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ces of income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시경제기반으로서의 비고용소득 성장과 영향분석 - 미국 아리조나주의 경우 - (Growth and Impact Analysis of Nonemployment Income as an Urban Economic Base -The case study of U.S. Arizona State-)

  • 김학훈
    • 지역연구
    • /
    • 제9권2호
    • /
    • pp.27-40
    • /
    • 1993
  • Most studies on regional economic impact have utilized employment or employment income data. Recently, a few scholars have noticed the importance of nonemployment income sources in urban economies. Using decennial census data on Arizona towns from 1970 to 1990,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nonempolyment income sources in urban economies and the associations of nonemployment income sources with elderly population and metropolitan location. The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nonemployment income on urban growth in the framework of economic base model.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nonemployment income is significant in the increase of nonbasic income and becomes greater over time, and that the impact of transfer over time, and that the impact of transfer income on nonbasic income of transfer income on nonbasic income is stronger in smaller towns and the impact of investment income is stronger in larger towns.

  • PDF

한국 노인소득보장의 국가-시장-가족분담구조 분석 (Analysis for Division of State, Market and Family in Income Sources of the Elderly)

  • 엄소영;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91-199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소득원을 국가소득. 시장소득, 가구소득, 전체소득으로 구분하여 분담구조를 살펴보고, 노인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노인특성에 맞는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 소득원은 시장소득이 30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가 248만원, 가족 218만원의 순으로 시장에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남성노인이 여성보다 국가, 시장을 통해 소득을 많이 얻는 반면, 여성은 가족을 통해 많이 받고 있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시장소득은 젊은 노인일수록 월등히 많고, 가족소득은 고령 노인일수록 많았다. 시장소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노인소득구성의 특성상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젊은 노인들의 전체소득이 많았다. 지역에 따라서는 국가소득, 가족소득은 도시화된 지역이 많은 반면, 시장소득은 읍면지역이 많았으며, 배우자 유 무에 따라서는 국가소득, 시장소득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가족소득은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셋째,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국가소득, 시장소득은 고소득층이 가장 많은 반면 가족소득은 고소득층이 가장 적었다. 저소득층 노인의 경우 가족소득에 의존하고 있어서 빈곤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넷째, 건강상태에 따른 소득원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국가와 시장소득이 높고 낮을수록 가족 등 사적인 영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담구조별 차이는 요인분석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은 시장과 가족소득 의존이 서구국가보다 높으며 여성, 저소득층,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 등 취약한 특성을 가진 경우에 가족 시장소득에 많이 의존하고 있어서 공적소득지원체계의 보완이 필요하다.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in Elderly Koreans)

  • 이상록;이순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71-9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 및 가구 소득원들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한 연구로, 이를 통해 노인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는 가구소득 수준의 제고 뿐 아니라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 구성에 대해서도 정책적 주목이 요청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에는 소득원별 가구소득 및 개별 가구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한국복지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결과에서는 근로/사업/재산소득 의존형 35.7%,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41.9%, 사회보험/수당소득 의존형 13.5%, 공공부조소득 의존형 8.8%로 나타나, 노인가구의 소득구성은 동질적이지 않고 내적 편차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가구소득 유형의 차이에는 노인들의 개인 및 가구 특성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이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의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우울 및 자아존중감이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여 가구소득 유형 및 주요 소득원들의 실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특정 가구소득 유형(공공부조소득 의존형,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및 특정 소득원들(공공부조소득,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이 노인들에게서 중요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노후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노후소득보장체계 개선 시 적극 고려되어야 할 바임을 시사한다.

어가소득 불평등도의 변화추이와 지니요인 분해 (The Trend in Fishe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and Its Gini Factor Decomposition)

  • 김상권
    • 수산경영론집
    • /
    • 제45권1호
    • /
    • pp.17-31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the overall income inequality of fishery household from 2003 to 2012 with the panel data of the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income inequality, we decomposes the Gini coefficients into five income sources, fishery income, non-fishery income(non-fishery business income, non-business income), transfer income, irregular income and calculate the impact of each income sources on total income inequality. An evident trend toward increasing inequality of household income was found. Also, we find rising fishery income and non-fishery income play important role in the rapid increase of income inequality. Only transfer income appear to reduce total income inequality.

