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calcium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4초

칼슘 결핍에 의한 '신고' 배 (Pyrus pyrifolia cv. Niitaka) 과실에서의 바람들이 (Calcium Deficiency Causes Pithiness in Japanese Pear (Pyrus pyrifolia cv. Niitaka) Fruit)

  • 문병우;정혜웅;이희재;유덕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2-107
    • /
    • 2013
  • BACKGROUND: Pithy pear fruit are not distinguished externally from sound fruit and thus often cause unexpected economic losses. To find out the cause of pithiness, the pithiness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ear (Pyrus pyrifolia cv. Niitaka) fruit picked from a spot frequently produced pithy fruit in an orchar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ruit picked from another spot produced sound fruit every year. And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spots and mineral contents in fruit, shoots, and leaves of Japanese pear trees cultivated in the two spots were also examined. METHODS AND RESULTS: The pithiness incidence was 0, 8.8, and 11.3% at 7 days before and 0 and 7 days after optimal harvest date, respectively, in the spot frequently produced pithy fruit. Flesh firm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pithy fruit than in sound fruit, while soluble solids content was slightly higher in pithy fruit than in sound fruit. Unlike other mineral contents, Ca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pithy fruit than in sound frui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 deficiency in fru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decrease in flesh firmness and thus pithiness development. Ca content in soil of the spot frequently produced pithy frui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soil of the spot produced sound fruit. However, shoots or leaves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 in Ca and/or other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two spots, indicating that Ca deficiency in fruit is dependent on the translocation of Ca within a plant rather than soil Ca status. Although total-N, available $P_2O_5$, K, and Ca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oil of the spot frequently produced pithy fruit than in soil of the spot produced sound fruit, Mg and Na contents and p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soil conditions. CONCLUSION(S): Fruit maturity and Ca level in fruit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pithiness in 'Niitaka' Japanese pear.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Quality of 2-Year Compost Application in a Conventionally Managed Pear Orchard)

  • 이재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7-320
    • /
    • 2009
  •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compost)를 이용하여 추석에 조기 출하되는 신고배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년 동안의 compost 처리가 과일에 미치는 영향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Hunter L값과 a값이 높은 경향을 보여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더 익은 것처럼 보였고, 더 당도가 상승하고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과실의 조기성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유기질 비료는 과실내 석세포 함량을 줄였고 칼슘함량을 높여서, 과실의 육질을 부드럽게 개선시킴으로써, 조기 출하되는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어육 단백질 회수를 위한 알칼리 Pilot 공정과 회수 단백질의 특성 (Alkaline Pilot Processing for Recovery of Fish Muscle Protein and Properties of Recovered Protein)

  • 장영부;김근배;이근우;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45-1050
    • /
    • 2006
  • Pilot 공정으로 회수한 어육 단백질의 회수율은 전어체와 마쇄육에 대하여 각각 33.2%와 61.8%였다. 균질화 속도와 시간은 3,000 rpm에서 5분이 가장 적당하였으며, 용해 단백질의 회수는 4,000 rpm 이상, 침전 단백질의 회수는 2,000 rpm 이상의 원심속도가 적당하였다. pH 조절제로서 citric acid, sodium phosphate(tribasic) 및 calcium oxide는 pH 조절 효과는 있으나, 회수단백질 가열 젤의 물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알칼리 pilot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 가열 젤의 파괴강도와 변형 값은 수세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의 가열 젤에 비하여 우수하였고, 소금, 전분 및 소혈청 단백질의 첨가는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감소시켰다. 백색도는 수세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에 비하여 낮았다. 알칼리 처리에 의한 어육 단백질의 회수 공정은 수세공정에 비하여 폐수의 오염 부하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 같은 결과는 어육 단백질 회수를 위해 산업적 규모로 알칼리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산 가공품의 중간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적색육 및 냉동 어육 단백질의 회수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콩분말의 단백질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Flour Hydrolyzed by Various Proteolytic Conditions)

  • 정규호;서지형;김정훈;김광수;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76
    • /
    • 2006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조건에 콩 가수분해물의 품질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수율은 protease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0.4\%$ 이상의 농도에서는 가수분해 시간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였다. 수율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978로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가용성고형분은 pretense첨가량과 가수분해시간의 영향이 모두 나타났으며, 회귀식의 $R^2$는 0.954로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가수분해도는 pretense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최대점(pretense첨가량 $0.57\%$, 가수분해시간 5.49hrs)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회귀식의 $R^2$는 0.916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칼슘내인성은 protease첨가량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으나 $0.4\%$ 이상의 protease에서는 가수분해 시간의 영향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회귀식의 $R^2$는 0.932로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물질은 pretense첨가량과 가수분해 시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회귀식의 $R^2$는 0.920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콩분말의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protease첨가량 $0.51\~0.66\%$, 가수분해 시간 $6.5\~9.0\;hrs$의 조건으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조건으로 제조한 가수분해물의 실측치는 예측치와 유사하였다.

