. nodulosus n. sp., A. tetraodontis n. sp., A. dokdoicus n. sp., A. exilis n. sp., and A. zodius n. sp. These new species are compared with other known species of the genus mainly based on the character states of 17 selected characters. These characters include the length/width ratios of the caudal ramus and genital double-somite, the number of postgenital lateral setules or spinules on the genital double-somite of the female,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antennule of both sexes, the position of aesthetasc on antennular segments in the female, the relative length of terminal claw of the antenna, the relative length of the oral siphon, the number of segments and the relative length of the mandibular palp,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ner coxal seta on legs 1 and 4, the relative lengths of setae on the exopod of female leg 5,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xual dimorphisms of swimming leg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condary aesthetasc on the male antennule. A key to 22 species of Asterocheres known in Korea waters is provided.

혼효림으로부터 셀룰로오스분해 박테리아 분리 및 효소학적 특성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lytic bacteria, Bacillus sp. EFL1, EFL2, and EFP3 from the mixed forest)

  • 박화랑;오기철;김봉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59-67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소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학술림에서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CMCase와 xylanase를 생산하는 3개의 Bacillus종을 분리하였다. API kit 분석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3개의 균 모두 Bacillus종에 속하였으며, Bacillus sp. EFL1, EFL2, EFP3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EFL1, EFL2, EFP3의 최적 생장온도는 $37^{\circ}C$였으며, CMCase와 xylanase의 활성은 배양 후 12시간에 최고에 달하였다. Bacillus sp. EFL1의 CMC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 6.0이었다. Bacillus sp. EFL2의 CMCase활성의 최적온도는 $6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60^{\circ}C$였고, pH 3.0-9.0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p. EFP3의 CMCase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 4.0이었다. Bacillus sp. EFL1, EFL2, EFP3의 CMCase는 모두 온도안정성이 낮았다. 또한 Bacillus sp. EFL1과 EFP3의 xylanase 역시 온도안정성이 낮았지만, Bacillus sp. EFL2의 xylanase는 온도안정성이 높았다.

Substance P-related peptide들과 유도체의 구조 및 혈관이완 활성 (Structure and Arterial Relaxing Activity of Substance P-related Peptides and Substance P analogs)

  • 김은정;김찬희;고혜진;김인혜;안상현;손희영;박희연;윤호동;장영채;홍용기;박남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43-147
    • /
    • 2005
  •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was performed using the five substance P-related peptides (SPRPs) [mammalian-SP (M-SP), cod-SP (C-SP), trout-SP (T-SP), lungfish-SP (L-SP) and Ranakinin] and four SP analogs [[$His^5$]-SP (5H-SP), [$Gly^5$]-SP (5G-SP), ($Ile^8$)-SP (8I-SP) and ($Trp^8$)-Ranakinin (8W-Ranakinin)]. The circular dichroism (CD) spectra showed that all of the peptides took an unordered structure in buffer solution and artificial liposomes. However, 8W-Ranakinin undergoes conformational changes by being transferred into neutral and acidic liposomes from an unordered structure to more ordered structure. The arterial relaxing effect of the peptides was also studied with guinea-pig aorta (GPA), As a result of the studies, L-SP was about 14-fold more potant than M-SP. The order of potency compared to $EC_{50}$ value was $L-SP{\gg}M-SP>5G-SP{\ge}8I-SP>5H-SP>T-SP$, C-SP, Ranakinin, 8W-Ranakinin.

