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검색결과 11,918건 처리시간 0.042초

자연전위의 효율적 측정을 위한 전극의 잡음요소 분석

  • 송성호;권병두
    • 지구물리
    • /
    • 제5권1호
    • /
    • pp.9-18
    • /
    • 2002
  • 자연전위에 대한 환경 잡음요소로 기온, 강수, 토양수분함량 및 지중 온도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시험포장에서 Cu-CuSO₄비분극전극과 구리를 입힌 금속전극(CCE)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실험을 실시하였다. 온도 영향에 대한 실험 결과 Cu-CuSO₄비분극전극의 상부를 대기에 노출시킨 경우는 기존의 연구결과인 +0.5 mV/°F의 온도계수가 적용될 수 있지만, 15 cm 깊이의 지중온도 변화가 대기온도 변화에 대하여 약 8∼11 시간의 지연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땅 속에 묻어 설치한 경우는 0.5 mV/℃ 이하의 미약한 영향이 나타는 것으로 밝혀졌다. CCE의 경우는 땅속에 묻어 설치하였을 때에는 대기온도와 무관하지만, 전극이 직사광선에 노출된 경우는 약 1 mV/℃ 정도의 온도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함량 변화 영향에 대한 실험에 의하면 Cu-CuSO₄비분극전극을 땅 속에 묻어 설치한 경우 토양수분함량 변화가 그대로 반영됨에 따라, 1∼2 mV의 미약한 편차는 주로 토양수분함량 변화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CCE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토양수분함령 변화와 유사한 주기를 가지며 약 5% 이내의 일변화에 대하여 금속전극 대부분에서 약 5 mV 내외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강수기간 동안에는 금속전극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흐름전위의 영향이 나타남에 따라 토양수분함량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연작재배지토양(連作栽培地土壤)의 식물독소(植物毒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작물근권토양(作物根圈土壤)의 미생물분포(微生物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hytotoxin in Intensively Cultivated Upland Crops -II. Popu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of upland crops)

  • 이상규;서장선;김영식;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3
    • /
    • 1987
  • 고추, 마늘, 화훼, 배추및 양파등(等)의 연작지(連作地)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세균(細菌), 사상균(絲狀菌) 및 이들 미생물(微生物)의 분포비율등(分布比率等)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추및 마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의 세균(細菌) 및 사상균수(絲狀菌數)는 일반답토양(一般畓土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적었다. 2.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 세균(細菌)은 당류(糖類)를 산화(酸化)하여 생육(生育)하는 당류자화성세균(糖類自化性細菌)과 질산환원(窒酸還元)을 가진 세균수(細菌數)가 많았다. 3. 마늘과 토마토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에는 당(糖)의 산화작용(酸化作用)에 의한 Alkali 생성균수(生成菌數)가 많았다. 4. 작물연작지토양(作物連作地土壤)의 근권(根圈)에서는 대체(大體)로 Pseudomonas, Xanthomonas, Bacillus, Achromobacter 속(屬)의 세균(細菌)이 그리고 사상균(絲狀菌)은 Penicillium속(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Phoma, Humicola 및 Aspergillus속(屬)의 균주(菌株)였다. 5. 전공시토양(全供試土壤)에서 식물독소생성균(植物毒素生成菌)인 Stachybotris속(屬)의 사상균(絲狀菌)이 분리(分離)되었다.

  • PDF

누에 형질전환에 의한 견사선에서의 적색형광단백질 발현 (Construction of fluorescent red silk using fibroin H-chain expression system)

