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fraction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3초

호이초(Saxifraga stolonifera) 지상부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 손호용;류희영;장유진;장한수;박유미;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5-200
    • /
    • 2008
  • 호이초는 한국, 일본, 중국 및 러시아에서 자생하는 범의 귀과의 다년생풀로, 민간에서는 주로 폐렴, 동상, 피부 염증 및 미생물감염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국내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어, 현재까지 재배관련 연구를 제외하고 생리활성 및 성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이초의 생리활성 평가를 위해 호이초 지상부의 생즙 및 메탄을 추출물을 조제하며 각각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지상부 생즙의 경우 Proteus vulgaris, Escherichia coli O157:H7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균효과가 인정되었고, 항산화 활성은 미약하였다. 반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염증 피부에서 분리한 세균, 일부세균 및 C. albicans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IC_{50}$ of $37.5{\mu}g/mL$). 생즙 및 추출물 모두 1.5 mg/mL 농도에서 항혈전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thylacetate 및 butanol 분획에서 6.9 및 $7.8{\mu}g/mL$$IC_{50}$를 나타내어, vitamin C 및 BHT에 필적할 만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의 성분 분석 결과, 각 분획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다양하며, ethylacetate 분획의 경우 항산화물질은 폴리페놀 배당체로 추측된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자생 호이초가 항산화 식물자원으로 유용하게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밤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of Chestnut)

  • 김용두;조덕봉;김경제;김기만;허창기;조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7-262
    • /
    • 2005
  •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밤잎과 수피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물질의 열안정성 pH 등을 조사하였다. 밤 잎과 수피의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밤잎과 수피를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최소저해농도는 밤나무 잎 0.5 mg/mL 이었고, 수피 추출물에서는 1 mg/mL이었다. 밤 잎과 수피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 이수민;이상진;권이영;백상훈;김종식;손호용;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95-17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방 발효주 주박의 피부 생리 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준비하고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한방 발효주 주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KSD E4-3)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양한 약재의 발효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KSD E4-3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SD E4-3은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1, -2, -9의 발현을 억제하여 UV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방 발효주 주박에서 추출한 KSD E4-3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혐기적 조건의 토양에서 제초제 $^{14}C-bifenox$의 분해 (Degradation of $^{14}C-bifenox$ in Soils under Anaerobic Conditions)

  • 곽형렬;이강봉;김길용;김용웅;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08
    • /
    • 2000
  • 혐기적 토양조건하에서 제초제 $^{14}C-bifenox$의 분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4}C-bifenox$를 미사질양토와 사양토에 각각 2.1 mg/kg 수준으로 처리한 후, 180일 동안 $25^{\circ}C$의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기간동안 bifenox의 무기화, 유기용매 추출성 및 추출불가 잔류량, 그리고 분해산물 등을 조사하였다. 배양기간 180일 동안 방출된 약제의 $^{14}CO_2$는 미사질양토와 사양토에서 각각 1.97%와 0.9% 수준이었다. 사양토에서의 추출불가 잔류량은 시험기간동안 표지된 $^{14}C$가 79.12%까지 눈에 띠게 증가하였고, 미사질양토에서 보다 그 양이 더 많았으며 이는 두 토양이 갖는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과 유기물 함량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추출불가 잔류량은 주로 humin에 분포하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토양 중 bifenox의 주요 분해산물은 최종산물인 nitrofen, 5-(2,4-dichlorophenoxy)-2-nitrobenzoate 2,4-dichlorophenoxy aniline 그리고 methyl 5-(2,4-dichlorophenoxy) anthranilate으로 확인되었다. Bifenox의 토양 중 휘발성 물질 및 $CO_2$ 생성량과 잔류 및 분해독성은 이 화합물이 화학적 및 생물학적 분해에 안정함을 시사하였다.

  • PDF

HPLC에 의한 원지 중 알칼로이드 성분의 정량 (Analysis of alkaloids in Polygala tenuifolia by HPLC)

  • 박만기;박정일;김보연;김종문;임경진;한병훈
    • 분석과학
    • /
    • 제6권3호
    • /
    • pp.255-259
    • /
    • 1993
  • 원지(Polygala tenuifolia, Polygalaceae)에 함유되어 있는 ${\beta}$-carboline계의 알칼로이드를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고정상으로는 RP-18 컬럼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는 $CH_3CN$과 0.01M 인산완충액(pH=3.5)을 기울기 용리시켰으며, UV254nm에서 검출하였다. 알칼로이드 분획을 얻기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산, 염기 처리에 의한 용매추출법과 양이온교환수지(Amberlyst 15)를 이용한 고상추출법을 비교한 결과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방법에서 더 나은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량 결과 원지 중 알칼로이드 함량은 각각 harman $2.8{\times}10^{-3}%$, norharman $1.7{\times}10^{-3}%$, 1-carbomethoxy-${\beta}$-carboline $1.3{\times}10^{-3}%$, 1-carboethoxy-${\beta}$-carboline $1.4{\times}10^{-3}%$, perlolyrine $3.3{\times}10^{-3}%$로 나타났다.

