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protein frac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콩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 Protein Hydrolysate with Asp. saitoi Pretense)

  • 주정현;이상덕;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9-235
    • /
    • 2004
  • 콩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였을 때 생성되는 항균활성 Peptide를 조사하고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를 이용해서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리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igh p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취한 항균성 peptide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Aspergili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여과 한계량 10,000, 3,000, 1,000 membrane filter로 cut-off하여 한외여과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 1,000∼3,000인 fraction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 범위 가수분해물의 MIC는 0.5∼0.8 mg/mL였으며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 saitol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121$^{\circ}C$, 1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도 그 항균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는 열에 대단히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한외여과하여 얻어진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범위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HPLC의 결과 얻어 진 peak 별로 분획 수집을 반복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retention time 16.02(IV)의 peak에서 최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대두단백질과 그의 가수분해물 및 펩타이드 분획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식욕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Protein, its Hydrolysate and Peptide Fraction on Lipid Metabolism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Rats)

  • 박지혜;박미나;이임식;김용기;김완식;이연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4호
    • /
    • pp.342-350
    • /
    • 2010
  • 본 연구는 흰쥐에게 대두단백질과 그 가수분해물을 고지방식이와 함께 섭취시켜 지질대사와 식욕 조절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4주령 수컷 Sprague-Dawley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동물에게 AIN-93 M식이를 기본으로 하여 18% 고지방과 10%의 저단백질을 첨가한 식이를 4주 동안 공급하여 동일한 실험조건을 설정한 후, 4개 군 (n = 8)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공급하였다. 4개의 실험군은 질소급원과 수준에 따라, 10% 대두단백질군 (10% Soy Protein Isolate; 10SPI), 25% 대두단백질군 (25% Soy Protein Isolate; 25SPI), 25% 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군 (25% Soy Protein Hydrolysate; 25SPH), 25% 대두 macro-peptide fraction군 (25% soy macro-peptide fraction; MW $\geq$ 10,000 Da: 25SPP)으로 나누고 6주 동안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희생시켰다. 그 결과, 실험군 간에 식이섭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중은 단백질 섭취 수준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대두단백질과 비교하여 가수분해물 및 펩타이드 분획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신장과 비장조직의 무게는 저단백질 섭취군 보다 고단백질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5SPP군은 오히려 저단백질 섭취군 (10SPI)과 비슷하였다. 혈청지질 농도는 단백질 수준에 상관없이 25SPP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의 지질함량은 저단백질 섭취군 (10SPI)에 비해 고단백질 섭취군 (25SPI, 25SPH, 25SPP)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욕조절 호르몬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25SPP군이 25SPI군에 비해 인슐린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렙틴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그렐린은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대두단백질과 비교하여 가수분해물이 혈청지질 농도 개선에 더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분자량이 큰 펩타이드의 경우 식욕조절 관련 호르몬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대두단백질 고분자 펩타이드 분획물이 체내지질 함량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단백질의 종류별로 식욕조절 호르몬의 분비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상태에서는 렙틴 저항이나 인슐린 저항 등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할 때,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식욕조절효과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앞으로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옴 가열이 대두 단백질의 열변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hmic Heating on Characteristics of Heating Denaturation of Soybean Protein)

  • 차윤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40-745
    • /
    • 2011
  • Ohmic heating uses electric resistance heat which occurs equally and rapidly inside food when an electrical current is passed throught.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hys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s which occurs in soybean protein during heating denaturation by using ohmic and conventional heating. After the ohmic heating process, we could not find any change of the primary protein structure in the denaturated soy protein samples. However, the rate of imbibed water(RIW) of the ohmic samples was 2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amples. Also the ANS-surface hydrophobicity was decreased,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RIW.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nalysis result, all 7S soyprotein fraction samples were completely denaturated by ohmic and conventional heating. However, the 11S samples were completely denatured only by ohmic heating. According to the DSC result, we decided that soyprotein was damaged by temperature and electrical current during ohmic heating. The damage of electrical current was a cause of the characteristic changes.