  • 김성완;윤은영;최광호;김성렬;박승원;강석우;권오유;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7-9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적색형광실크를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피브로인 H-chain의 N-말단과 C-말단을 이용하여 피브로인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종결 코돈이 없는 DsRed2 유전자를 위의 발현 시스템에 클로닝하여 적색형광실크를 제작하였다. 누에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해서는 3xP3 promoter와 EGFP 유전자를 이용하여 선발하였고, 1020개의 누에알에 microinjection 하여 F1 세대에서 6 broods의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누에형질전환체는 초기배 단계의 눈과 신경조직, 유충과 번데기 그리고 성충의 눈에서 EGFP 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실크의 피브로인에서 DsRed2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F2세대의 누에형질전환체 중에서 5령 5일 유충을 해부하여 견사선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중부와 후부 견사선에서 적색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F2 세대의 고치에서도 적색형광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적색형광실크를 생산하는 누에형질전환체가 성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산업소재로서 실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곤충 및 거미류 종 목록 (The species list of insects and spiders appear in the pres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이영보;박해철;한태만;김성현;황석조;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8-188
    • /
    • 2012
  • 7차 교육과정 개정 후 조사 대상 초등교과서에 실린 곤충과 거미류는 다음과 같다. 1. 동정된 곤충류는 10목 60종이며, 거미목은 2과 3종이 조사되었다. 2. 조사 대상 분류군 중 사진이 뒤바뀐 경우가 3회 이었고, 오동정 된 것은 3회로 조사되었다. 3. 전체 학년별 곤충 및 거미류의 종간 출현한 수를 조사 결과, 확인된 종은 총 63종이며, 전체 출현된 횟수는 169회이었다. 4. 169회 조사 대상 중 옳게 동정된 종의 횟수는 44회로 26.0%이었다. 5. 목별 출현 수 조사에서는 메뚜기목(10회), 딱정벌레목(9회) 순이었고, 종별 게재 출현 수는 초파리과 일종(18회), 우리벼메뚜기(16회), 호랑나비(12회) 순으로 조사되었다. 6. 학년 및 학기별 곤충 게재 출현 수 조사 결과, 가장 많은 곤충 출현 학년 및 학기는 3학년 1학기(18종)이었으며, 반대로 가장 적게 게제된 것은 2학년 1학기로 1종이었다.

근권에 존재하는 Bacillus 속 균주들의 식물 생장 촉진 활성 특성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trains in the Rhizosphere)

  • 오가윤;김지윤;이송민;김희숙;이광희;이상현;장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03-4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토양 및 근권에 존재하는 Bacillus 속의 식물 생장 촉진 활성,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활성, 미네랄 가용화능 및 세포 외 효소활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에서 DDP257은 10종의 병원성 곰팡이에서 항진균 활성이 모두 나타났다. 식물 생장 촉진 인자인 indole-3-acetic acid 생성능에서는 ANG20이 70.97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생성능 조사에서는 총 10종에서 생성능을 확인하였고, 질소 고정능과 siderophore 생성능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분리균주에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리된 균주에 대하여 phosphate, calcite, zinc과 같은 미네랄 가용화능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외 효소활성에서도 대부분의 효소에서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alkaline phosphatase, esterase (C4), acid phosphatase, naphtol-AS-BI-phosphohydrolase에서 선별된 균주 모두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이는 Bacillus 속이 다양한 유기물과 항생물질 및 세포 외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의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균주를 활용하여 미생물 제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골절에 침 치료를 적용한 2013년 이후 증례보고 문헌고찰 (A Review of Case Reports on the Application of Acupuncture as a Treatment for Fracture since 2013)

  • 백승원;남경호;최승관;이정한;한윤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6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nd in treating fracture with acupuncture and to evaluate the quality of case reports. Methods All case reports of fractures treated with acupuncture were extracted from four Korean web databases. We classified these studies by five fracture sites and investigated frequently used meridian and acupoint, outcome measurements, treatment period. And we assessed the quality of the case reports by the STandards for Reporting Interventions in Clinical Trials of Acupuncture (STRICTA) guidelines. Results A total of 33 case reports were included.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outcome measurements used in more than three studies showed improvement in patient symptoms. The mainly used meridians for each fracture site were as follows: chest and abdomen (GB, LR, CV), back (BL, GB), upper limb (LI, TE), lower Limb (GB, ST, BL, SP).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s for each fracture site were as follows: chest and abdomen (Ashi points, GB24, GB25, GB26, LR13, LR14, CV16, CV17, CV18, CV19), back (BL23, BL24, BL25, BL26, BL40, BL51, BL52, BL60, GB34), upper limb (LI4, LI10, LI11, TE3), lower limb (GB34, GB40). According to the STRICTA guidelines, more than 54.54% of the reports were found to be 'not reported' or 'not sufficient' in the following categories: 'response sought', 'description of participating acupuncturist', and 'number of needle insertions per subject per session'. Conclusions The meridians and acupuncture points frequently used for acupuncture treatment of fractures were near the fracture site. Future clinical studies involving acupuncture must be re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ICTA guidelines to improve transparency and uniformity.

