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ft clay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6초

준설매립지반의 장기압밀 특성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 이충호;김주현;백원진;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86-493
    • /
    • 2008
  • Consolidation settlements on marine dredged clays are often greatly and potentially damaging to structures. Currently, large-scale projects are in planning or progressing in Korea. These projects has been performed on thick and soft clay layers. So, the evaluation of long-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is very important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dredged clays are investigated. First, the relationship of $C_{\alpha}/C_c$ on marine dredged clays near Gwang-yang Port was evaluated. Second,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preconsolidated ground were evaluated.

  • PDF

점성토의 2차압축지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econdary Compression Index on Soft Clays)

  • 윤일형;서정석;도헌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7-544
    • /
    • 2002
  • Deformations of clays continue beyond the end of primary consolidation: this is secondary consolidation. Mesri(1973) have shown that C $\_$a/' is related to the natural water content W$\_$n/. For clays, C $\_$a/' is approximately equal to 0.01 W $\_$n/. And the ratio C $\_$ae// C $\_$c/ is approximately equal to 0.04. In this study, coefficient of secondary compression was analyzed by the consolidation tests datas in the 3 sites. In conclusion, coefficient of secondary compression was similar to Mesri's suggestions.

  • PDF

GE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MARINE CLAYS - FROM GEOTECHNICAL PARAMETER ESTIMATION TO PROCESS MONITORING -

  • Choi, Gye-Chun;Chang, Il-Han;Oh, Tae-Min;Kim, Hak-Sung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3차
    • /
    • pp.37-46
    • /
    • 2010
  • Marine clays are soft soil deposits having complicated mineralogy and formation characteristics. Thus, characterization of its geotechnical behavior has been a main issue for geotechnical engineers. Nowadays,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s of geophysical exploration on marine clays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ccuracy,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geophysical survey technology. For marine clays, seismic survey is effective for density and elasticity characterization, while electro-magnetic wave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luid conductivity phenomena inside soil. For practical applications, elastic wave technology can evaluate the consolidation state of natural marine clay layers and estimate important geotechnical engineering parameters of artificially reclaimed marine deposits. Electrical resistivity can provid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le cementation, pore geometry shape, and pore material phase condition. Furthermore, nondestructive geophysical monitoring is applicable for risk management and efficiency enhancement during natural methane gas extraction from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 PDF

현장 계측치와 유변학적 모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압밀도 추정 (Estimation of Degree of Consolidation in Soft Ground Using Field Measurements and Rheology Model)

  • 이달원;윤현정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87-96
    • /
    • 2005
  • In this research, an attempt is made to derive the practical estimation of the degree of consolidation in soft clay from field measurements under embankments. For the practical estimation of pore water pressure in soft clay, the elasto-viscous rheological model was proposed, with a transform of parameters and a field geotechnical measurements in southern Korea. By using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oft clays and the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behaviour during step loading, a degree of consolidation or pore water pressure estimation in the future can be performed, and are shown to be generally close to the field measurements of pore water pressure. Finally, a pore water pressure behaviour in soft clay can be explained through measured data in field and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data can also be used to estimate settlement.

다양한 응력경로에 따른 정규압밀 점성토의 변형특성 고찰 (A Consideration on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Normally-Consolidated Clays by Various Stress Paths)

  • 김창엽;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61-173
    • /
    • 1999
  • 연약점성토지반의 압밀침하량 산정을 위해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압밀시험이나 Skempton과 Bjerrum의 압밀침하량 보정법은 현장의 재하조건이나 변형양상이 1차원적이 아닌 경우에는 실제 흙 요소의 응력상태나 변형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력경로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자동화 삼축시험기를 이용하여 정규압밀상태로 성형된 kaolinite 시료에 대해 다양한 응력경로를 적용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합리적인 침하량 평가의 근거가 되는 다양한 응력경로하에서의 탄성변형, 압밀변형, 이차압축변형, 간극수압의 발생 및 소산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응력경로시험의 결과를 기존의 일차원 압밀시험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기존 침하량 산정방법들의 한계와 문제점을 명확히 고찰하였다.