Characterization of jute fibre reinforced pine rosin modified soy protein isolate green composites

  • Sakhare, Karishma M.;Borkar, Shashikant P.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91-209
    • /
    • 2022
  • Very slow degradation of synthetic based polymers has created a severe environmental issue that increased awareness towards research in polymers of biodegradable property. Soy protein isolate (SPI) is a natural biopolymer used as matrix in green composites but it has limitations of low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 water sensitivity.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reduce water sensitivity of Jute-SPI composites, SPI was modified with pine rosin which is also a natural cross-linking agent. 30% glycerol on the weight basis of a matrix was used as a plasticizer. The fibre volume fraction was kept constant at 0.2 whereas the pine rosin in SPI ranged from 5% to 30% of the matrix. The effects of pine rosin on mechanical, thermal, water sensitivity and surface morphology have been characterized using various techniques.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absorbency were found to be optimum for 15% pine rosin in Jute-SPI composite. Therefore, Jute-SPI composite without pine rosin and with 15% pine rosin were chosen for investigation through characterization by Fourier transforms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composite was influenced by pine rosin which is shown in the SEM image. TGA measurement showed that the thermal properties improved due to the addition of pine rosin. Antimicrobial test showed antimicrobial property in the composite occurring 15% pine rosin. The research paper concludes that the modification of SPI resin with an optimum percentage of pine rosin enhanced mechanical, thermal as well as water-resistant properties of jute fibre reinforced composites.

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 정량을 위한 면역분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대두단백 정량을 위한 항체생산 및 특성조사 (Development of Immunoassay Systems for the Assay of Soy Protein in Meat Products; Antibody Production and Properties for the Assay of Soy Protein)

  • 김천제;김종배;김병철;이승배;정성원;신현길;고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4-208
    • /
    • 1992
  • 본 실험은 가공한 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질(soy protein)을 정량하기 위한 면역분석(Immunoassay)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Isolated soy protein(ISP)의 whole buffer extract(WBE) 분획을 SDS 처리 후 토끼에 주사하여 생산된 항혈청의 항체역가를 indirect ELISA법으로 조사하였을 시 1 : 10,000 이상에서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처리시 SDS의 최종농도가 0.03% 이상에서는 항원-항체 반응이 심각하게 저지되었으나, 0.02% 이하에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항체는 SDS로 변성된 항원(대두단백질)은 물론 SDS를 투석으로 제거한 재생항원(renatured antigen)과도 반응하였으나 그 정도는 변성항원에 비하여 약간 낮았다. 검정곡선(calibration curve)을 indirect competitive ELISA 법으로 작성하였을 시 ISP를 100 ng/100 ml까지 측정할 수 있는 감도(sensitivity)를 얻었다.

  • PDF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대한 효소적(酵素的) 가수(加水)분해의 효과(效果) (Effect of Proteolysis on the Functionalities of 7S and 11S Soy Proteins)

  • 강영주;이기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4-349
    • /
    • 1988
  • 분획(分劃)된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은 단백가수분해(蛋白加水分解) 효소(酵素)(alcalase 및 pronase)로 1시간(時間)동안 가수분해(加水分解)하였을 때 사용(使用)된 효소(酵素) 및 단백질(蛋白質)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pH 5에서 용해도(溶解度), 열응고성(熱凝固性) 및 $Ca^{++}$에 대한 내침전성(耐沈殿性)은 상당히 증가(增加)에멀젼 활성 및 거품 안정성(安定性)은 감소(減少), 에멀젼 열안정성(熱安定性) 및 동점도(動粘度)는 거의 변화(變化)되지 않았다. 그러나 용해도(溶解度)에서 7S 단백질(蛋白質)은 pH 6에서 11S 단백질(蛋白質)은 pH 4에서 감소(減少)하였으며 또한 11S 단백질(蛋白質)은 유흡수성(油吸收性) 및 거품 형함능(形咸能)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으나 7S 단백질(蛋白質)은 거의 변화(變化)하지 않았다.