심해에서의 장거리 다중입출력 수중통신 (Long-rang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underwater communication in deep water)

  • 김동현;김대환;김재수;한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7-427
    • /
    • 2021
  • 심해 장거리 통신의 경우,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률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인 다중입출력 수중통신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단일 음원 환경과 달리 다중음원 환경의 경우 다른 음원에 의한 간섭으로 통신 성능이 저하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적응형 수동 시역전 처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2018년 10월 포항 동방 수심 1,000 m 이상의 심해 해역에서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해상실험이 수행되었다. 해상실험 동안 수직 선 배열이 활용되었으며, 512 sps의 binary phase shift keying와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신호가 송신되었다. 다중입출력 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26 km와 30 km 거리의 데이터를 합성한다. 재래식과 적응형 수동 시역전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적응형 신호 처리를 적용했을 때 다른 음원에 의한 간섭이 제거되어 0 %의 비트 오류율과 출력 신호 대 잡음비 증가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개의 음원을 가진 다중입출력 통신 성능 분석을 통해 두 배의 데이터 전송률 (1,024 sps)을 획득하였다.

불면 장애에 대한 약침술 치료법 제안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 연구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Disorder)

  • 조민우;임정화;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206
    • /
    • 2021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disorder to derive clinical evidence and recommendation grades. Methods: Studies that verified effects of pharmacopuncture on primary insomnia were included.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ere assessed using Risk of Bias (RoB). Results: A total of 25 studies were select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ffective rate were primarily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Vitamin B12 was the most used pharmacopuncture material.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uncture point was Anmian (Ex-HN). The volume of the acupuncture solution ranged from 0.25 mL to 2 mL. Acupuncture treatment depth was 0.5 cm to 2 cm. In three studies, the procedure was performed at 16:00. Meta-analysis of studi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rate of the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using sleeping pills group (RR: 1.21, 95% CI: 1.01 to 1.45, p=0.04, I2=69%). PSQI was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MD=-2.19, 95% CI: -2.90 to -1.48, p<0.00001, I2=0%). Effective rates of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acupuncture group (RR: 1.11, 95% CI: 1.05 to 1.17, p=0.0002, I2=0%). PSQI was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MD=-1.87, 95% CI: -2.36 to -1.38, p<0.00001, I2=0%). Although the effectiveness rate of the pharmacopunctur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acupuncture group (RR: 1.12, 95% CI: 0.98 to 1.27, p=0.1, I2=9%), the PSQI was de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MD=-2.10, 05% CI: -3.29 to -0.91, p=0.0005, I2=34%). The quality of clinical studies was poor.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er to use 0.5 to 2 mL of pharmacopuncture solution such as Danshen and Ciwujia with a depth of 0.5 to 2 cm at around 4 p.m. to treat insomnia disorder, focusing on Anmian (Ex-HN) and Sameumgyo (SP6).