제지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분리 및 복합 미생물제제의 개발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 강대욱;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4-560
    • /
    • 2011
  • 제지폐수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처리와 폐수특성에 적합한 미생물제제의 개발을 위하여 토양 및 산업폐수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에 분해활성이 높은 KN11, KN13 및 KN27 균주와 세포 외 섬유소 가수분해효소 생산 균주 GT21 등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분류를 통해 이들 분리주 KN11, KN13, KN27 및 GT21 등은 Acinetobacter sp., Neisseria sp., Bacillus sp., Pseudomonas sp.와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적으로 각각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KN13, Bacillus sp. KN27, Pseudomonas sp. GT21로 명명하였다. 제지폐수 중 난분해성 물질과 COD 증가원인 물질을 분석하고자 GC/MS를 이용하여 방향족 화합물 및 그 유도체들을 검출하였다. 분리균주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KN13, Bacillus sp. KN27 및 Pseudomonas sp. GT21의 균체로 구성된 미생물제제 J30을 제조하여 제지폐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연구에 사용하였다. 미생물제제 J30의 제지폐수에서 COD 제거를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7.5였으며 배양 60시간에서 최대의 COD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실 규모의 pilot plant에서 미생물제제 J30의 COD 제거효율은 87%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패류 종묘의 대 생산시에 필요한 먹이 생물의 배양에 관한 연구 1. Phaeodactylum, Platymonas 및 Chlorella (THE GROWTH OF FOOD ORGANISMS FOR THE MASS PRODUCTION OF MOLLUSCAN SEEDLINGS 1. Phaeodactylum, Platymonas and Chlorella)

  • 유성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
    • /
    • 1970
  • 1969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사이에 먹이 생물인 해산의 Phaeodactylum tricornutum, Platymonas sp. 및 Chlorella sp. 등의 배양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도기는 Phaeodactylum tricornutum이 가장 잘고 다음이 Platymonas sp., Chlorella sp.의 순서였다. 2. 정치 배양은 유동 배양에 비해 대체로 유도기가 길며 급속 성장기가 짧고 일간 증가량이 현저히 작다. 3. 발육 속도 정수는 Phaeodactylum tricornutum 이 $0.302{\pm}0.028$로서 가장 크고, Chlorella sp.가 $0.226{\pm}0.013$, Platymonas sp..가 $0.151{\pm}0.008$의 순서였다. 4, 3종에 있어 가장 큰 일간 증가량과 일령은 각각 다음 표에서 보는 바와 같다. Phaeodactylum tricornutum 최대 일간 증가량 : 47.5, 일령 : 10 Platymonas sp. 최대 일간 증가량 : 5.6, 일령 : 14, Chlorella sp. 최대 일간 증가량 : 21.1, 일령 : 14 5. 세포수에 대한 침전 세포량은 직선으로서 표시되고, 그 크기 순서는 Phaeodactylum tricornutum, Platymonas sp. 및 Chlorella sp.이며 세포 크기의 순서와 일치한다. 6. 먹이로 사용하는데 알맞는 일령은 Phaeodactylum tricornutum 에서는 12일, Platymonas sp. Chlorella sp.는 각각 16일 내외이다.

  • PDF

복합항생제 SP-102(설박탐.픽페라실린)의 랫드 복강내 투여에 의한 아급성 독성 (Subacute Toxicity of SP-102 (Sulbactam. Piperacilline) in Rat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 서경원;박기숙;신동환;김창옥;한형미;박인원;김효정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권2호
    • /
    • pp.251-261
    • /
    • 1993
  • The subacute toxicity of combined antibiotics, SP-102 (Sulbactam.Piperacilline), was examined in S.D.rats. Four groups of rat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0, 512, 1280 and 3200 mg/kg/day of SP-102 for 30 days. Hain clinical sign related to the compound was soft stool. The body weight gain was slightly decreased in male rats treated with 1280, 3200 mg/kg and in female rats treated with 1280 mg/kg of SP-102. Water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administered with SP-102. There were no dose-related changes of urinalysis, biochemical examination and hematological findings in all the groups treated with SP-102. Gross necrops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no evidence of specific toxicity related to SP-102. Our data indicate that no-observed effect level of SP-102 is below 512 mg/kg in male and female rats. Maximum tolerated dose of SP-102 was estimated to be above 3200 ma/kg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