Forest income and inequality in Kampong Thom province, Cambodia: Gini decomposition analysis

  • Nhem, Sareth;Lee, Young Jin;Phin, Sopheap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92-203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forest income and other variable sources of rural household income and considered their importance for the reduc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We employed Gini decomposition to measure the contribution of forest income and other sources of income to income equality and assess whether they were inequality-increasing or inequality-decreasing in the 14 villages. The forest income Gini correlation with total income was very high, $R_k=0.6960$, and the forest income share of total rural household income was 35% ($S_k=0.3570$). If the income earned from forest activities was removed, the Gini index would increase by 10.3%. Thus, if people could not access forest resources because of vast deforestation, perhaps from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managed forestry, unplanned clearing of forest land for agriculture or the granting of ELCs, there would be an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among rural households.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look beyond agri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as forest resources provide meaningful subsistence income and perhaps contribute to both preventing and reducing poverty and inequality in rural communities. The study found that non-farm activities were inequality-increasing sources of income. The share of non-farm income to the total rural household income was $S_k=0.1290$ and the Gini index of non-farm income was very high, $G_k=0.8780$, compared with forest and farm income. This disagrees with other studies which have reported that non-farm income was inequality-decreasing for the rural poor.

Sources of Income Polarization in Korea: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Shin, Taeyoung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16
  •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and relationship of income inequality with some of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trade globalization, financial globalization and fiscal policy. We find out that income inequality has an adverse effect on economic growth, showing its dynamic features, for which we employed the polynomial distributed lags (PDL) model. The effect of income inequality on economic growth lasts over 9 years, and its dynamic effect peaks after 4 years. In addition, we also attempted to find out empirical evidences of sources of income inequality.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ine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financial globalization, and fiscal policy; negatively related to the trade globalization. Many studies employ cross-country data, but it could have serious problems in collecting statistical data. Korean data is used over the time period of 1990-2015 in this study.

가족.국가.공동체의 소득 안정화 효과 분석 (Family, State, and Community Sources of Income Stability)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21-345
    • /
    • 2003
  • 오늘날 개인이 소득을 획득하는 주된 원천은 노동시장이지만, 가구 내에서의 재분배나 사적 이전, 공적 이전 또한 개인에게 소득을 제공하는 소득원이다. 이 연구는 개인 소득의 안정성이 가족 국가 공동체라는 소득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은 사회복지의 제공주체들이 제각기 작동시키는 사회복지의 논리와 그 결합구조를 파악하려는 시도의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주로 분석되어 오지 않았던 사회보장제도의 또 다른 목표, 즉 소득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가구 구성의 안정성은 개인이 소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적 이전과 공적 이전은 가족으로부터 소득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인구집단에게 특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득의 안정화를 위한 공동체나 국가의 역할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가구 구성의 안정성 약화가 지속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1-60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심화와 함께 노인 소득불평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적소득, 시장소득, 가족 소득 등 주요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 간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 0.4809, 공적소득 0.4701, 시장소득 0.6735, 가족소득 0.1855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소득집단에 따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는 시장소득이 가장 크고 전체소득, 공적 소득도 매우 큰 것이다. 둘째, 노인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 가족소득, 시장소득을 각각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4864, 가족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5784, 시장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3609로 나타났다.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약간 증가한 공적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매우 미미한 반면에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매우 커진 가족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 소득 지니계수보다 크게 낮아진 시장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의 큰 원인이었다. 현재의 노인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인의 시장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중노년여성의 의복 관여도와 정보원 사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of middle-elderly women)

  • 이옥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9-11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Data was obtained from 130 middle-elderly women living in Chonju, Iri. And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mean, ANOVA, $\chi$2-test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involvement according to involvement level. 2) The higher was clothing involvement, the lower was age, the higher was education, and the more was income. 3) The higher was clothing involvement, the higher was use df information sources. Groups used mostly information sources by personal media or observation, experience. 4) The high income group used impersonal information source, the low income group used mostly personal information source.

  • PDF

가계의 경제적 안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abilityof households)

  • 황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2호
    • /
    • pp.69-82
    • /
    • 1993
  •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s is the basic and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quality of life. It affects emotional psycholog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of family personal develop-ment and family healths etc.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ata on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466 house-holds in Kwangju area were analyzed. As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Percentile.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 Education job status housing tenure type numbers of income source assets income and income flexi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stability. Especially numbers of income sources has most important effect.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financial stability and economic pressures mental healths financi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behaviors were revealed respectiv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 is severely considered. To be financially stable providing various income sources is more desirable than having regular and fixed inc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