인공합성된 Layered Double Hydroxides의 토양중 행동 (Behavior of Synthetic Layered Double Hydroxides in Soils)

  • 최충렬;서영진;이동훈;김준형;여상각;최정;박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2-417
    • /
    • 2007
  • Layered double hydroxides(LDHs)가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및 결정성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LDHs가 처리된 토양침출수를 calcium carbonate 처리와 비교 조사하였다. LDHs와 $CaCO_3$를 처리한 토양의 pH는 유사한 pH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LDHs를 처리한 토양의 pH가 무처리구 및 $CaCO_3$ 처리구에 비해 각각 3.0 및 1.0 높게 낮타났다. LDHs를 첨가한 토양침출수의 $Mg^{2+}$ 함량은 52.0~383.0 mg/l으로 무처리구의 1.0~10.0 mg/l, $CaCO_3$ 처리구의 1.0~20.0 mg/l 보다 매우 높았다. $Al^{3+}$ 함량은 LDH와 $CaCO_3$ 처리구에서 0.2 mg 이하의 수준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토양침출수의 인산 함량은 LDHs와 $CaCO_3$ 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silicate 함량은 LDHs와 $CaCO_3$ 처리에 의해 낮아졌다. LDHs는 토양에서 층상형의 기본구조가 점진적으로 붕괴되어 결정성 및 구조적 형태가 변화되었다. 따라서 LDHs의 토양처리는 산성 토양의 개선 및 식물영양원의 지속적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토양환경 및 이화학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다양한 농업소재의 기능성 전달체로서 활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석고 시용에 의한 밭 토양 특성과 마늘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ogypsum Application on Field Soil Properties and Yield and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 김영남;조주영;윤영은;최현지;정미선;이미나;김권래;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3-39
    • /
    • 2021
  • BACKGROUND: Globally, large amounts of phosphogypsum (PG), which is a by-product of the phosphate fertilizer production, is deposited in open areas. As PG contains calcium, phosphate, and sulphate, it can be used as a soil amendment in farml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G application on properties of field soil and yield and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and to seek appropriate level of PG application into the field. METHODS AND RESUL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pplying PG at four different levels that were adjusted based on 65% calcium base saturation in the field soil: 0% (control), 50% (PG50, 100 kg/10a), 100% (PG100, 200 kg/10a), and 150% (PG150, 300 kg/10a). Following cultivation,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Ca increased, whilst soil pH decreased. With increase in PG application level, soil EC and exchangeable Ca increased. PG application increased concentrations of water soluble Ca and SO4 across the soil profile, especially in PG150. The highest yield of garlic was found in PG100 treatment. The plant's uptake for N, P, Ca, and S increased by PG applications, but that for K decreased. Moreover, concentrations of S-related amino acids such as cysteine and methionine in garlic increased by PG applications. The increased content of nutrients and amino acids with PG supply might improve yield, quality, and favor of the crop. CONCLUSION: Overall, PG application at 200 kg/10a into a field had the best effect on improving soil fertility as well as yield and quality of garlic.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maximize efficiencies of PG supply in soil management and production of various crops.

미세살수와 탄산칼슘 및 카올린 엽면살포가 온주밀감의 일소 발생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Microspraying, Foliar Application of Calcium Carbonate and Kaolin Solution on Sunburn and Quality of Fruits in Satusma Mandarin)

  • 좌재호;강석범;박요섭;김미선;김하늘;오복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1-269
    • /
    • 2022
  • 본 연구는 '암기조생' 감귤 과실의 표면온도와 일사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소가 유발되는 과실 표면온도를 예측하고 일소 발생을 경감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온이 31℃일 때 30분 간격으로 5분 미세살수와 1% 탄산칼슘, 4% 카올린 용액을 10일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하여 일소과 발생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과실 표면온도는 일사량과 R = 0.788(p < 0.01)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한낮에는 기온보다 최고 16℃가 높았다. 과실 표면온도를 추정하는 회귀식 y = 0.099 × (대기온도) + 0.018 × (일사량) + 20.779(R = 0.687, p < 0.01)을도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5분 미세살수시수관 내부 온도가 무처리보다 5.1℃ 낮았다. 일소과 발생률은 미세살수구가 2.1%로 무처리구보다 2배 이상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으나, 과실 품질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햇빛을 반사하거나 미세살수를 실시하여 과실 표면온도를 낮추면 일소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수(灌水)에 의(依)한 비닐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제염(除鹽) (Effect of Watering on Eluviation of Soluble Salts in the Vinyl House Soils)

