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xhlet extrac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자원식물로서 응용을 위한 야광나무 열매의 식물화학적 연구 (Phytochemical Study for Botanical Utilization of the Fruits of Malus baccata)

  • 박희준;이명선;양한석;최재수;정원태
    • 생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2-288
    • /
    • 1993
  • Very little utilization of the fruits of Malus baccata(Rosaceae) has been employed for food and medicinal plants except for preparing fruit beverages. But, it was estimated as valuable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for the botanical resource of this plan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ruits of this plant contained primary long chain alcohol, ${\beta}-sitosterol$, campesterol, ursolic acid and ${\beta}-_D-glucosides$ of ${\beta}-sitosterol$ and campesterol. However, phloretin(dihydrochalcone) and its 5-O-glucoside(phloridzin) known as plant growth regulators in many Rosaceae plants were not found in this plant material by co-TLC analysis with authentic specimens. Although plant sex hormone, estrone, was often contained in relates of M. baccata, e.g., Prunus spp., Crataegus spp. and Malus spp., this compound was not detected in this fruit by comparison with an authentic material. By RIC chromatography, it was suggested that the Soxhlet extraction by the solvent of ether was excellently useful to extract ursolic acid efficiently.

  • PDF

Oil content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83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Genetic resources

  • Jae Eun Lee;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 jin Hwang;Bich Saem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5
    • /
    • 2020
  • The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also known as peanut, is a high amount of good-quality vegetable oil in seeds cultivated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analyze oil composition of 83 groundnut accessions collected from 7 countries include Korea and Philippines. Total oil contents were recovered by Soxhlet extraction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otal oil contents of 83 groundnut accessions showed a significant variability among the entire domain of collections and rangerd from 44.59 to 57.58 %. The averages of palmitic and stearic acid were 11.36 and 3.39 % ranged from 8.77 to 13.65 %, and 1.88 to 7.22 %, respectively. Oleic and linoleic acid showed a wide variation which ranged from 40.32 to 61.67 %, and 22.54 to 41.99 %, respectively. Arachidic acid was ranged from 0.93 to 2.42 %.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

  • PDF

Microwave를 이용한 미세조류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from Micro-Algae Pre-treated with Microwave)

  • 김덕근;최병윤;김성민;오유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2-250.2
    • /
    • 2010
  • 빛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여 생성되는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다양한 에너지 및 물질을 생산하는 연구는 석유고갈과 환경문제 해결의 한 방안으로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그 지속 가능성과 환경 친화성에 의해 바이오에너지 이용 및 보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의 경우는 미국, 브라질, EU, 한국 등에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생산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연료의 보급 증가는 식량 자원과의 충돌과 열대우림 파괴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대두, 유채보다 월등한 것으로 보고되는 미세조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 미세조류종 개발, 미세조류 고속배양 및 수확, 미세조류로부터 에너지 및 유용물질, 소재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생산하기 위해 Soxhlet을 이용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였다. 추출되는 오일은 사용 용매의 극성에 따라 물성과 추출 효율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극성의 용매일 경우, 엽록소와 단백질이 같이 추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약한 극성 용매는 세포벽의 방해로 용매가 세포내부로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추출 효율이 높은 극성용매의 경우 불순물을 제거해야 고순도의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가능하고 비극성 용매는 추출 오일의 물성은 좋으나 수율이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동시추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포벽 파괴 후 용매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미세조류를 Microwave에 노출시켜 오일 추출율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시, Microwave에 의한 열 발생은 미세조류를 탄화시키기 때문에 열매체로서 물을 혼합하여 탄화를 방지하고 세포벽 내외부의 가열효과로 세포벽을 파괴하고자 하였다. Microwave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며 세포벽 파괴에 효과적인 수분혼합비를 조사하였으며 Microwave에 노출 후 잔류수분을 건조하고 효율적으로 용매를 접촉시키기 위해 분쇄를 수행하였다. 모든 전처리 반응을 거친 미세조류에서 약 2배 증가된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SEM을 통해 전처리 미세조류와 미전처리 미세조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다공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90%의 메탄올에 미세조류를 녹여 엽록소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엽록소가 미전처리 미세조류보다 약 7배가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폐수처리 슬럿지와 퇴비 및 목탄의 화학적 특성과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ludge, Compost and Charcoal)