수면 장애 및 아토피피부염에 효과적인 7 가지 한약 처방의 항염증 활성 연구 (Study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7 Herbal Prescription Effective for Sleep Disorders and Atopic Dermatitis)

  • 최민진;응웬리;정정화;박민영;윤주희;이병욱;양인준;신흥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6-63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candidate prescription with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7 herbal prescriptions known to be effective in atopic dermatitis and sleep disorders in Korean medicine. The anti-inflammatory of the 7 herbal prescriptions extracts were evaluated by ELISA assay and Western blot assay. 7 herbal prescriptions, Seongyutang(SU), Danseontoetang(DST), Sotosajahwan(ST), Jisiljagyagsan(JJ), Seokchangpo(SCP), Wiryeongseon(WLS), Gogojohwan(GGJ) 30 % EtoH extract was used for in vitro experiments. In TNF-α + IFN-γ(TI) stimulated HaCaT cells, all 7 herbal prescriptions reduced TARC and MDC production, and JJ strongly reduced TARC and MDC production at 100 ㎍/ml concentration. SCP strongly reduced MDC production at 10 ㎍/ml and 100 ㎍/ml concentration. In addition, in substance P(SP)/CRH stimulated HMC-1 cells, JJ strongly inhibited VEGF production at both 10 and 100 ㎍/ml concentrations. In LPS/CRH stimulated Raw264.7 cells, all 7 herbal prescrip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NF-α. PMA + Ionomycin(PI)/CRH stimulated EL4 cells, SU significantly reduced IL-4 production at both concentrations of 10 and 100 ㎍/ml. WLS significantly reduced IL-17 production at both concentrations of 10 and 100㎍/ml. This suggests that 7 herbal prescriptions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reducing inflammatory cytokines in keratinocytes, mast cells and macrophages caused by inflamm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7 herbal prescriptions that are effective for sleep disorders and atopic dermatitis can be used as therapeutic materials for sleep disorder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포장재 종류가 산마늘 상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Fresh Wild Garlic Leaves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 최지원;이지현;김창국;이정수;신일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2019
  • 2018년 5월 전라북도 남원군에서 재배하여 수확 후 $0^{\circ}C$ 저장고에서 예냉을 마친 산마늘을 사용하였으며 외 포장 상자는 골판지로 구성된 통기공이 없는 골판지상자 1kg용을 사용하였다. 골판지상자와 함께 내부 포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포장 필름은 $20{\mu}m$ 두께의 HDPE으로 된 필름 봉지, 흡습종이는 파라핀왁스 코팅 종이($32{\times}35cm$, 태영산업)를 이용하여 조합 처리하고 국내에서 개발한 기능성 필름2종으로 포장처리는 총 4가지로 (1) PE(관행) (2) PE+흡습지 (3) 기능성필름1($30{\times}58cm$, 기능성물질 1%+40,000OTR, 제조사: 신영산업사) (4) 기능성필름2($30{\times}58cm$, Key fresh, 제조사: 씨앤케이프로팩(주)) 각 처리당 1kg 씩의 산마늘 잎을 포장하였다. 실험은 포장 처리 후 상온상태로 전북 완주군 실험실까지 수송하였으며 실험실 도착 후 상온 실험실에 두고 2일과 6일 후 중량감소율, 색도, 엽록소, 손실률 및 종합선도 등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고 각 포장방법별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를 보기 위하여 산마늘 잎이 포장된 상자 내부 중앙 부분에 디지털온습도기록계(SP-2000-20R)를 고정한 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PE필름 단용으로 포장한 산마늘 잎은 상온저장 6일 경과 후 중량 소율이 1.7%, PE필름+신선지 처리는 1.0%, 기능성필름1과 기능성필름2는 거의 중량감소가 없어 1% 미만의 변화를 보였다. 산마늘 잎의 SPAD 값에 의한 엽록소 수치와 색도를 측정한 명도($L^*$)와 Hue angle 값의 변화는 기능성필름1과 기능성필름2가 유사하게 높게 유지되었고 반면에 PE필름은 저장 2일 후 부터 값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6일 후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 6일 후 기능성필름1과 기능성필름2가 외관품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상품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PE필름 처리와 PE필름+흡습지 처리는 상품성을 상실한 상태였다. 이러한 경향은 건전율에 있어서도 유사하였으며 기능성필름1(다공성 나노 물질이 혼입되어 있으며 산소투과율을 $40,000cc/m2{\cdot}day{\cdot}atm$으로 조성한 필름)이 상온저장 6일 후 상품성을 유지하는 건전율이 83%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