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proofing wall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시 터널 내 방음벽 설치가 입자상 물질 농도 및 소음 수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undproofing Wall of Tunnel on Particulate Matter and Noise)

  • 조현우;이지연;리우시아오산;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11-417
    • /
    • 2010
  •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installed soundproofing walls in road tunnels to improve the tunnel environment for pedestrian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se soundproofing walls, we measured noise levels and concentrations of $PM_{2.5}$ and ultrafine particles (UFP) in tunnels with or without these walls. Although noise and UFP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unnels with soundproofing walls, $PM_{2.5}$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use of a ventilation system. When $PM_{2.5}$ and noise level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in a tunnel with soundproofing wall, noise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PM_{2.5}$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t is concluded that the soundproofing wall can protect pedestrians from noise, but not PM. Install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is recommended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in tunnels with soundproofing walls.

도로소음원에 대한 방음패널 형상별 반사소음 저감효과 (A Reduction Effect in Noise Reflection by Different Shapes of Soundproofing-panel)

  • 김일호;박태호;장서일;이혜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5
    • /
    • 2015
  • 도시화의 가속화와 더불어 도심의 교통량의 증가로 도로소음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음벽의 설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설치되고 있는 여러 형태의 방음벽 중, 반사형 방음패널의 경우 불투명 방음패널과 달리 시야를 가리지 않으므로 방음시설을 요구하는 거주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반사형 방음패널의 경우, 반사음에 의한 2차 피해를 유발시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음벽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사형 방음패널의 전면형상 및 기하학적 형태를 변화시켜 반사음의 전달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형상을 연구하였다. 일반형 반사형 방음패널과 형상별 방음패널의 반사소음 저감 효과를 비교 한 결과, 곡선형 방음패널이 1.5 dB의 소음저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반사음의 증가 또는 감소는 형상별 설계인자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음벽 전면 현상에 따른 반사소음의 저감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문화재 보호구역 주변 근접통과 구간의 철도노선 계획 사례 연구 (Research for the Railway Route Planning Adjacent the Protective Zone of Cultural Assets)

  • 노병국;김재복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8-2270
    • /
    • 2008
  • After rapid running is begun in domestic, problem by the train wind that was not considered at existent train running appeared. If the High-Speed railway business speed rises by 350km/h in the future, is going to become more big issue. This study conducts an experiment that measure in local about KTX train beside Gyeongbu High-Speed railway track about aerodynamics effect that happen by passage of train and analyzed. In case KTX II runs with the 350km/h speed, forecasted effect that get in the simple vertical surfaces parallel to tracks according to distance from rail center. Compared construction size with structural analysis in case do not consider with case that consider the train wind about soundproofing walls representatively. As a result, proposed wind load standard that apply at soundproofing walls design.

  • PDF

표면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차단 주파수 영역의 선택이 가능한 풍압저감형 방음벽 (Wind Pressure Reducing Soundproof Wall Which Has Many Holes on the Surface and Selectable Stop-Frequency Ranges)

  • 김상훈;이돈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91-196
    • /
    • 2016
  • 파동의 에돌이와 공명식 머플러 원리를 이용하여 통풍형 방음을 구현하고 그 이론을 설명하였다. 이 방음기술은 차단하고자 하는 주파수영역의 선택이 가능하다. 방음벽을 이중으로 만들고 그 사이를 비워, 방음벽의 구멍을 통해 들어온 음파가 내부에서 공진하여 소멸되도록 하였다. 두께 8cm인 공진통마다 직경 5cm의 공기구멍을 2개씩 뚫고 실험한 결과 넓은 주파수영역대서 평균 25dB정도의 차음효과가 있었다. 일본 컴넥스사의 산란에 의한 투과손실만 있는 경우와의 차음효과를 비교한 결과 같은 통풍능력인 경우에 적어도 10dB이상 차음효과가 높았다. 또한 컴넥스사의 기술은 차음주파수 영역을 선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풍하중 저감형 방음판의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Soundproof wall with Reduced Wind Load)