  • 임기표;위승곤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1호
    • /
    • pp.27-32
    • /
    • 2003
  • To underst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sewer sludge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compost and charcoal used as a soil improver, it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ir ash contents and metal ions, and to elucid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ir residuals after a sequential treatment of alcohol-benzene(1:2) extraction in Soxhlet, 3% HCl reflux and 79% H₂SO₄ hydrolysis, using CHNS analyzer and solid C-13 NMR spectr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sh content of sludge was about 46% that is higher than those of compost (17%) and charcoal (4%). 2. The residual of sludge after a sequential treatment of HCl and H₂SO₄ hydrolyses had high ash content about 23%, too. 3. The sludge seems to be suitable to the soil improver because the content of heavy metal ions in sludge was near the compost and below the organic fertilizer standard. 4. Elemental composition of sludge residual after HCl-H₂SO₄ hydrolyes was C/sub 56/H/sub 91/O/sub 12/N₂S = (C/sub 6/H/sub 10/O/sub 5/)/sub 7/(C/sub 6/H₄)/sub 7/C₂H/sub 43/O₂N₂S, similar to C/sub 103/H/sub 122/O/sub 33/N/sub 6/S = (C/sub 6/H/sub 10/O/sub 5/)/sub 6/(C/sub 6/H₄)/sub 10/C/sub 7/H/sub 22/O₃N/sub 6/S of compost. 5. The sludge residual had proved to have both considerable aliphatic and aromatic groups, but the compost residual to have mainly aliphatic groups and the charcoal to have mainly aromatic groups, through the peak analysis of solid C-13 NMR charts. 6. So, the sewer sludge is proved to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aromaticity like in woody biomass containing lignin.

GC-ECD를 이용한 배추, 사과, 감귤, 고추, 현미 중 살균제 Prochloraz의 분석법 확립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of Prochloraz in Cabbage, Apple, Mandarin, Pepper and Hulled rice with GC-ECD)

  • 이은미;이혜리;류명주;박희원;나예림;송혁환;금영수;;김정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7-434
    • /
    • 2009
  • Analytical method for prochloraz in cabbage, apple, pepper, mandarin, and hulled rice was established by conversion it to 2,4,6-trichlorophenol (TCP). Crop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partitioned with dichloromethane. The sample extracts were hydrolyzed with pyridine hydrochloride in a vial by heating for 1 hour, and analyzed with GC-ECD after partitioning with dichloromethane. Method quantification limit (MQL) of prochloraz was 0.01 mg/kg. Recoveries at 0.1 mg/kg level was 105-113% while at 0.5 mg/kg level was 82-87%. In both of the cases CV was less than 10%. Through this procedure soxhlet extraction and refluxing apparatus of conventional method were discarded and simple solvent extraction and small vial were successfully employed, resulting in simple, rapid, economic and more precise method.

Preliminary pharmacognostical and phytochemical evaluation of Stachys tibetica Vatke

  • Kumar, Dinesh;Bhat, Zulfiqar Ali;Kumar, Vijender;Chashoo, Ishtaq Ahmad;Khan, Nisar Ahmad;Ara, Irfat;Shah, Mohammad Yassin
    • 셀메드
    • /
    • 제2권1호
    • /
    • pp.11.1-11.7
    • /
    • 2012
  • Stachys tibetica Vatke (Lamiaceae)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in the folk medicine of Ladakh, India and Tibet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mental disorders. Infusion and decoction of the whole plant is used as a cup of tea for a severe fever, headaches and to relieve tension. The recent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preliminary pharmacognostical and phytochemical nature of Stachys tibetica Vatke. The whole plant material was subjected to successive soxhlet extraction with petroleum ether (40 - $60^{\circ}C$),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anol and finally decocted with water to get the respective extracts.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ed materials were analysed under ultraviolet light and ordinary light. Different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sh value, extractive value, foaming index, pH values, loss on drying and determination of foreign matter were carried out as per WHO guidelines. The total fat, flavonoid, saponin and volatile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Macroscopical studies revealed the authentication of the plant drug. Physicochemical parameters helped to standardize the plant material while preliminary qualitative chemical tests of different extracts showed the presence of Glycosides, Carbohydrates, Phytosterols/triterpenoids, Saponins, Fixed oils, Fats and phenols/tannins. Quantification of the total flavonoids and saponins and contents were determined as $54.66{\pm}0.58mg/g$ and $75.42{\pm}0.48mg/kg$ respectively, while the volatile and fat contents were 6.5% and 0.7% respectively. Results may lay the founda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drug and discovery of new molecules from S. tibetica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양지;임지영;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9-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circ}C$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_2/100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호두(Juglans nigra)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from γ-ray irradiated walnut (Juglans nigra))

