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rn coast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3초

대기의 강이 한반도 지역별 강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mospheric Rivers on Regional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권예은;박찬일;백승윤;손석우;김진원;차은정
    • 대기
    • /
    • 제32권2호
    • /
    • pp.135-148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tmospheric river (AR) on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with a focus on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42-year-long catalog of ARs, which is obtained by applying the automatic AR detection algorithm to ERA5 reanalysis data and the insitu precipitation data recorded at 56 weather stations across the country are used to quantify their relationship. Approximately 51% of the climatological annual precipitation is associated with AR. The AR-related precipitation is most pronounced in summer by approximately 58%, while only limited fraction of precipitation (26%) is AR-related in winter. The heavy precipitation (> 30 mm day-1) is more prone to AR activity (59%) than weak precipitation (5~30 mm day-1; 33%) in all seasons. By grouping weather stations into the four sub-regions based on orography, it is found that the contribution of AR precipitation to the total is largest in the southern coast (57%) and smallest in the eastern coast (36%). Similar regional variations in AR precipitation fractions also occur in weak precipitation events. The regional contrast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ions is related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AR-frequency. In addition, the regional contrast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stations is partly modulated by the orographic forcing. The fractional contribution of AR to heavy precipitation exceeds 50% in all seasons, but this is true only in summer along the eastern coast. This result indicates that ARs play a critical role in heavy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thus routine monitoring of ARs is needed for improving operational hydrometeorological forecasting.

한국 서남해에서 산출된 현생저서 유공충의 동물군 분석 및 해양환경 연구 (Faunal Analysis and Oceanic Environment of the Recent Benthonic Foraminifera from the West and South Sea of korea)

  • 정혜경;백광호;박병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6
    • /
    • 1992
  • 한국의 서해와 남해에서 채집된 50개의 시료에서 채출된 183종의 저서 유공충의 분포자료를 동물군 분석한 결과, 5개의 생물군집(bioassociation)과 5개의 생물장 (biotope)이 구분되었다. 생물군집, 생물장의 지리적 분포 및 유공충 종의 이용가능한 생태학적 자료로부터 5개의 생물상(biofacies)이 인지되었다. (1) 남부 내대륙붕 생물 상; (2) 남부 해안 생물상; (3) 북부 중대륙대 생물상; (4) 중앙 중대륙대 생물상; (5) 남부 외대륙붕 및 상대륙사면 생물상. 특징적인 종 군집을 포함하는 시료들의 집 단으로 정의 되는 생물상은 연구해역에서 주요 해류 분포양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남부 내대륙붕 생물상은 연안류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의 영향을, 남부 해안 생물상은 연안류와 한반도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 또한 북부 중대륙붕 생물상은 연안류와 황해 냉수층, 중앙 중대륙붕 생물상은 황해 난류, 그리고 남부 외대륙붕 및 상대륙사면 생물상은 쓰시마 난류와 밀접한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재해통계기반 남해연안지역 풍랑피해액예측함수 제안 (Proposal for Wind Wave Damage Cost Estimation at the Southern Coastal Zone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 추태호;윤관선;권용빈;박상진;김성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67-274
    • /
    • 2017
  • 태풍, 지진, 홍수, 폭우, 가뭄, 폭염, 풍랑, 쓰나미 등과 같은 자연재해는 발생지점과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간생활에 피해를 주고 있다. 하지만, 재해통계를 기반으로 과거피해사례와 피해액을 분석하여 예상피해액을 산출할 수 있다면, 산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즉시 초동조치에 임할 수 있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남해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풍랑피해액예측함수를 제안한다. 본 예측함수는 재해연보('91년~'14년)에 기록된 풍랑 및 태풍의 재해통계, 남해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인자, 해안 기상조건을 설명변수로 개발하였다.

