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in Elderly Koreans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이상록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순아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07.16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s and self-respect of the old aged. Although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are supposed to be important to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as well as income level, there have been little policy interests to them.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hold income types & sources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using the 8th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the household income sources composition among the old aged, and that types of household income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and family features of the old aged.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household income types ar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of the old aged. And, we find that some income sources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policy attentions to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the household income sources so as to increase the adequacy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aged in Korea.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 및 가구 소득원들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한 연구로, 이를 통해 노인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는 가구소득 수준의 제고 뿐 아니라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 구성에 대해서도 정책적 주목이 요청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에는 소득원별 가구소득 및 개별 가구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한국복지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결과에서는 근로/사업/재산소득 의존형 35.7%,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41.9%, 사회보험/수당소득 의존형 13.5%, 공공부조소득 의존형 8.8%로 나타나, 노인가구의 소득구성은 동질적이지 않고 내적 편차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가구소득 유형의 차이에는 노인들의 개인 및 가구 특성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이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의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우울 및 자아존중감이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여 가구소득 유형 및 주요 소득원들의 실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특정 가구소득 유형(공공부조소득 의존형,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및 특정 소득원들(공공부조소득,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이 노인들에게서 중요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노후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노후소득보장체계 개선 시 적극 고려되어야 할 바임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