  • 정영상;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0
    • /
    • 1975
  • 소채(蔬채)의 연작(連作)과 다비(多肥)에 의(依)하여 염류(鹽類)가 과잉집적(過剩集積)된 비닐하우스 내(內) 토양(土壤)에 대(對)하여 관수량(灌水量)과 관수회수(灌水回數)에 따른 제염효과(除鹽效果)와 제염(除鹽)이 토마토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수량(灌水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또 1회(回)에 전량(全量)을 관수(灌水)하는 것 보다 2~3회에 나누어서 관수(灌水)하는 것의 제염률(除鹽率)이 높았다. 동일량(同一量)의 관수량(灌水量)에 대(對)한 제염효율(除鹽效率)은 사양토(砂壤士)보다 식양토(埴壤士)에서 높았으며, 150mm 관수시(灌水時) 토양(土壤)의 깊이 30cm 까지의 제염율(除鹽率)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에서 50%, 사양토(砂壤土)에서 34% 이었다. 2. 관수(灌水)에 의(依)한 제염(除鹽)으로 토마토의 수량(收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제염율(除鹽率)과는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다. 100mm(50-50), 150mm(50-50-50, 혹(或)은 100-50) 및 200mm(100-100) 관수(灌水)한 구(區)의 증가(增收)가 인정(認定)되었다. 3 토마토의 수량(收量)(${\hat{Y}}$)와 표토(表土)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1 : 5)와는 다음과 같은 관계(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사양토(砂壤士);${\hat{Y}}=1,737.0+437.5X-290.5X^2$ $(R=0.632^{**})$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士);${\hat{Y}}=1,542.3+454.1X-275.0X^2$ $(R=0.622^{**})$ 4. 수량(收量)과 토양(土壤)의 침출성(浸出性) 양(陽)ion중(中) calcium, magnesium의 함량(含量)과는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sodium, potassium sodium 함량(含量) 및 sodium과 calcium과의 비(比) (Na/Ca)과 부상관(負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분무건조기를 이용한 아토르바스타틴 고체분산체의 용출율 개선 (Improved Dissolution of Solid Dispersed Atorvastatin Using Spray-Dryer)

  • 이준희;김대성;김원;박종학;안식일;김윤태;이종문;강길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4호
    • /
    • pp.249-254
    • /
    • 2008
  • Solid dispersions of poorly water-soluble drug, atorvastatin, were prepared with Eudragit L100 to improve the solubility by spray dry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ssolution rate of solid dispersions,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EM and DSC were found that atorvastatin is amorphous in the Eudragit L100 solid dispersion. FT-IR was used to analyze the salt formation by interaction between atorvastatin and Eudragit L100. The dissolution rate of solid dispersed atorvastatin was markedly increased compared to drug powder in stimulated intestinal juice (pH 6.8). Thus, the solid dispersed atorvastatin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with Eudragit L100 may be effective for the bioavailability.

Effect of Vitamin D3 on Biosynthesis of Estrogen in Porcine Granulosa Cells via Modul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 Hong, So-Hye;Lee, Jae-Eon;An, Sung-Min;Shin, Ye Young;Hwang, Dae Youn;Yang, Seung Yun;Cho, Seong-Keun;An, Beum-S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49-54
    • /
    • 2017
  • Vitamin D3 is a fat-soluble secosteroid responsible for enhancing intestinal absorption of calcium, iron, and other materials. Vitamin D3 deficiency, therefore, can cause health problems such as metabolic diseases, and bone disorder. Female sex hormones including estrogen and progesterone are biosynthesized mainly in the granulosa cells of ovary. In this study, we isolated granulosa cells from porcine ovary and cultured for the experi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vitamin D3 on the ovarian granulosa cells,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genes were analyzed by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 assay. The production of estrogen from the granulosa cells was also measured by the ELISA assay. Genes associated with follicle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vitamin D3. However, it increases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the estrogen-biosynthesis. Further, estrogen concentrations in porcine granulosa cell-cultured media increased in response to vitamin D3. These results showed that vitamin D3 is a powerful regulator of sex steroid hormone production in porcine granulosa cells, suggesting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result in inappropriate sexual development of industrial animals and eventually economic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