Airborne Measurements of Ozone and Its Precursors over Yeosu-Gwangyang Industrial Area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Kim, So-Young;Seo, Seok-Jun;Park, Hyun-Ju;Son, Jung-Seok;Park, Ji-Hoon;Kim, Jong-Choo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3호
    • /
    • pp.139-1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_3$ and its precursors based on data taken at the southern Korean coast. The average $O_3$ concentration in the high altitude was found to range from 32.3 to 90.8 ppb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132 ppb. The ambient $O_3$ concentration was high at altitudes of 1000 m and 500 m above the southern sea near Gwangyang Bay and an industrial area containing emission sources.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NO_y$ and CO were 6.7-24.2 ppb and 0.152-0.487 ppm, respectively. During the aerial measurement period,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O_3$ was observed on June 1. The aerial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be 132 ppb in the high altitude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The measurement of vertical wind fields in the air indicated that $O_3$ formed in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was transported by strong southwesterly winds to the northeast of Gwangyang Bay. This led to a ground $O_3$ concentration of over 100 ppb in Jinju, the northeastern part of Gwangyang Bay. On August 9, when the maximum $O_3$ concentration was 50 ppb,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O_3$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days. In particular, low $NO_2$ and TVO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oth of which serve to form $O_3$ in photochemical reactions.

우리나라 남부해안 기후의 특성과 해면수온과의 관계 (Sea Surface Temperatu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oastal Climat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한영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7권2호
    • /
    • pp.65-69
    • /
    • 1981
  •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 PDF

동해 중부 연안에서 연어(Oncorhynchus keta)가 왕피천으로 이동하는 시기와 연안 환경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gratory Timing of Salmon (Oncorhynchus keta) into the Wangpi River and Coastal Environment of the Mid-eastern Coastal Water of Korea)

  • 김범식;정용우;정해근;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67-1079
    • /
    • 2021
  • The coastal water is a space where salmon (Oncorhynchus keta), critical energy-conveying mediator, stay to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s while traveling between ocean and river ecosystems for spawning and growth. The mid-eastern coast of Korea (MECW) is the southern limit of salmon distributed in the North Pacific Ocean.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salmon in the MECW is important for the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salmon related to changes in the future marine environmen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mon migratory timing ascending the Wangpi river and change in vertical seawater temperature and tidal elevation. Overall results highlight that (1) Salmon began to ascend the river when the sea surface water temperature (SST) decreased below 20℃; (2)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decreased, but de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higher than 5℃; (3)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peaked, when the SST was 18℃-19℃ and sea levels rose at high tide.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predicting changes in the ecosystem energy circulation through climate change at its southern distribution limit.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의 한국 남해안 고흥 연안의 해양환경 특징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oheung Coastal Waters dur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 이문옥;김병국;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6-178
    • /
    • 2015
  • 국립수산과학원이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연안에서 관측한 정선관측자료, NOAA/NGSST 위성영상자료, 적조자료 및 수치실험자료 등을 분석하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이하 C. polykrikoides)적조의 최초의 발생지로 알려진 고흥 연안의 8월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고흥 연안 (나로도)의 표층 및 저층의 평균 수온은 각각 $25.0^{\circ}C$$23.7^{\circ}C$로, 대조구인 거제 해역의 표층과 저층에서의 평균 수온인 $23.8^{\circ}C$$19.4^{\circ}C$ 보다 약 $1.2-4.3^{\circ}C$가 높았다. 또한, 고흥 연안의 평균 염분은 표층과 저층에서 각각 31.78 psu과 31.98 psu로, 대조구인 거제해역의 31.54와 32.79에 비해 표층은 다소 높으나 저층은 낮았다. 즉, 고흥 연안은 하계인 8월에 표층과 저층간의 수온차나 염분차가 거제에 비해 크지 않았으며, 따라서, 고흥 연안은 8월에 성층이 매우 미약하거나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흥 연안과 거제 해역의 표층에서의 DIN과 DIP농도는 각각 0.068 mg/L($4.86{\mu}M$)와 0.072 mg/L ($5.14{\mu}M$), 0.015 mg/L($0.48{\mu}M$)와 0.01 mg/L($0.32{\mu}M$)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 양쯔강 하구에 인접한 동중국해($31.5^{\circ}N$, $124^{\circ}E$)에서의 8월의 표층 평균 수온 및 염분은 각각 $27.8^{\circ}C$와 31.61psu로, 고흥 연안에 비해 수온은 $2.8^{\circ}C$가 높았으나, 염분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동중국해의 8월 표층의 질산염($NO_3-N$) 및 인산염($PO_4-P$) 농도는 고흥 연안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게다가, C. polykrikoides적조 발생시의 NOAA/NGSST 위성영상자료 및 수치실험결과에 의하면, 양쯔강 하천수가 제주도와 우리나라 남해안까지 확장하여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계 고흥 연안에서의 C. polykrikoides적조 발생에는 양쯔강 하천수에 의한 영양염 공급이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東北 아시아 海域의 暴風海溢 硏究 I. 暴風海溢 年別 極値 分析 (A Study of Storm Surges of the Seas in North eastern asia I. Analysis of Yearly Maximum Surge)