  • PDF

단백분해효소(蛋白分解酵素)에 의한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의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of 7S and 11S Soy Proteins by Commercial Proteases)

  • 강영주;이기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8-343
    • /
    • 1988
  • 분획(分劃)된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의 단백질분해효소(蛋白質分解酵素)(trypsin, alcalase 및 pronase)에 대한 반응성(反應性)을 동력학변수(動力學變數)인 Km 과 Vmax 및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DH)를 측정(測定)하여 검토(檢討)하였으며 가수분해물의 전기영동분석(電氣泳動分析)을 실시하였다. 효소(酵素)의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한 친화력(親化力)은 대체로 가열처리(加熱處理)된 단백질(蛋白質)은 기질농도(基質濃度) 1.5(w/w) 이하(以下)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에 대하여 기질조해작용(基質阻害作用)을 보였다. 1시간(時間) 가수분해(加水分解)에 따라 alcalase에 의하여 가장 큰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얻어졌으며 7S 단백질(蛋白質)에 대하여 60% 및 11S 단백질(蛋白質)에 대하여 80%였다. Trypsin 은 가열처리(加熱處理)되지 않은 단백질(蛋白質)에는 11S 단백질(蛋白質)의 acidic subunit 이외에는 거의 작용(作用)하지 못했으며 alcalase는 특이적으로 2S 단백질(蛋白質)에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것으로 전기영동분석(電氣泳動分析)에서 나타났다.

  • PDF

Soy Oligosaccharides and 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s: A Review of Digestion, Nutritive and Anti-nutritive Effects in Pigs and Poultry

  • Choct, M.;Dersjant-Li, Y.;McLeish, J.;Peisker,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0호
    • /
    • pp.1386-1398
    • /
    • 2010
  • Soybean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hydrates that consist mainly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and oligosaccharides. The NSP can be divided into insoluble NSP (mainly cellulose) and soluble NSP (composed mainly of pectic polymers, which are partially soluble in water). Monogastric animals do not have the enzymes to hydrolyze these carbohydrates, and thus their digestion occurs by means of bacterial fermentation. The fermentation of soybean carbohydrates produces short chain fatty acids tha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by animals.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carbohydrates is related to the chemical structure, the level of inclusion in the diet, species and age of the animal. In poultry, soluble NSP can increase digesta viscosity, reduc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depress growth performance. In growing pigs, these effects, in particular the effect on gut viscosity, are often not so obvious. However, in weaning piglets, it is reported that soy oligosaccharides and soluble NSP can cause detrimental effects on intestinal health. In monogastric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anti-nutritive effect of the NSP on nutrient digestion and absorption on one hand, as well as the potential benefits or detriments of intestinal fermentation products to the host. This mirrors the needs for i) increasing efficiency of utilization of fibrous materials in monogastrics, and ii)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animal health in antibiotic-free production systems,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ethanol/water extraction removes the low molecular weight carbohydrate fractions, such as the oligosaccharides and part of the soluble pectins, leaving behind the insoluble fraction of the NSP, which is devoid of anti-nutritive activities. The resultant product is a high quality soy protein concentrate. This paper presents the composition and chemical structures of carbohydrates present in soybeans and discusses their nutritive and anti-nutritive effects on digestion and absorption of nutrients in pigs and poultry.

생 마늘과 절인 마늘의 In Vitro 항비만 효과 (In Vitro Anti-Obesity Effects of Raw Garlic and Pickled Garlic)

  • 이다빈;표영희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9-79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nti-obesity effects of raw and pickled garlic in vitro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The pickled garlic samples comprised the following: garlic aged in vinegar (VG), garlic aged in soy sauce, and vinegar (1:1, v/v) (PG) and raw garlic (RG) as control. Hexane, butanol, and distilled water were used to prepare the fractions.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was used as a measure of anti-obesity effects of the extracts. The lipid droplet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content in the 3T3-L1 cells were measured using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 kits, respectively. The adipogenesis related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analyzed using the kits and the western blot method. Results: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garlic extracts (VG, PG, RG) was the highest in the butanol fraction,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the highest in RG, followed by PG and VG. All garlic butanol extracts suppress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P<0.05) through the activation of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AMP), AMP-activated protein kinase,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and the inhibition of fatty acid synthase. Raw garlic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involved in adipogenesis as compared to pickled garlic. Conclusions: Raw garlic ha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natural material for reducing obesity compared to pickled garlic with vinegar or soy sauce.

