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ware engineering education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4초

A Curriculum for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Includes A Project Completion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 Ha, Seok-Wun;Huh, Kw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9-147
    • /
    • 2016
  • In recent,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s have been done widely that intensify smart phone util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riculum that undergraduate students can improve their mobile programming abilities as well as integrate experiences of application development based on android. And also a series of practices to adv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re adde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carry out a real project to use a variety of sensors embedded in smart phone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project is composed of a series of modules for implementing a trekking App that helpful to people who enjoy spending time in outdoors through their favorite activities such as trekking, cycling, and climbing with their own smart phones. Through practical curriculum oper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is appropriate to a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combine learning and practice.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연구를 위한 이산수학 분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Program of Discrete Mathematicsfor Computer Software)

  • 전상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2
    • /
    • 2011
  • 정보 통신분야의 발전과 성장, 신기술의 보급으로 인하여 컴퓨터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초석이 되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분야 연구의 기본 이론인 수학과 통계학의 중요성의 인식도 증대하고 있고, 수학의 분야 중에서도 이산수학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중요해 지고 있다. 컴퓨터 공학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기존 지식을 이해하고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여 신기술을 개발하고, 연구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산수학분야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산수학에서 배워야 하는 분야와 내용에 대한 표준안도 아직 정립되지 않았고, 관련되는 내용이 방대 하여 교육이 적절치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트랙별 연구에 관련성이 높은 이산수학 분야를 세분 설정하고, 연관성이 많은 부분을 선택 하여, 분야별 특성에 맞는 연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급변하는 관련 분야의 응용에 대처 할 수 있는 수학 교육방법론을 제시 하였다.

Students' Perspectives (Stream-Wise) of Parameters Affecting Education Quality in an Affiliated Undergraduate Engineering Institution

  • Kumari, Neeraj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4권3호
    • /
    • pp.13-18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students' perspectives (stream-wise) of parameters affecting education quality in an affiliated undergraduate engineering institution in NCR, Haryan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nvolves descriptive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Likert scale. The sample comprises 500 student respondents. For data analysis, an f-test was performed using high quality SPSS software. Results - For "Selectio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 Industry Exposure," th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of the groups. Whereas, for "Academic Excellence," "Infrastructure," "Placements," and "Management & Administration," th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of the groups. Conclusions -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Selectio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 Industry Exposure" change according to the various specializations they opt for in their undergraduate engineering education in Haryana. Whereas, for "Academic Excellence," "Infrastructure," "Placements," and "Management & Administration,"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do not vary because of the different specializations they have opted for in their undergraduate engineering education.

Strategic Model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41-148
    • /
    • 2023
  • A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and convergence between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cademia is emerging to foster creative tal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model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In this paper, as a stud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a creative innovation teaching method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Firstly, a plan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econdly, it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linkage and convergence learning. Thirdly, we would like to present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ease based on convergenc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Finally, we would like to present a strategic model development plan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that applies the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rogram.

학위연계형 일학습병행제에서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표준 교과 모델 제안 (A Suggestion of Standard Curriculum Model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High-skilled Master Workplace Trainers In Degree-linked Work-and-Study in Parallel Courses)

  • 김민철;김동욱;손영득;김승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1-193
    • /
    • 2019
  • 기업현장교사는 회사 내 일학습병행에 참여하고 있는 도제 및 고숙련 학습근로자에게 고도화된 훈련 지도 및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심화된 이론과 기술, 풍부한 경험과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양질의 기업현장교사 양성을 위한 한국의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을 소개하고, 최적화된 표준 교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숙련마이스터 양성과 관련된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일학습병행제 고숙련마이스터 양성에 기여함은 물론 안정적인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제도적 정착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관절 로봇 제어를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연구 (A Study on Education Software for Controling of Multi-Joint Robot)

  • 김재수;손현승;김우열;김영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69-476
    • /
    • 2008
  • 다관절 로봇 교육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로봇의 동작을 쉽게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다관절 로봇 개발기법은 매우 복잡한 구현을 교육해야하지만, 우리의 도구는 로봇의 동작을 쉽게 하여 제어나 움직임에 대한 창의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교육용 다관절 로봇의 동작 제어를 쉽고 빠르게 프로그램화하기 위해서, 모션 생성 도구를 개발하였다. 우리는 도구를 통해 정확하고 쉽게 프로그램을 교육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션 생성 도구는 기존의 복잡한 언어 제어 프로그램 방식을 탈피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중심이라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보다도 쉽게 로봇 제어를 할 수 있었다. 또한 편리한 로봇 동작 구현은 물론 교육적으로 활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실험 장치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 PDF

PyStudy : Python 학습 도우미 소프트웨어 개발 (PyStudy : Python based Self-Study Helper Software)

  • 조영창;김혜현;김훈식;한성욱;이형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1-48
    • /
    • 2016
  • 논문에서는 python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을 위한 학습 도우미 'PyStudy'를 개발하였다. 'PyStudy'는 콘솔창, 학습창, 학습 진도창, 파이썬 도움말, 학습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은 통상적인 통합개발환경(IDE) 기능과 학습콘텐츠들을 학습창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학습도중 모르는 것이 있을 경우 파이썬 도움말을 이용해 빠르게 찾을 수 있다. 학생의 학습관리는 학습 진도창을 통해 이루어진다. PyStudy는 파이썬 언어에 대한 효율적 학습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파이썬 기반 고급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수중로봇키트 모형의 SE기반 개발을 통한 공학교육 사례 (An Example of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SE-based Development of Underwater-robot Kit Model)

  • 김현식;강형주;만동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40-46
    • /
    • 2012
  • This paper deals with an example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he SE-based development of an underwater-robot kit model. It has a purpose of establishing the example of a SE-based development by undergraduate through executing the requirement and functional analysis, hardware and software design, manufacturing, test and evaluation for developing the model. In addition, it also has a purpose of establishing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an optimized underwater-robot kit through understanding the weight and buoyancy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tion and propulsi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model.

소프트웨어개발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메커니즘의 접목을 통한 코딩화 적용 사례 (Applied Practices on Codification Through Mapping Design Thinking Mechanism with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 서채연;김장환;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4호
    • /
    • pp.107-116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수많은 영역에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고품질화가 필수적이다. 특히 비전공자 및 기초 전공자들에게는 창의적 사고 기반으로 코드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문제는 창의적 사고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 및 아이디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비전공자 및 기초 전공자를 위한 코딩 교육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 기반 디자인씽킹과 코딩화는 괴리가 존재한다. 즉 실질적으로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설계 및 코딩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사고 기법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기법의 접목을 통해 비전공자의 소프트웨어공학 개념 없이도, 디자인씽킹 메커니즘 기반의 코드 템플릿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창의적 설계의 코딩화를 기대한다.

소셜협업도구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가 여대생의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W Development Project with Social Collaboration tool on Inter-relationship Change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김희영;김수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5호
    • /
    • pp.43-49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inter-relationship change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on the process of SW development project using social collaboration tool. Inter-relationship is one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Korea. We redesigned the curriculum of "Software Engineering" subject for this study and composed the project teams of students to develop software. The details of inter-relationship are satisfaction, communication, faith, friendliness, sensitivity, openness and consider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aith, openness and consideration have positive effect but satisfaction, communication, friendliness and sensitivity have no meaningful effect. Th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the same surveys were conducted again in the end of semester.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paired t-test with SPSS 18.0. It is significant that the using of social collaboration tool for team project has positive effect on inter-relationship change, especially faith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or generalization but has meaning as new trial to enlarge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of students in major subject, "Software Engineering". We expect new study for inter-relationship change of students to evaluate generality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