  • 이진경;오임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41
    • /
    • 1994
  • 우리 나라와 일본, 러시아의 총 44개 관측점에서의 수위 자료에서 조석을 제거, 해입을 계산하여 연별최대양의 해입값, 최대음의 해이값을 구하고 그 값들의 평균을 구하여 각 해안에서 발생하는 해익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우리 나라 의 경우는 양의해 익과 음의해익 모두 그 진폭이 서해안에서 크고 남해안과 동해안으로 갈수록 점차 줄 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각 관측점에서 발생한 양의해익과 음의 해익의 진폭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서해안의 경우는 음의 해익의 진폭이 양의 해익의 진폭보다 더 크고, 우 리 나라 의 남해안과 동해안 또 일본 서해안의 경우는 그 반대였다. 또한 동해에서는 북부 러시아 해안에서는 해익이 남부 일본 서해안에서는 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결과를 보였다. 국내 각 관측점간의 해익의 연중 최대치를 비교해 본 바에 의하면, 서 해안에서 양의 해익 최대치가 나타난 것은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강풍의 결과이고, 남 해나 동해에서 나타난 경우는 여름철 태풍에 의한 결과였다. 음의 해익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 서해, 특히 인천에서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연중 최대치가 나타났다.

  • PDF

한반도 태풍시기 강풍유발 피해액 산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고도화 (Basic Data Advancement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Damage Cost Caused by Strong Winds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yphoon Periods)

  • 윤희성;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97
    • /
    • 2022
  • In this study, type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basic data to calculate the maximum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during the typhoon period. The result of the damage by region showed that in 2012, the difference in damage was clearly distinguished as the region was classifi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nual damage in 2011 was strong on the west coast, and in 2016, the damage to the southeast coast was significant. In 2012, the 3-second gust was relatively stronger on the west and southeast coasts than in 2011, and the winds blew stronger along the southeast coast in 2016. Monthly damage data showed that the damage to the west coast was high in August, and the damage to the southeast coast was high in October from 2002 to 2019. The 3-second gust showed the result of wide expansion throughout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October. As a result, the damage differs for type bacause the intensities and paths of typhoons vary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3-second gust blows differently by regio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ale price is considered in metropolitan cities.

속초 영랑해안 해빈침식대책 인공구조물 건설에 기인하는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tructure at the Youngrang Coast in Sockcho, East Korea)

  • 강윤구;박효봉;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6-304
    • /
    • 2010
  • 동해안 속초시 영랑해안의 해빈침식 방지를 위한 인공해안구조물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해안선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그 해안침식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공 해안구조물은 3기의 인공헤드랜드 및 2기의 잠제 복합배열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년에 걸친 2기의 인공헤드랜드의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해안선를 대상으로 다루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랑해안은 해양파랑의 계절적인 방향별 출현특성에 따라 연안표사가 북서-남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영랑해안의 해빈의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2) 그러나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될 즈음에는 연결부 주변에서는 퇴적이 진행되고, 남측 및 북측 포켓 중앙부에서는 침식이 진행되었다. 이는 중앙헤드랜드 헤드부의 배후가 정온역이 되어 연결부 주변에 퇴적이 나타나고,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가 연결부에서 차단됨에 따른 표사의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장기간의 해안침식방지공 공사 과정 중에는 구조물에 의해 파랑변형과 표사수급의 불균형 등에 의해 본래의 목적과 다른 국부적인 침퇴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