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gri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Characterization of Mucilage Produced from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Grit by Bacillus firmus

  • Jang, Eun-Kyung;Seo, Ji-Hyun;Park, Seung-Chun;Yoo, Byoung-Seung;Lee, Sam-P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22-727
    • /
    • 2007
  • Mucilage containing ${\gamma}-polyglutamic$ acid (PGA) was efficiently generated by the solid-state fermentation (SSF) of soybean grit by Bacillus firmus NA-1. B. firmus NA-1 was shown to be a glutamate-dependent strain for PGA production. The SSF of soybean grit was optimized in order to produce mucilage with a fortification of 5% glutamate,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mucilage production (6.14%) and a higher consistency index ($1.1\;Pa\;sec^n$). The sticky mucilage was comprised of 38% PGA, 7% levan, and some biopolymers. With regard to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mucilage solution, the viscous modulus (G") obtained from soybean grit fortified with 5% glutamate was approximately 64 times higher titan that of the mucilage solution obtained without glutamate. Although the addition of glutamate in the SSF of soybean grit influenced the rate of PGA production, the molecular weight of PGA remained unaltered, and was detected in a range between 1,400-1,440 kDa.

Bacillus subtilis HA를 이용한 soybean grit의 고체발효 기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생산 및 항산화 효과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Grit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 김지은;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9-185
    • /
    • 2009
  • Soybean grit를 이용하여 B. subtilis HA에 의한 고체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물의 발효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변화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혈전분해효소 활성 및 protease 활성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pha}$-amylase 활성은 발효 5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Tyrosine 함량은 발효 5일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며, 콩 가수분해물중에서 분자량 3,000 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콩 펩타이드 및 갈변화색소는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oybean grit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주정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정 추출물은 발효시간 3일째 18.10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시간 3일째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몰로키아 첨가 탈지대두grit(defatted soybean grit) 발효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s of Fermented Defatted Soybean Grits Added to Corchorus olitorius)

  • 김현정;이성규;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75-380
    • /
    • 2011
  • DSG에 몰로키아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이 콜레스테롤 개선효과를 가지는지 in vitro 및 in vivo에서 살펴보았다. B. subtilis NUC1균주로 발효한 탈지대두 grits 발효물인 FD와 탈지 대두 grit에 몰로키아를 5, 10%로 각각 첨가하여 발효한 FDC군의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살펴본 결과, 모든 군에서 70% 이상의 흡착능을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한 apo-AI, apo-CIII의 분비능 측정에서는 FD군에 비해 몰로키아를 첨가한 FDC군에서 더 우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한편 FDC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체내 콜레스테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본식이군(Con), 고지방식이군(HF) 그리고 고지방식이와 FD첨가군(HFFD), 고지방식이와 FDC 첨가군(HF-FDC)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혈장 내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간 조직 내의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HF군에서 증가하였다가 HF-FDC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분변 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배설량은 FDC 투여로 인해서 HF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간내 HMG-CoA reductase 활성은 HF군에서 증가되었다가, HF-FDC첨가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FDC는 콜레스테롤 흡착 및 조절능을 가지며, 그리고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조직 내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축적을 감소시켜 체내 콜레스테롤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대두분 품질에 미치는 가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 이성갑;김준평
    • 기술사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1984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a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into full-fat or defatted flour, using two varieties of soybean (kwangkyo produced in Korea and Bragg produced in India) Samples were subjected to dry dehulling, size reduction and wet heat treatment processes to make soybean flours.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rude fiber content of dehulled soybean was under 3.0% which indicated satisfactory dehull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ibre content between two varieties. 2. When dehulled soybean was cracked into soy grits by a hammer mill, 98.71∼98.86% of the soy grit was in the range of 10∼18 mesh which was the optimum size of particle for quick and uniform penetration of heat into the intra-particle air spaces. 3. Moisture content of soy flour after steam treatment at 15 psig for 5 to 30 min was only 0.29∼1.68% which did not hinder the next milling operation. 4. From the color analysis of soy flours, it was observed that the dominant wavelength for all the samples are in a very narrow range from 575 to 581 nm and the color variation was from yellow to yellowish orange. Twenty to twenty five % higher reflectance was observed in the defatted flours than full fat flours. The % chroma of the defatted flour sligh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steaming of soy grits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full-fat flour did not. 5. The protein extractability in the defatted flour at pH 7.6 showed progressive decrease in solubility from 48.40% (Bragg), 75.20% (kwangkyo) for untreated flours to 9.75% (Bragg), 26.27% (kwangkyo) for 30 min steaming. But Kwangkyo variety showed twice higher protein extractability than Bragg variety.