  • PDF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잎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황지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53-1760
    • /
    • 2010
  • 혈관내피세포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노출되면, 반응성 산소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며 2차적인 질병의 유발을 감소 및 완화시켜서 당뇨합병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30 mM 포도당에 노출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UVECs에 조릿대잎 추출물 ethyl acetate(ESLE) 층을 분주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활성산소종 수준과 지질과산화물 가는 ESLE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포도당으로 GSH 함량과 SOD, GSH-px, catalase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HUVECs에 ESLE를 분주하였을 때 이들의 함량 및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해 ESLE 첨가가 SOD와 catalase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SLE는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SLE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고 항산화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등골나물 추출물이 인간의 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patorium japonicum Extract on the Metastasis, Invasion and Adhe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우은영;박소영;권수진;권규택;김종대;임순성;윤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3-219
    • /
    • 2011
  • 등골나물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폐렴, 황달, 홍역, 요통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골나물의 꽃 부위를 추출하여 등골나물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농도($0-20{\mu}g/mL$)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TIMP-1의 발현은 감소시킨 반면 TIMP-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등골나물 추출물은 uPA, VEGF 그리고 ICAM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특히, 등골나물 헥산 분획물이 유방암세포의 이동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 uPA, TIMP-1 및 ICAM의 감소, TIPM-2의 증가를 통해 유방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효능을 지닌 등골나물 추출물을 암전이에 효과가 있는 암예방제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Pd(II) -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유도체 킬레이트들의 용리 거동 (Elution Behavior of Pd(II) -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Chelates by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인환;신한철;이만호;윤태건;강창희;이원
    • 분석과학
    • /
    • 제5권4호
    • /
    • pp.389-399
    • /
    • 1992
  •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Pd(IEAA-NR)_2$ (R=H, $CH_3$, $C_2H_5$, $n-C_3H_7$, $C_6H_5-CH_2$, $n-C_4H_9$) 킬레이트의 용리 거동을 Micropak MCH-5 분리관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아울러 동시 분리분석에 미치는 흐름속도, 이동상의 세기, 분리관의 온도 등 여러 가지 인자들의 영향을 조사 검토하였다. 용리액으로 methanol/water의 이성분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금속 킬레이트의 용매 세기 인자는 $0{\leq}log\;k^{\prime}{\leq}1$의 범위임을 확인하였고, 각 금속 킬레이트의 log k'과 이성분용매 중의 물의 부피분율을 도시한 결과 직선 관계가 성립하였다. 또한 뱃치법으로 측정한 분포비 ($D_c$)값과 k'값을 도시하여 본 결과 직선관계가 성립됨으로써 금속 킬레이트의 용리 메카니즘이 주로 소용매성 효과, 즉 소수성효과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의 머무름에 미치는 용량 인자와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엔탈피 (${\Delta}H$)와 엔트로피 (${\Delta}S$)를 구하고, 엔탈피와 용량 인자와의 관계로부터 금속 킬레이트의 머무름이 반드시 엔탈피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구조적 성질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유색미 쌀겨추출물의 in vitro의 발암 억제효과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 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07-312
    • /
    • 1997
  • 유색미의 항암활성을 in vitro에서 조사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색미 겨의 유기용매 추출물에 의한 DNA strand scission 및 발암 promotion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유색미로 상해향혈나와 수원415호의 두 품종과 함께 대조구로 추청을 사용하였다. 품종별 변이원 억제활성은 70% 에탄올추출물 및 모든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추청<상해향혈나<수원415호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DNA strand scission에 대한 억제활성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해향혈나<추청<수원415호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물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상해향혈나에는 거의 DNA strand scission을 억제하는 활성이 없었으며, 예상과는 달리 추청은 오히려 상해향혈나보다 약간 활성이 높았다. 그리고 수원415호의 클로로포름분획물은 70%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강한 억제활성을 보였다(약 50% 억제). 발암 promotor에 의하여 유도된 Epstein-Barr 바이러스의 early diffusible antigen의 발현수준을 지표로 하여 70% 에탄올 추출물의 발암 promotion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청<상해향혈나< 수원415호의 순서로 억제활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세 품종 모두의 클로로포름분획물에서 발암 promotion을 완전히 차단하는 효과가 발견되었지만, 세포독성이 동반되지 않은 promotion에 대한 억제효과는 수원415호에서만 유일하게 관찰되었다.

  • PDF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 60% 주정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supercritical extraction residue 60% ethanolic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 문명재;박광현;최선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9-36
    • /
    • 2018
  • 초임계 추출 기술을 활용하여 느릅나무 가지 추출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초임계 추출박의 자원 재활용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서 초임계 추출박의 주정추출물(USCFR)과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분획물(USCFREA)의 항산화, 항알러지, 총 페놀 정량 실험을 각각 수행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양성대조군인 비타민C와 비교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라디컬 소거능의 $IC_{50}$값(ppm)이 비타민C는 $7.42{\pm}0.09$, $7.50{\pm}0.05$, USCFR은 $22.94{\pm}0.09$, $6.43{\pm}0.10$, USCFREA은 $17.80{\pm}0.14$, $5.34{\pm}0.06$ 으로 각각 확인되어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항알러지 활성 연구에서는 USCFR과 USCFREA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알러지 활성이 확인이 되었고, 특히, USCFREA은 매우 적은 농도에서도 강력한 항알러지 활성이 확인 되었다. 끝으로, 총 페놀 함량(ugEG, ugGA;ppm)에서 USCFR는 $134.17{\pm}0.13$, $132.02{\pm}0.24$, USCFREA은 $154.77{\pm}1.05$, $153.18{\pm}1.10$으로 각각 확인이 되어 기존의 초임계 추출물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총 페놀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USCFR과 USCFREA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만성 염증성 피부면역 질환 개선 및 치료 보조제 관련 의약품 또는 기능성 향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