  • 최진규;이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72-278
    • /
    • 2018
  • 최근 도시개발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교통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증가되는 도로 소음으로 인해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도로변에 높은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으나 방음벽 주요 설계 요건인 풍하중은 공사비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방음벽 높이 제한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음벽 수준의 차음 성능과 더불어 풍하중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우수한 가격 경쟁력의 방음벽을 개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대상의 방음판은 헬름홀츠의 공명기 이론을 바탕으로 공기와 같은 유체는 통과하고 소음은 저감할 수 있는 신개념 통기형 방음판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 크기의 금속재 방음판을 제작하여 음압투과손실실험, 풍동실험 및 재료품질 실험을 수행하여 고속도로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에 제작 및 설치를 하고 시간대 별로 소음을 측정하여 방음판의 소음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도로에 통풍형 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높은 소음 차단 효과로 인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FRP를 활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물의 구조성능 및 단면형상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Flexural Structural Performance and Applied Section Shape for Sound Proof Wall Structures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GFRP))

  • 정우영;최현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는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에 의한 손상발생 사례를 토대로 현행 도로안전 시설물의 구조적 휨 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부재별 휨 성능개선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구조물로는 대표적인 도로안전시설물이며 풍하중에 대한 선행 피해사례가 밝혀진 방음벽 지주프레임을 대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들 지주프레임의 휨 구조성능 및 형상설계에 대한 평가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현행 보강재의 구조적 성능을 토대로 중량 대비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GFRP)을 활용하여 다양한 보강 형태에 따른 성능개선방법을 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 성능개선을 위한 GFRP 적용방법의 경우 구조적, 시공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자체적인 형상단면 최적설계를 통한 개선방법도 성능보강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GFRP 단면보강 및 최적형상설계 연구는 향후 노후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 또는 태풍으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 제안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for determining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sound barrier panels)

  • 오양기;김하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2-160
    • /
    • 2023
  • 방음벽은 도시 주거환경의 소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방음판의 가장 중요한 음향적 기능은 음향투과손실과 흡음률로 표시된다. 특히 주거시설이 밀집되어있는 도심구간의 철도나 간선도로에서 원하지 않는 반사음에 의한 2차 소음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방음판의 흡음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에 관한 규격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또한 방음판의 전반적인 음향규격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유럽규격에서조차 흡음률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건축마감재료의 흡음률 측정기준을 준용하고 있을 뿐, 방음벽과 방음판의 특성을 감안한 별도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흡음률은 재료의 내부로 흡수된 에너지 뿐 아니라 재료를 투과한 에너지까지 합산하여 평가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유럽규격은 투과음 에너지를 감안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 규격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방음판을 대상으로 투과음을 감안한 새로운 측정방법과의 결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방음판 흡음률 측정규격의 마련을 위한 기초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소음지도에 나타난 환경기준 초과소음지역에 대한 소음저감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nterplan of Noise Reduction for the Noise Excess Area of Environment Standard Appeared in Noise Map)

  • 임재석;이병찬;고준희;박수진;장서일;송귀석;김재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8-1052
    • /
    • 2007
  • Using road traffic noise, noise map for CheongJu city was drawn. Noise level is estimated and many regions of the city are classified noise excess area compared with environment standard value. Counterplan for the noise excess areas is presented in this study. Noise reduction methods are given in many ways, for example soundproofing walls, low noise pavement, low noise arrangement of buildings and low noise windows.

  • PDF

지역간 철도의 도심통과구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Inter-Regional Railroad Facilities in Urban Areas)

  • 김연규;김시곤;장성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52-57
    • /
    • 2003
  •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railroad facilities in the urban areas so as to maintain the urban railroad facilities and minimize their adverse impact on the roads around the faciliti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and vibration can be minimized by constructing soundproofing walls and improving railway and train systems. To reduce the traffic congestion at the railroad crossings, current at-grade crossings should be changed to separated crossings. Moreover, the criteria by where railroad crossings are located should be revised. In the long term, the land use development for the railroad station and the surrounding areas needs to be changed. Several case studies of Japan's and France's major cities show the potential of successfully integrating the development of railroad faciliti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nstitutional aspects, to improve the railroad facilities in the urban areas and to allow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the railroad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areas.

  • PDF

고층집합주택 외벽 색채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고층정합주택단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Apartment Building Outer Wall Effecting in Streetscape -Focused on Highrize Housing Complex in Gwangju-)

  • 박성진;하주아;이청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33-41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ain color of apartment building as background color on the preference for residential streetscape in the rela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streetscape with its focus on the color of apartment building outer wall. To research a visual evaluation structu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quantitative assay and to provide more scientific and specific data about improvement dire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urrent brightness and chroma of main color of apartment building was high and low respectively which was advis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olor, when the components of the whole streetscape included buildings or soundproofing walls, a streetscape image needed to be improved though the color scheme of 4-distance color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