  • 노은영;최지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9-865
    • /
    • 2014
  • 본 연구는 호두를 대상으로 감마선을 1-10 kGy 선량으로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통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지방은 soxhlet방법으로 n-hexa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고 florisil이 충진된 column으로 분리하여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GC/MS)로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호두에서 검출된 주요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8,11-Heptadecadiene, 1,7,10-Hexadecatriene이었고, 검출된 주요 2-alkylcyclobutanone류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에서 유도된 2-(5',8'-tetradecadienyl)cyclobutanone(5',8'-TCB), 2-(5'-tetradecenyl) cyclobutanone(TECB)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호두에서 생성된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생성량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1 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만 나타났으며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oleic acid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 8,11-Heptadecadiene 및 1,7,10-Hexadecatriene, 2-alkylcyclobutanone류 중 5',8'-TCB 및 TECB는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을 위한 marker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HRGC/HRMS를 이용한 국내유통 육류 중 다이옥신류 분석 (Analysis of Dioxins in Meat by HRGC/HRMS)

  • 최동미;허수정;정지윤;원경풍
    • 분석과학
    • /
    • 제14권1호
    • /
    • pp.88-93
    • /
    • 2001
  • 식품 중에 미량 존재하는 다이옥신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류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 등에서 채취하여 HRGC/HRMS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를 균질화하여 Soxhlet 추출 후 지방함량을 측정하고 정제를 하여 dioxin 7종, furan 10종 및 co-planar PCB 3종에 대하여 HRGC/HRMS로 분리능 10,000에서 분석하였다. 각각의 congener에 대한 회수율은 80-15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congener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S/N>3에서 0,01ppt 수준이었다. 대상시료의 검출량을 WHO-TEF에 의한 TEQ로 산출한 결과 다이옥신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18, 돼지고기 0.008, 닭고기 <0.001 pgTEQ/g이었으며, non-ortho co-planar PCBs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08, 돼지고기 0.002, 닭고기 0.001 pgTEQ/g으로 닭고기의 오염수준이 제일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분석시료에서 다이옥신류의 분포패턴을 살펴보면 OCDD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planar PCBs의 경우는 77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밀가루 및 건면의 지방질 조성과 측정 방법에 따른 조지방 함량 차이 (Lipid Composition and Differences in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according to Determination Methods)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1-385
    • /
    • 2010
  • 밀가루 및 5종의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Soxhlet법을 비롯한 5종의 측정 방법과 3종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가루에서는 0.09~1.37%, 건면에서는 0.07~1.36%의 조지방이 정량되었다. 이와 같이 밀가루와 건면에서 그 측정 방법에 따라 조지방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방질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5종의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양성분표를 살펴 본바, 조지방 함량은 0~1.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밀가루와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의 종류 및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에는 1.02%의 유리 지방질과 0.21%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건면에는 0.95~1.01%의 유리 지방질과 0.21~0.25%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58.5%, 33.6% 및 8.6%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49.2~58.2%, 33.3~41.6% 및 8.5~9.3% 범위였다. 또한,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결합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16.7%, 33.5% 및 49.5%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13.2~15.3%, 35.6~45.7% 및 41.6~49.4%로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각 지방질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질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밀가루 및 건면에서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가수분해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