  • PDF

녹두 첨가로 인한 탈지대두 Grits(Defatted Soybean Grits) 발효물의 in vitro 상에서의 콜레스테롤 개선능 상승효과 (Cholesterol Improvement Synergistic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Grits Caused by Added with Mung Bean in vitro)

  • 이성규;김현정;유미희;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47-9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 NUC1균주로 발효한 탈지대두 grits 발효물인 FD와 탈지대두 grits에 녹두를 2.5, 5, 10%로 각각 첨가하여 발효한 FDM을 각각 제조하여 in vitro 상에서의 콜레스테롤 개선능을 검색하였다. FD와 FDM군의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살펴본 결과, 모든 군에서 70% 이상의 흡착능을 보였다. 특히 2.5% 녹두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FDM군(2.5% FDM)은 90%의 가장 높은 흡착능을 보였다. 2.5% FDM군은 42%의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보였고, 또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한 세포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과 apolipoprotein AI, CIII의 개선효과에서도 가장 우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2.5% 녹두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FDM군은 고콜레스테롤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고초균에 의한 탈지대두 grits 발효물의 항혈전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Antithrombotic and Cholesterol Reduction Effect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 이성규;김현정;임남경;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3-4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탈지대두 grits(DSG)와 B. subtilis NUC1균주로 발효시킨 탈지대두 발효물(FD)을 제조한 다음 열풍건조한 시료를 물 추출하여 이들 DSG 물추출물(DW)과 발효된 DSG 물추출물(FDW)의 항혈전 활성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FDW는 DW보다 항혈전 활성 및 혈소판의 응고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유의적으로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가졌다. 그러나 DW와 FDW 처리군 둘다 HepG2 세포를 이용한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능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세포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흡착능에서는 FDW만 약 90% 정도의 높은 흡착능을 보였고, DW는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발효된 DSG는 원료인 DSG 보다 항혈전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초균에 의한 탈지대두 Grits(Defatted Soybean Grits)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 김현정;이성규;지영주;황보미향;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79-1484
    • /
    • 2008
  • 증자한 탈지대두 grits에 B. subtilis NUCI을 2%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여 DSG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DSG 발효물 및 DSG의 단백질 함량은 $57.2{\sim}61.0%$로 청국장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함유하지 않았다. 그리고 DSG에서는 protease 및 $\alpha$-amylase의 활성이 없었으며, 점질물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DSG 발효물은 청국장보다 더 큰 protease 활성, $\alpha$-amylase 활성, tyrosine 함량, 점질물 함량을 보였다. 또한 DSG 발효물은 DSG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phenylalanine, tyrosine, glutamic acid 등이 주된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isoflavone 함량도 DSG 발효물이 DSG보다 1.6배 더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냄새 및 맛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DSG 발효물이 청국장보다 높은 값을 보여 DSG 발효물의 기호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합적인 기호도는 청국장이 DSG 발효물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탈지대두 grits가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fatted Soybean Gri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with High-fat Diet)

  • 김현정;지영주;이성규;최준혁;이은주;정현진;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80-585
    • /
    • 2008
  • DSG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본식이군, DSG 첨가군, 고지방식이군 그리고 고지방식이와 DSG 첨가군으로 각각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하였다가 고지방식이와 DSG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되었다가 고지방식이와 DSG 첨가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간 조직 내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DSG 투여로 인해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분변 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배설량은 DSG 투여로 인해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간 내 HMG-CoA reductase 활성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되었다가, 고지방식이와 DSG 첨가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DSG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조직 내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축적을 감소시켜 체내 콜레스테롤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비지박 및 맥주박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cohol Fermented Feedstuff Made of Byproduct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Disappearance in the Rumen)

  • 신종서;임광철;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60
    • /
    • 2008
  • 본 실험은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에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를 급여한 후 시간별(0, 2, 4, 6, 8 및 12시간) 반추위내에서 알코올 함량, pH 변화, ammonia 함량, 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건물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대조구와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C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한 AFS구 및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을 첨가한 후 제조한 AFB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반추위내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나 배양 6시간에는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급여구들이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반추위내 pH는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5),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들의 반추위내 알코올 농도는 반추위내 배양 4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배양 6시간에는 대조구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간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추위내 총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반추위내 배양초기(2시간)에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p<0.05).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의 가용성건물 함량은(S)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반추위내 분해성 부분은(D)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때 산업부산물인 비지박과 맥주박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사료를 제조하면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자원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료 대용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가 In vitro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cohol Fermented Feedstuff Made of Byproduct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DF Disappearance in the Rumen)

  • 김병완;임광철;박병기;김종덕;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3-334
    • /
    • 2007
  • 본 실험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추위내 ammonia, pH,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와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는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circ}C$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제조하였으며,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는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제조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S구 및 AFB구)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S 및 AFB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배양 0, 2, 4, 6, 8 및 12시간별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의 alcohol 농도, ammonia 농도, pH, VFA 농도 및 NDF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대조구 11.84 mg/dl 보다 AFS구 및 AFB구에서 각각 12.47 및 12.85 mg/dl로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 6시간까지의 pH는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AFS 및 AFB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배양액의 알코올 농도는 AFS 및 AFB구에서 배양 12시간에 대조구보다 각각 43.9 및 48.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cetate 농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S 및 AFB구들은 다소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및 Butyrate 농도는 배양 전기간동안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배양 4시간까지 NDF의 분해율은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높았으나, 배양 4시간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내에서 반추미생물의 발효 pattern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