  • PDF

부산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 of Pusan Clay)

  • 류웅렬;변요셉;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3-51
    • /
    • 2010
  • 부산 인근에 위치한 낙동강 하구 일대에는 두터운 충적층이 약 100m 전후의 두께로 매우 두텁게 분포하고 있다. 지질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약 20,000년 이전부터 퇴적이 시작되었던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에 와서 이 일대에는 대단위 매립공사와 부지조성공사가 곳곳에서 수행되고 있어서 안전한 설계를 위해 명확한 지반특성, 특히 명확한 연약점성토의 비배수 전단강도의 규명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 지역 연약점성토의 분포심도가 매우 깊고 예민비가 큰 특성 등으로 인하여 이 지역을 대표하는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아직까지 명쾌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일대의 장유, 양산, 부산신항, 화전 그리고 신호 지역의 두텁게 퇴적되어 있는 점토층에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시험(일축압축시험, 비압밀비배수시험, 등방압밀 비배수압축시험, Ko압밀 비배수 압축시험 및 인장시험) 및 시료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장시험(현장베인시험, 피에조콘관입시험)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을 통하여 부산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검토해 보았다.

서·남해안 해성점토의 물리·압축특성 고찰 - 인천·목포·광양·부산 -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mong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Marine Clays - Incheon·Mokpo·Gwangyang·Busan -)

  • 김상귀;여규권;김길수;김홍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43-51
    • /
    • 2011
  • 국내의 동 서 남해안에는 해성점토층이 폭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해안지역에서 기반시설물을 설계할 때 압축성이 큰 해성점토로 구성된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천, 목포, 광양 및 부산지역 해성점토의 물리적 압축특성을 분석하여 각 지역 및 우리나라 서 남해안 점토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114구역 1,471개 샘플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비교결과, 인천점토의 경우 중국 황하로부터 유입된 세립실트 및 높은 조수간만의 차로 가장 낮은 소성 및 높은 단위중량을 보였고, 광양점토는 광범위한 준설매립의 영향으로 압축성이 가장 컸다. 그와 비교할 때 목포 및 부산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목포와 부산점토의 압축지수는 인천에 비하여 2배 이상, 광양점토의 경우는 목포 및 부산에 비해 7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수치해석을 통한 샌드드레인과 열주입에 의한 연약지반의 압밀 해석 (Numerical Analysis on Consolidation of Soft Clay by Sand Drain with Heat Injection)

  • 고이 잔나릿;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1호
    • /
    • pp.45-57
    • /
    • 2017
  •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은 온도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연약 점토지반 내에 온도가 증가하면 간극수압이 증가하고 간극수압의 소산은 부피와 간극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높은 온도는 간극유체의 점성을 감소시키므로 압밀속도가 빨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가 압밀침하량, 압밀시간, 간극수압과 같은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리역학적(HM) 및 열수리역학적(THM)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열주입과 샌드드레인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온도 변화 및 샌드드레인 직경 변화를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시료내부의 온도는 열원의 온도와 샌드드레인의 직경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주입은 과잉간극수압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과압밀 영역에서는 추가적인 침하량을 유발하고 정규압밀 영역에서는 압밀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pplication of a modified structural clay model considering anisotropy to embankment behavior

  • Zhang, Hao;Chen, Qiushi;Chen, Jinjian;Wang, Jianhu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1호
    • /
    • pp.79-97
    • /
    • 2017
  • Natural clays exhibit features such as structural and anisotropy. In this work, a constitutive model that is able to replicate these two salient features of natural clays is presented.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the classical S-CLAY1 model, where the anisotropy of the soil is captured through the initial inclination and rotation of the yield surface. To account for the structural of the soil, the compression curve of the reconstituted soil is taken as the reference. All parameters of the proposed constitutive model have clear physical meanings and can be conveniently determined from conventional triaxial tests. This proposed model has been us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soft soil in the undrained triaxial tests and the performance of Murro embankment in terms of settlement and horizontal displacements during embankment construction and consolidation stag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using proposed model have been compared with the field measurement data. The comparisons show that the two featur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ediction results.