Myriococcum albomyces가 생산하는 Cellulase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ellulase produced by Myriococcum of albomyces)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59-97
    • /
    • 1971
  • Myriococcum albomycesf가 생산하는 섬유소 분해효소군에 관한 연구로서 호소생산배지 및 조효소의 성질을 규명하고 몇 가지 효소군으로 정제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밀기울 고채해양의 각 효소 활성은 쌀겨고체배양 및 탈지대두박고체배양의 그것보다 강하였다. 2. 밀기울진탕, 쌀겨진탕배양 및 대두박진탕배양등은 상기의 고체배양보다 각 효소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3. $45^{\circ}C$에서 배양한 것이 배양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37^{\circ}C$$50^{\circ}C$에서 배양한 것보다 각 효소의 활성이 강하였다. 4. CMCase는 무기 질소원보다 유기 질소원을 첨가하므로서 더욱 생성이 촉진되었다. 5. 기본밀기울진탕배양기에 CMC, Avicel, 여지분말 등의 indncer를 첨가 하므로서 각 효소활성은 $1.5{\sim}3$배나 증가되었다. 6. CMC와 Avicel을 inducer로 하여 jar formentor에서 배양할 때 작 효소의 활성은 대개 5일째에 최고에 달하였다. 7. Cellulae 조효소의 최적 pH는 $4.0{\sim}4.5$, pH안정성은 $3.5{\sim}8.0$이였다. 그리고 최적온도는 $65^{\circ}C$ 부근으로 다른 사상균의 cellulase에 비하여 높으며 온도안정성도 $60^{\circ}C$에서 120분으로 거의 실활되지 않았다. 8. 조효소의 활성은 $Ca^{++}$, $Mg^{++}$으로 부활되며, $Hg^{++}$, $Cu^{++}$, $Ag^{+}$는 강한 저해체였다. 그리고 투석으로 약간 그 활성이 저하되었다. 9. 배양액을 여과하고 황산암모니움 분획, DEA-E-sephadex A-25, Amberlite CG-50 및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로 Avicel, CMC, 여지 분말에 대하여 활성이 다른 4개의 fraction을 분리 하고 이를 cellulase fraction I, fraction II-a, fraction II-b 및 fraction III라고 명명하였다. 10. 이들 4개의 fraction은 전기 영동, 초원심상 및 자외선흡수 등으로 보아서 단일의 단백질로 생각되었다. 11. Fraction I은 Avicelase활성이 강하고, fraction II-a는 cellobiase 활성이 강하였다. 그리고 fraction II는 CMCase 활성이 강하였으며, fraction III는 CMC 점도감소 활성이 강하였다. 12. 섬유소질을 각 fraction으로 가수분해한 최종산물은 cellobiose 및 glucose였다. 그리고 fraction I과 fraction II-a는 Avicel을 협동적으로 분해하였다. 13. Fraction I의 최적 pH 5.5, fraction II-a는 pH 5.0, fraction II-b는 pH 4.0, fractionIII는 pH $4.0{\sim}4.5$이며, 각 fraction의 pH 안정성은 pH $3.0{\sim}7.0$이였다. 14. Fraction I의 최적온도는 $50^{\circ}C$, fractionII-a는 $55{\sim}60^{\circ}C$, fraction II-b 는 $60^{\circ}C$, fraction III는 $55^{\circ}C$이며 각 fraction의 열안정성은 $55^{\circ}C$ 부근에서 120분으로 거의 실활되지 않고 fraction II-a는 $60^{\circ}C$에서도 특별히 안정하였다. 15. Fraction I과 fraction II-b 활성은 $Ag^{++}$, $Hg^{++}$에 의하여 저해되며 $Ca^{++}$, $Mg^{++}$으로는 부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